슐터(SCHURTER)는 2년 연속 FSAE 일렉트릭(UC Davis) 공대생들의 포뮬러 레이싱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매년 미국 전역에서 온 대학생들이 포뮬러 SAE 일렉트릭 대회에 참가한다. 자동차 공학회는 전기 자동차(EV) 엔지니어들이 오픈 휠, 1인승, 전기 경주차를 만들고 플랫폼을 제공하는 이 행사를 감독한다. 슐터의 USF 1206 퓨즈는 e-car #291의 맞춤형 배터리 팩에서 안전에 중요한 과전류 보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됐다. 배터리 단자 근처의 제한된 공간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해 적절한 전압 및 전류 등급을 갖춘 소형 퓨즈가 개발됐으며 USF 1206이 유일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슐터는 전했다. 슐터에 따르면 올해 UC Davis 팀은 작년의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제작 가능한 디자인을 만들 수 있었다. 배터리 셀의 전력 밀도와 향상된 냉각 효율도 실현됐다. 슐터 관계자는 “UC Davis 포뮬러 레이싱 팀의 공급업체가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광주 그린카진흥원이 완성차의 전자파 유해성을 측정하는 국제 공인 시험기관으로 지정됐다. 광주시는 출연기관인 광주그린카진흥원이 국가기술표준원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완성차 전자기 적합성(전자파 유해 간섭 환경) 분야 국제공인 시험기관으로 지정받았다고 3일 밝혔다. 전자기 적합성 평가는 전기·전자기기 또는 시스템이 전자파에 어떤 영향을 주고받고, 환경에 유해한 간섭 방해 요인은 무엇인지 측정하는 것이다. 전기 자동차가 증가하고 자율주행 차량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는 상황에서 이번 공인은 완성차 주행, 충전 중 안정성과 관련해 상호인정 협정을 체결한 세계 104개국으로부터 공신력을 확보한 것이어서 의미가 크다고 광주시는 전했다. 전자기 적합성 시험실은 국내 최대 규모로 전장 20m 굴절버스를 시험할 수 있는 챔버(실험실)를 갖췄다. 세계 최초로 전자파 발생 수신장치를 세 방향으로 상부에 매달아 조정할 수 있으며 바닥에는 노면과 동일한 주행 모의시험 설비를 보유해 차량의 자율주행 센서 동작과 전자기 적합성 시험이 가능하다. 그동안 다른 지역에서 인증을 진행했던 지역 완성차, 부품기업의 불편을 해소하고 미래 차 기업의 개발기간 단축, 해외 진출을 지원할 것으로
온세미 시연에서 산업 및 자동차 관련 최신 혁신 선보여 지능형 전력 및 센싱 기술의 선도 기업 온세미는 세계 최대 기술 혁신의 무대인 CES 2023에서 최신 혁신을 시연한다고 21일 밝혔다. 온세미는 자동차, 산업 자동화, 클라우드 전력 및 의료 시장, 특히 전기 자동차(EV), 첨단 안전, 공장 자동화 및 에너지 인프라를 위한 첨단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볼륨 불(volume boule)의 성장부터 동급 최고의 통합 모듈, 개별 패키지 솔루션 및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온세미의 엔드 투 엔드 실리콘 카바이드(SiC) 공급망은 시현을 주도할 것이다. 여기에는 트랙션 인버터, 온보드 충전 및 전기 자동차 충전도 포함된다. 온세미의 수직적 통합으로 OEM은 SiC 기술 및 공급 보증에 대한 전문성을 기대할 수 있다. 자동차의 경우는 초고속 다이내믹 레인지 및 플리커 LED 완화, 보기 및 센싱 애플리케이션, 고급 오토바이 안전을 위한 고성능 이미지 센서를 갖춘 지능형 센싱 솔루션을 주목한다. 온세미의 RSL10는 업계 최고의 저소비전력,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지원 마이크로컨트롤러로, 선도적인 하이테크 성능 타이어 제조업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