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Generative AI)가 검색·번역·코딩 등을 장악한 뒤, 다음 전장은 ‘물리 세계’가 됐다. 데이터센터에 쌓인 모델을 꺼내 공장, 물류센터, 도시 인프라, 심지어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몸체 안으로 이식하는 싸움이 본격화됐다. 이 흐름에서 글로벌 인공지능(AI) 반도체 및 컴퓨팅 기술 업체 엔비디아(NVIDIA)는 기존의 그래픽처리장치(GPU)만을 다루는 업체에서 변모했다. 현재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로봇 시뮬레이션, 파운데이션 모델(Foundation Model), 에지 컴퓨팅(Edge Computing)까지 포괄하는 주체로 성장했다. 사측은 스스로를 ‘피지컬 AI(Physical AI) 인프라 벤더’로 자처하며, AI·로보틱스 생태계의 핵심 기술 공급자로 자리매김했다. 이 가운데 젠슨 황(Jensen Huang) 최고경영책임자(CEO)가 올해 반복해서 꺼낸 메시지는 크게 두 가지로 압축된다. ‘AI 공장(AI Factory)’과 ‘소버린 AI(Sovereign AI)’다. 이는 결국 각국이 각자의 산업과 로봇을 움직이는 데이터센터를 외부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육성해야 한다는 신호에 가깝다. 이 구
엔비디아, 구글 딥마인드, 디즈니 리서치 공동 개발 물리 시뮬레이션 엔진 공개 엔비디아 ‘아이작 GR00T N1.6’ 추론 모델, ‘코스모스 WFM’ 업데이트 전개 로봇 추론 능력 및 피지컬 AI(Physical AI) 모델 훈련 가속화 기대...어질리티·보스턴다이내믹스 선제 도입 엔비디아가 구글 딥마인드, 디즈니 리서치와 함께 오픈소스 기반 ‘뉴턴 물리 엔진(Newton Physics Engine)’을 자사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아이작 랩(NVIDIA Isaac Lab)’에 공개했다. 이로써 로보틱스 시뮬레이션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했다고 평가받았다. 이번 기술은 지난달 27일부터 나흘간 서울 삼성동 전시장 코엑스에서 개막한 ‘제9회 로봇학습국제학술대회(Conference on Robot Learning 2025, CoRL 2025)’ 현장에서 강조됐다. 엔비디아가 기술 발표 무대로 삼은 CoRL 2025는 로보틱스와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의 교차점에서 이뤄지는 연구 발전을 공유·탐구하는 글로벌 연례 국제 로봇 콘퍼런스다. 이 학술대회는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로봇 공학 연구의 최신 동향을 공유한다. 로봇 조작, 내
이에이트가 자체개발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 NDX PRO를 플랜트, 기계, 자동차 등 제조 분야에 특화한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15일 발표했다. 지난 CES 2025에서 엔비디아(NVIDIA)는 물리적 AI 시스템을 지원하는 차세대 AI 플랫폼 코스모스(Cosmos)를 발표하며 데이터 활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코스모스는 방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분석하는 플랫폼으로 자율주행, 로봇, 산업 IoT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며 AI 기반 디지털 전환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코스모스의 핵심은 물리적 디지털 전환에 있다. 코스모스는 실제 세계의 물리적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이를 분석해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더 나은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이트의 EPC 특화 디지털 트윈 솔루션은 코스모스와 동일한 기술 철학을 바탕으로 제조 현장에서 물리적 객체의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변환 및 분석해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둔다. 코스모스와 같은 물리 AI 플랫폼 활용을 위해서는 물리적 객체의 디지털 트윈 구축이 선행되는데 여기에 이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