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디지털화 함정 구현 도모...글로벌 함정 시장 공략 정조준 “스마트 함정 기반 방산 강국 도약 목표” HD현대가 경기도 판교 소재 ‘글로벌R&D센터’에 차세대 함정 개발을 위한 ‘함정기술연구소’를 개소했다. 지난 19일 출범한 이 연구소는 HD현대중공업의 특수선사업부 함정기술센터를 확대·개편한 기관으로, 앞으로 HD한국조선해양의 미래기술연구원 산하 조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HD현대는 급변하는 글로벌 함정 시장 트렌드에 대응 가능한 기술 개발과 각종 기술의 융합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특히 미래기술연구원이 보유한 전동화·디지털·인공지능(AI) 기술을 함정에 접목해 함정 원천기술을 선점하는 데도 이번 연구소가 활약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해군의 차세대 함정 개발 및 수출 함정용 모델 개발이 본격화될 예정이다. HD현대는 함정기술연구소를 거점으로 ‘함정 전동화’, ‘무인 함정 개발’, ‘수출 함정 경쟁력 강화’ 등 3대 함정사업 로드맵을 구축했다. 앞으로 함정 분야 우수 인재도 지속 발굴할 계획이다. 정기선 HD현대 부회장은 “첨단 디지털 기술을 탑재한 스마트 함정이 특수선 시장 패러다임의 축을 변화시키고 있다”며 “향후 함정기술연구소를 세계 최
[첨단 헬로티] 한국전기연구원(KERI, 원장 최규하)과 대우조선해양(대표 이성근)이 차세대 함정에 전기추진체계 기술을 적용하기로 합의했다. KERI와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6일, 차기구축함(KDDX) 등 차세대 첨단 함정에 전기추진체계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공동연구에 합의하고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 한국전기연구원 유동욱 부원장(왼쪽)과 대우조선해양 유수준 특수선본부장(오른쪽)이 차세대 첨단 함정에 전기추진체계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공동연구에 합의하고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전기추진체계는 기계식 추진 장치 없이 전기로만 함정을 추진하여 수중방사 소음을 최대한 제한할 수 있어 대잠수함 작전에서 생존성 확보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기추진체계는 대규모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대용량의 전기를 소모하는 레일건 등 미래 무기체계를 탑재할 수 있고, 자동화·무인화·네트워크화를 위한 ICT 체계도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의 최신예 구축함인 줌왈트(Zumwalt)와 영국 항공모함인 퀸 엘리자베스(Queen Elizabeth)도 전기추진체계를 적용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양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