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전시관·미술관을 찾은 고객의 관심사와 패턴을 분석하는 문화시설 전용 솔루션인 '컬쳐플러스'를 출시했다고 23일 밝혔다. 컬쳐플러스는 AI 분석 기술과 통신 데이터를 활용해 전시관 등 문화시설을 방문한 고객들의 패턴을 분석해 제공하는 서비스다. 다양한 문화시설은 컬쳐플러스가 제공하는 고객 데이터 분석을 활용해 전시 관람 동선을 개선하는 등 관람객의 이용 경험을 고도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컬쳐플러스는 ▲문화시설 방문객의 관심사와 지역을 분석하는 '방문객 빅데이터 분석' ▲내부 관람객의 이동과 관람 패턴을 분석하는 '관람객 동선 분석' ▲전시 관람 고객을 대상으로 비대면 모바일 설문 조사를 통해 만족도를 파악하고 이용 경험을 분석하는 '관람객 설문 조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제조·물류업을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를 활용한 업무효율화가 보편화되고 있지만, 문화·예술 분야에서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사례가 많지 않다는 점에 착안해 문화시설 전용 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컬쳐플러스를 개발했다. 각종 문화시설에 맞춤형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컬쳐플러스는 성별·연령·관람빈도
[헬로티] 한국산업단지공단(이하 산단공)과 ㈜오픈메이트는 ‘스마트산단 공유플랫폼 온라인 전시관 구축(K-booth)’ 자문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자문회의 모습(출처 : 오픈메이트) 산단공과 ㈜오픈메이트는 ㈜첨단 HelloT 등의 자문위원과 스마트산단 공유플랫폼 온라인 전시관 구축 개요에 대한 계획을 논의했다. 스마트산단 공유플랫폼 온라인 전시관에서는 K-Factory 기업회원을 대상으로 제조기업 홍보관 서비스(상시관), 온라인 박람회 개최 서비스(특별관)을 제공한다. 기업홍보가 필요한 제조기업, 온라인 박람회 참여 기업들에 중소 제조기업 홍보·마케팅 지원으로 제조거래 활성화 촉진이 기대되는 사업이다. 이 구축 사업은 전시관 개발(‘21.4~6)을 통해 영상 등록·테스트(’21.6~7) 후 전시관 오픈(‘21.7월 말) 예정이다. ▲출처 : 산단공 제조기업 홍보관 서비스(상시관)와 온라인 박람회 개최 서비스(특별관)에서는 ▲홍보콘텐츠 등록 및 뷰어 ▲홍보영상 등록기업 검색 ▲인콰이어리 수·발신 ▲영문지원 ▲URL제공 등을 지원한다. 기타 스마트산단 공유플랫폼 주요서
[헬로티] LG전자가 1일 ‘새로운 공간에서 경험하는 LG의 혁신(Experience LG Like Never Before)’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IFA 3D 가상 전시관을 오픈했다. ▲LG전자가 IFA 2020 개막을 앞두고 3D 가상 전시관을 오픈한다. LG전자는 뉴노멀 시대에 맞춰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인 IFA 2020에 새로운 방식으로 참여하기 위해 가상 전시회를 선택했다. 혁신적인 제품과 인공지능 LG 씽큐(LG ThinQ) 솔루션을 기반으로 집에서의 삶을 새롭게 정의하고 이색적인 방식으로 제안했다고 밝혔다. 가상 전시관은 PC나 모바일로 누구나 쉽게 관람할 수 있으며, 고객은 마이크로사이트에 접속해 PC나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해 전시를 즐길 수 있다. 콘텐츠는 한국어·영어·독일어 등 여러 언어를 지원한다. 앱을 다운로드하지 않아도 마이크로사이트에서 웹 버전에 접속해 바로 관람할 수도 있다. 가상 전시관은 LG전자가 2015년부터 매년 전시관을 꾸며온 메세 베를린(Messe Berlin) 18홀을 그대로 옮겨놨다. 고객이 접속한 시간에 맞춰 베를린 현지의 낮과 밤을 구분해 표현한 전시관 입구를 포함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