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의 2분기 영업이익이 임금협상에 따른 비용이 반영된 여파 등으로 두 자릿수 비율로 감소했다. KT는 지난 2분기 연결 기준 영입이익이 4940억 원으로, 작년 2분기보다 14.3%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9일 공시했다. 영업이익 감소 이유에 대해 KT는 지난해에는 3분기에 반영됐던 임금협상에 따른 비용이 올해 2분기에 반영된 영향이 컸다며 이에 따른 비용 644억 원을 제외하면 연결 영업이익 감소율은 지난해 2분기 대비 3.1%라고 설명했다. 2분기 매출은 6조5464억 원으로 2분기로는 2010년 이후 최대였던 작년 2분기 6조5475억 원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순이익은 4105억 원으로 5.1% 줄었다. KT의 별도 기준 서비스 매출은 작년 2분기보다 0.7% 증가한 4조480억 원으로, 2분기 연속 4조 원대를 유지했다. 무선 사업에서 5G 가입자는 전체 핸드셋 가입자 75%에 해당하는 1000만 명을 넘어섰다. 무선 서비스 매출은 작년 2분기보다 2.7% 증가했는데 KT는 로밍 서비스와 알뜰폰(MVNO) 사업 성장 영향으로 분석했다. 유선 사업 매출은 지난해 2분기 대비 0.3% 감소했다. 초고속 인터넷에서 가입자 990만 명을 달성하고,
트리나솔라(Trina Solar)가 오는 24일부터 26일까지 사흘간 대구 엑스코에서 열리는 ‘2024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에 참가한다. 트리나솔라는 이번 엑스포에서 태양광 모듈, 트래커, 에너지 스토리지 부문 등에서 글로벌 트랜드를 주도하는 최신 기술 및 제품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을 비롯한 세계 여러 국가에서 추진 중인 지속 가능한 에너지 이니셔티브에 있어 트리나솔라의 인사이트 및 방향성에 대해 제안하고 공유한다는 계획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 조사에 의하면 한국은 2030년까지 전력 소비의 2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으며 올해 재생에너지 용량을 58.5GW까지 늘리기 위해 노력 중이다. 또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에 따르면 태양광 에너지는 한국에서 가장 큰 재생 에너지원으로 올해 총 2만7046MW를 생산하며 작년 2만4078MW 대비 약 12%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특히, 태양광 에너지는 설비 안전성, 내구성, 경제성이 뛰어나며 산지를 비롯해 개발 난도가 높은 복잡한 지형에도 대규모 스케일로 빠른 설치가 가능해 한국에 특화된 재생 에너지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실제로 한국 태양광 에너지 기업인 솔라테크에서 트리나
누적 연계대출액 전년比 7~8배↑ “안정적인 투자 상품 지속 선보여 투자자에게 실익·신뢰 제공할 것” 재생에너지 투자 플랫폼 솔라브리지가 총 누적 연계대출액 700억 원을 돌파했다고 알렸다. 솔라브리지는 지난해 1월 금융위원회로부터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정식 등록을 마쳤다. 이후 태양광 발전소를 비롯한 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의 금융 애로를 극복하기 위한 각종 투자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올해는 태양광 발전소 건설자금 대출 상품 및 담보대출, 전기차 충전소 기자재 대출 등 실규 상품을 출시했다. 솔라브리지가 내놓은 투자 상품은 2~6개월의 단기 상품으로 구성됐고, 평균 수익률 연 13~16%로 비교적 고금리를 제공하고 있다. 투자자 평균 투자액은 약 400만 원 이상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계통 연계를 포함한 인허가가 완료된 사업과 함께 상환 재원이 명확한 사업만 다룸으로써 리스크 경감에 주력하고 있다. 솔라브리지 관계자는 “철저한 심사 및 리스크 관리를 모토로, 최근 6년 동안 연체율 및 부실률 0%를 기록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더불어 최근 공시에 포함된 연계대출액 중 손실률 또한 0%를 달성했다. 김태호 솔라브리지 대표는 “안정적인 투자 상품을 지속 출시해 투
