‘가전·자동차·이차전지 적용’ 클린칭·SPR·심스태킹 등 기계식 접합기술 선보여 기술 이론 교육부터 데모 시연까지 프로그램 진행 고도화된 제조기술은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원가절감·생산성 향상·품질 개선·노동 환경 제고 등 다양한 이점을 제조 산업에 제공한다. 제조기술의 발전은 제조 인프라뿐만 아니라 제조 영역 자체를 변혁시킬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수차례 산업혁명을 거치는 와중에도 산업 안에서 과거·현재·미래를 잇는 제조기술이 있다. 바로 물체 간 연결 및 융합을 담당하는 접합기술이다. 이 기술은 산업이 고차원화되고 기술 집적도가 높아질수록 점점 더 요구되는 요소다. 특히 고도의 기술이 수반되는 산업 및 분야에서 더욱 존재감을 발휘하고 있다. 그중 금속 간 융합을 담당하는 접합기술은 크게 고열 방식의 ‘용접’과 일정 힘을 가하는 ‘기계 접합’으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기계 접합은 고열·유해가스·폭발 등을 유발하는 용접 방식을 대체하는 기술로, 이미 오랜 기간 미국·유럽 등지에서 활약하고 있다. 기계식 접합 솔루션 업체 톡스프레스테크닉(이하 톡스)는 독일 규격시험인증 ‘DIN 8593’ 기반 다양한 기계 접합 기술 및 장비를 구축했다. 모든 접합공
물체를 이어붙이는 과정에서 필요한 것이 뭘까? 접착 성분이 합유된 화학제를 생각할 것이다. 그렇다면 같은 맥락에서 금속 혹은 강철끼리 접합할 때 필요한 공정은 뭐라고 생각하는가. 통상적으로 용접을 떠올린다. 용접 공정은 높은 온도를 통해 접합 대상물을 한데 융합하는 작업으로, 주로 대상물 및 추가 소재를 녹인 후 굳기 전 압력을 가해 붙이는 과정으로 이해하면 된다. 용접은 각종 산업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지만, 고열 및 섬광으로 인한 상해 및 화재, 고중량 대상물과의 충돌 사고, 용접 시 발생하는 유해가스(흄) 중독 및 폭발 이슈, 산소 부족에 의한 질식 위험 등 안전사고에 상시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여기에 작업자 역량에 의존하는 용접 공정 특성상 최근 도래한 글로벌 인력난에도 자유로운 수 없다. 이에 관련 업계에서는 용접의 치명적인 단점을 보완하는 새로운 공법의 접합기술을 속속 내놓고 있다. 레이저·전자빔 등 새로운 용접 공법, 타전 공구, 산업용 용접 로봇 및 용접 협동로봇, 주물 접착제 등이 이에 해당한다. 독일 기계 접합기술 및 장비 업체 톡스프레스테크닉(이하 톡스)은 독일의 규격시험인증 DIN 8593을 기반으로 한 접합 원천기술 ‘클린칭(Cl
제조업계는 IoT, 이음 5G, OT 보안, 디지털 트윈을 통합해 급격한 혁신을 이루고 있다. IoT는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으로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이음 5G는 이 데이터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통신 인프라를 제공한다. 이어 OT 보안은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제조 설비를 보호하면서도, 기술 통합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끝으로 디지털 트윈은 가상 환경에서 제조 공정을 모사하고, 최적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품 개발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이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의 결합은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4차 산업혁명의 전진을 이끌고 있다. [특집] 제조업 디지털 전환 여정에 알아야 할 기술들 (1편) 프라이빗 5G - 이음 5G 모든 산업에 필요…셀로나, 프라이빗 5G로 산업혁신 이끌어 5G 특화망 - 신바람 몰고 온 커넥티비티 트렌드…5G 특화망이 新비전 제시 디지털 트윈 - 제조 혁신의 새로운 방향성…Digital Twin이 지목되다 OT 보안 - IoT 확산으로 사이버 위협 증가…대응 위해선 OT 보안과 지속적인 시스템 갱신해야 IoT 플랫폼 - IoT 데이터 다루는 법…IoT 플랫폼 구축하기 INT
[첨단 헬로티] 톡스프레스테크닉(TOX PRESSOTECHNIK)이 2월 7일부터 9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2018 HI-TECH KOREA'에 참가해 별도의 볼트가 필요 없는 접합 기술 및 관련 솔루션들을 소개했다. 톡스프레스테크닉은 판금 접합 제품 및 솔루션과 프레스 드라이브, 프레스 등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이번 전시회에는 볼트 없이 간편하게 접합할 수 있는 톡스 시스템과 유공압 실린더 및 모듈형 서보 프레스 등을 소개했다. 톡스 시스템은 접합부 특성에 맞게 구분돼 있다. 대표적으로 톡스 원형 접합이 있는데, 이 기술은 간단한 원형 펀치를 통해 단추 형상으로 깨끗하게 접합시키는 방식이다. 알루미늄 도금, 아연 도금 처리된 재질의 경우에도 도금층이 소재와 함께 소성 변형되므로 방부식 성질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외에 평면 접합, SKB(특수 접합), 클린치 리벳 등의 접합 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이 같은 톡스 시스템은 내구성이 강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톡스 접합의 정적 강도는 스팟 용접의 70% 정도이며 무엇보다 도금층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톡스프레스테크닉이 이번 전시회에서 강조한 부분은 접합을 기반으로 한 토탈 솔루션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