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Robotic Process Automation 이하 RPA)’는 업무 자동화 트렌드의 지평을 연 기술로 평가받는다. 그동안 다양한 산업 안에서 수많은 레퍼런스를 축적했다. 단순 반복을 요구하는 업무에 자동화(Automation) 요소를 이식해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비즈니스 혁신에 기여한 핵심적인 기술이다. RPA가 활용성을 극대화하던 2010년 대 중반, 인공지능(AI)이 새로운 먹거리 기술로 급부상하면서 프로세스에 AI를 이식하는 차세대 방법론이 등장했다. 1차원적인 자동화에 그쳤던 RPA에 ‘지능화’를 불어넣는 신기법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거대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이하 LLM) 기반 생성형 AI(Generative AI)가 탄생하면서 가속화됐다. 이 같은 개념에 정점을 찍은 것이 바로 ‘AI 에이전트(AI Agent)’다. 시키던 업무만 하던 RPA에서 벗어나, 학습된 자율적 판단에 의해 규칙적이지 않은 ‘비정형’ 업무를 수행하고, 효율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비즈니스 비서 혹은 동료다. AI 에이전트는 각종 업무에서 발생하는 변수를 파악·차단하고, 비즈니스 목표에 최적화된 결정·
유아이패스가 지난 19일 진행된 ‘AI 서밋’에서 AI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생성형 AI 신기능과 LLM 제품군을 공개했다. 이를 통해 기업은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최적화된 AI 모델을 기반으로 자동화를 실현하고 생성형 AI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유아이패스 ‘비즈니스 자동화 플랫폼’은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최적화를 위한 엔드투엔드 자동화를 지원한다. 또한 자동화 프로그램에 AI 도입 시 가장 고려해야 할 4가지 핵심 요소인 ▲비즈니스 컨텍스트 ▲AI 모델의 유연성 ▲실행 가능성 ▲신뢰를 위해 기업의 생성형 AI 모델 및 도구의 성능과 정확도를 향상하고 고객의 비즈니스 과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래햄 쉘든 유아이패스 최고제품책임자(CPO)는 “기업이 AI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모든 업무에 적합한 AI 모델이 필요하다”며 “유아이패스의 차세대 LLM 제품군과 ‘컨텍스트 그라운딩’은 비즈니스에 특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형 AI 모델의 정확성, 일관성, 예측 가능성을 향상하고 가치 실현 시간(TTV)을 단축해 비즈니스 혁신을 지원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새로운 기능은 AI가 통합, 데이터, 컨텍스트, 자동화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