폐목재를 유용한 화합물 만들며 남는 전자 활용한 수전해 기술… Nature Comm. 게재 나무에서 나온 찌꺼기로 유용한 화합물을 만들고, 이 과정에서 얻은 전자(electron)로 ‘태양광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태양광으로 만든 전기에너지만으로 수소 생산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어 ‘그린 수소’ 상용화의 기대감이 높아졌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장지욱·장성연 교수팀은 목질계 바이오매스 중 ‘리그닌’만 분해해 고부가가치 화합물을 얻고, 이 과정에서 추출된 전자를 태양광 수소 생산에 쓰는 ‘고효율 수전해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에는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극이 쓰였으며, 외부 에너지 공급 없이 태양광 에너지만으로 수소 생산이 가능하다. 이번 연구 결과의 가장 큰 특징은 그래핀 복합체를 이용해 투명전극의 저항을 기존보다 20배 이상 낮췄다는 점이다. 이로써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나 회로, 센서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자피부도 구현할 수 있었다. 박장웅 교수는 “기존에도 전자피부나 전자타투 등의 연구가 이뤄졌지만, 회로나 패턴들이 그대로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며 “이번 연구로 구현한 전자피부는 모든 물질을 투명하게 만들었기 때
태양광 발전, 도심 속 건물과 하나 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태양광 패널을 건물 벽면이나 옥상의 외장재로 활용해 건물 스스로 전기를 생산해낼 수 있는 도심형 고출력 태양광 패널 제조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에 성공했다. 태양광 에너지를 얻기 위해선 보통 넓은 면적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주로 해가 잘 드는 산간지역이나 염전, 저수지 등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환경이 훼손될 수 있고, 도심까지의 거리가 멀어 송전 도중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도 상당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대안으로, 건물 옥상이나 외벽에 ‘건물일체형 태양모듈(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이하 BIPV)’을 설치해 도심에서 자가발전 하는 새로운 방식이 최근 각광받고 있다. 그런데 기존 태양광 패널의 경우, 셀(Cell)과 셀을 금속 리본(Ribbon)으로 연결해 60셀, 72셀 등 특정 묶음의 바둑판 형태로만 제작이 가능했다. 이 방식은 전류가 생성되지 않는 빈 여백이 생겨 출력손실이 불가피했다. 특히 해가 지거나 구름에 가리면 패널에 저장되는 에너지가 적어져, 건물들이 밀집된 도심에서의 발전효율이 크게 떨어졌다. 또한, 막대 모양의 은
[첨단 헬로티] 인솔라는 토론토 환경 보호 당국과 손잡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지속 가능 에너지 개발에 힘쓴다고 밝혔다. 캐나다는 상품을 생산·소비하는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발생하는 이산화 탄소의 총량(탄소 발자국)을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인솔라가 운용하는 거래형 에너지 시스템 (사진 : 인솔라) 따라서 캐나다에서는 분산 에너지 자원(DER)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고, 점점 더 많은 에너지 생산자와 소비자들이 전기 에너지 믹스에 DER을 더하고 있다. 온타리오 장기 에너지 계획(Long-Term Energy Plan)은 DER이 필수 정책 전략으로서 커져가는 전기 공급의 빈틈을 메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존 전력이 향후 15년 동안 단계적으로 사라질 예정임에 따라 기존 전력의 30%를 대체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토론토 및 지역 보호 당국의 지속가능성 기술 평가 프로그램(Sustainable Technologies Evaluation Program, STEP)은 환경 보호를 통해 지역 공동체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DER 향상을 촉진하는 사업을 추진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인솔라도 이를 실현하기
[첨단 헬로티] 사우디아라비아 북서쪽 네옴에 최초의 ‘태양광 돔(Solar Dome)’ 담수화 공장이 건설될 예정이다. 네옴은 이 태양광 돔을 건설하고자 영국의 영국의 Solar Water Plc.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시범 프로젝트는 세계에서 가장 긴급한 문제 중 하나인 담수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일조할 예정이다. 태양광 돔 공사는 2월에 시작해 2020년 말에 완공될 전망이다. 태양광 돔 기술을 이용한 물 생산 비용이 $0.34/㎥로 예상됨에 따라, 역삼투압 방식을 이용하는 담수화 공장보다 훨씬 더 적은 비용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 기술은 또한 응축 소금물을 더 많이 생산함으로써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소금물은 물 추출 과정에서 나오는 잠재적으로 해로운 부산물이다. Abdulrahman Al-Fadli 사우디아라비아 환경·수자원·농업부 장관은 “네옴은 이 시범 프로젝트를 채택함으로써 사우디아라비아 국가 물 전략 2030에 언급된 사우디아라비아의 지속가능성 목표를 지원한다”며 “이 프로젝트는 유엔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와도 완전하게 일치한
