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과기정통부·복지부·식약처 등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R&D 2기 출범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6년부터 2032년까지 7년간 총 9408억 원(국고 8383억 원, 민자 1025억 원)을 투입하는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기)’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세계 최초 또는 최고 수준의 ‘게임체인저급’ 의료기기 6건 개발과 필수 의료기기 13건의 국산화를 목표로 하는 범부처 협력 프로젝트다. 기초·원천 연구부터 제품화, 임상, 인허가까지 의료기기 R&D 전 과정을 지원하며,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의료기기 개발에 중점을 둔다. 정부는 이를 통해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의료기기 산업을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2020년부터 추진된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1기)’의 성과를 기반으로 마련됐다. ‘1기 사업’은 2025년 8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으며 총 467개 과제를 지원해 최근 5년간(2020~2024년) 국내외 인허가 433건(국내 331건, 해외 102건), 기
소프트웨어 코드 사이즈 줄여 개발기간 크게 앞당겨 IAR 시스템즈는 자사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인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가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의 첨단의료기기 개발에 활용돼 스마트 의료 플랫폼 개발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보건복지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세계 수준의 신약 및 첨단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핵심 지원 인프라 구축, 의료 연구개발의 활성화 및 연구성과의 제품화 촉진을 목표로 설립됐다. 이를 위해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신약개발지원센터, 비임상지원센터, 바이오의약생산센터 등 핵심 연구시설을 운영 중인데, 그 중에서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는 IAR 임베디드 워크벤치를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최근에는 헬스케어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 워치나 패치, 또는 밴드 형태로 제작되는 이러한 디바이스의 개발은 기능 구현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인체에 착용했을 때 불편함이 적고, 배터리 전원을 이용한 작동 시간도 길며, 제품 출시를 앞당기도록 개발 기간을 줄이는 것이 관건이다. IAR 임베디드 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