[첨단 헬로티] 트리나솔라(Trina Solar)가 210mm 실리콘 웨이퍼(210 모듈)를 활용한 첫 대형 모듈의 생산라인을 공식적으로 가동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가동으로 Trina Solar는 대형모듈의 출시시기를 크게 단축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Trina Solar는 210 모듈의 연구개발과 제조에 있어 업계 선두를 달리고 있다. 이 기업은 2019년에 210 모듈의 연구개발을 시작했다. 주요 기술인 멀티버스바(Multi-Busbar) 기술을 이용한 첫 210 모듈은 혁신적인 1/3 컷 디자인을 채택했다. 강력한 모듈 전력, 수율, 제조난이도, 핫스팟 위험, 출력전류 성능, 접속 배선함의 안전과 같은 잠재적인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Trina Solar의 멀티버스바 기술과 1/3 컷 디자인은 대형 고전력모듈 및 다운스트림 시스템과의 호환성과 통합을 용이하게 한다. Trina Solar의 엔지니어링기술 연구개발 책임자는 “우리는 공정 기술 분야에서 수십 년간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최신 재료와 기술로 PV 산업을 위한 또 다른 신뢰성 높은 고성능 모듈을 개발 가능한 역량을 갖췄다”며 “현재 우리 팀은 최신 연구개발 결과를
[첨단 헬로티] 버려진 목재를 비롯한 식물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분해한 뒤 고부가가치 물질로 바꿀 수 있는 ‘융합촉매 시스템’이 개발됐다. 이 시스템은 석유화학제품의 원료를 뽑아낼 새로운 친환경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버려진 목재로 유용한 화학물질 만드는 ‘융합촉매’ UNIST(총장 직무대행 이재성)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장지욱·김용환·주상훈 교수팀은 폐목재 등에 많이 함유된 ‘리그닌(Lignin)’을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해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바꿀 ‘광·전기·생물촉매 시스템(융합촉매 시스템)’을 개발했다. 세 가지 촉매가 서로 연결돼 작동하면서 추가 전압이나 시약 없이도 리그닌을 연속적으로 분해한다는 게 큰 장점이다. 태양광 에너지에서 전기를 얻고(광촉매), 이 전기로 과산화수소를 생산하며(전기촉매), 과산화수소가 리그닌을 분해하는 생물촉매를 활성화 시키는 원리이다. 리그닌을 비롯한 바이오매스(Biomass)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화석연료나 석유 화합물을 대체할 수 있는, 자연에서 가장 풍부한
[첨단 헬로티] PV 및 스마트 에너지 솔루션 제공업체 Trina Solar Co., Ltd.(Trina Solar)의 중국 PV 과학기술국가핵심실험실이 고효율성 광역 준-단결정 n형(c-Si) i-TOPCon 태양전지로 새로운 세계 기록 23.22%를 세웠다고 밝혔다. 신기록을 세운 n형 양면 i-TOPCon 태양전지는 대형 인-도프(phosphorus-doped) Cast-mono Si 기판에서 첨단 i-TOPCon(Industrial Tunnel Oxide Passivated Contact) 기술의 저비용 산업공정으로 제조됐다. 247.79㎠ 양면 태양전지의 총면적 대비 전면 효율성은 23.22%를 달성했다. 이 결과는 독일 ISFH CalTeC에서 독자적으로 확인했다. Trina Solar PVST SKL 소장 Dr Zhiqiang Feng은 “자사 기술연구팀 PVST SKL이 달성한 최신 성과를 발표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우리가 알기로 이는 광역 Cast-mono 실리콘 태양전지의 총면적 효율성 측면에서 세계 신기록”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수한 연구개발 결과는 자사가 고객에게 새롭고 차
[첨단 헬로티]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김종갑)이 멕시코에 태양광 에너지 산업 문을 열었다. 한전은 지난 14일(현지시각) 멕시코시티에서 294MW 규모 멕시코 태양광 발전소 착공식을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 김종갑 한전 사장이 태양광 패널에 기념 사인을 남기고 있다. <사진 : 한국전력> 이날 행사에는 김종갑 한전 사장, 김상일 주 멕시코 대한민국 대사, 알폰소 플로레스(Alfonso Flores) 멕시코 전력거래소 사장, 이스마엘 게레로(Ismael Guerrero) 캐나디안 솔라 개발부문 사장 등 주요인사 60여명이 참석했다. 한전은 캐나디안 솔라(Canadian Solar)사가 경쟁입찰로 발주한 이번 사업에서 올해 6월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고, 9월 확정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인해 한전은 멕시코 소노라주(州)를 비롯한 3개 지역에 설비용량 294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해 35년간 운영할 방침이다. 한전은 이번 사업으로 총 2,800억 원의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종갑 한전 사장은 축사를 통해 “이번 태양광사업은 한전이 중남미에서 추진하는 최초의 태양광 사업이자 최대 규모의 신재생 개발사업이라는
[첨단 헬로티] 한국동서발전이 지난 9일, 경북 경산 영남대학교에서 영남대와 공동으로 수행하는 ‘LED 광원을 적용한 농업 생산성 향상 태양광 시스템 개발’ 착수회의를 가졌다. 이번 연구개발은 600nm 파장 대역의 LED 광원을 적용해 기존 영농형 태양광 대비 농업 생산성을 5%P 이상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정된 태양광 용지 확보와 농촌지역 소득 증대를 모두 이룬다는 계획이다. 동서발전은 가시광선 중 600nm 파장이 식물의 광합성을 촉진시키는 것에 착안하여 광밀도와 광푼도 균일도 분석으로 최적의 LED 광원처리 기술과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동서발전은 이번 연구를 위해 212㎡ 부지에 50㎾급 규모의 실증단지도 구축할 예정이다. 실증 기간에는 수확물 품질, 작물별 최적 재배관리 기술 검증, 안전성 및 경제성 등을 평가해 차세대 영농형 태양광 보급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한편, 한국동서발전은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목표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2030년까지 자체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5%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태양광·풍력 등 다양한 신재생 분야의 연구개발 및 사업을 추진 중이다.
[첨단 헬로티] LONGi Solar가 중국 National Center of Supervision and Inspection on Solar Photovoltaic Product Quality (CPVT) 테스트 결과, 상용 웨이퍼(M2) 치수를 이용해 사상 처음으로 단결정 실리콘 PERC 변환효율 24%를 돌파하며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고 발표했다. CPVT가 테스트한 LONGi Solar의 최신 혁신 양면 PERC 태양전지는 변환효율 24.06%를 달성했다. CPVT는 LONGi Solar가 제출한 표준 웨이퍼 치수(156.75x156.75mm2)(M2)에서 단결정 실리콘 PERC 전지를 테스트했다. 표본 전지는 부하 기능으로 전류-전압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표준 테스트 조건에서 측정됐다. LONGi Solar 사장 Li Wenxue는 “자사는 세계 태양광 시장에 고효율성 제품을 제공하는 꾸준한 능력을 증명함으로써, PERC 태양전지 변환효율의 세계 신기록을 세우는 대단한 성과를 달성했다”라며 “자사의 최신 태양전지 변환효율 기록은 자사의 R&D 투자 성공도 의미한다. 최근 수년간 자사의 R&D 투자는 업계
[첨단 헬로티] 태양광 에너지를 위한 총체적인 솔루션을 공급하는 세계 굴지의 기업 Trina Solar가 자사의 2017년 국제 모듈 선적량이 9.0~9.2GW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PV-Tech가 발표한 ‘2017년 탑 10 모듈 공급업체’ 순위에 따르면, 작년 Trina Solar는 선적량 부문에서 2위를 유지하고, 누적 선적량이 32GW를 돌파하면서 세계 최대의 모듈 공급업체라는 입지를 지켰다고 한다. 2017년 1~3분기 선적량은 각각 1.966GW, 2.481GW 및 2.092GW를 기록했으며, 4분기 선적량이 계속 증가한 덕분에 2017년 한 해 선적량이 9GW를 돌파했다. Trina Solar의 PV 제품과 서비스는 전 세계 100개가 넘는 국가와 지역으로 유통됐다. Trina Solar는 중국의 국가적인 일대일로 프로젝트에 발맞춰, 일대일로 주변 국가로 사업을 확장했다. 작년 1월 6일 베트남에서 1GW 규모의 태양광 PV 셀 제조 프로젝트를 시작한 Trina Solar는 현재 베트남 최대의 PV 제조업체다. 인도에서 Trina Solar는 3GW가 넘는 모듈을 공급하며 25%가 넘는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Trina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