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중현 강남세브란스병원 연구팀, 척추 수술 회복 과정서 로봇 보조 보행 훈련 성과 발표해 일상생활 수행능력 38.6% 향상 효과 도출...기능적 보행지수, 수정 바델 지수 등 지표서도 효과 드러내 전 세계적으로 본격적인 로봇 시대가 열린 모양새다. 이에 의료계에서도 로봇 도입의 효용성을 입증하는 성과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박중현 강남세브란스병원 연구팀이 척추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로봇 기반 재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박 교수팀은 척추 수술 후 조기 재활 치료 방법 중 로봇보조보행훈련(Robot Assisted Gait Training, RAGT)을 방법론으로 채택하고 연구를 실시했다. 해당 연구는 지난 2023년 6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됐고, 32명의 환자와 물리치료사 5명이 실험을 전개했다. 환자는 로봇의 도움을 받아 보행 재활 훈련을 진행했다. RAGT는 수술 후 평균 약 18일이 경과된 환자를 표본으로 했다. 서기, 균형 잡기, 평지 보행, 계단 오르내리기 등 동작을 반복하는 형태로 설계됐다. 이 결과로 보행 능력 평가·분류 지표 ‘기능적 보행지수(Functional Ambulation Categries, FAC)’가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다. FA
운동은 젊은이부터 어른까지 신체 능력과 건강을 향상시키고 유지하기 위해 사회의 모든 사람에게 꼭 필요하다. 그러나 근력이 약한 사람이나 운동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은 체력 문제로 인해 운동을 계속적으로 실시하기 어렵고, 신체 능력과 운동 의욕이 서서히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신체 활동이나 훈련에 대한 동기를 높이기 위한 지원이 시각, 청각, 역각 등 다양한 모달리티를 구사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물리 치료와 같은 기존 재활 치료에 로봇 등의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데, 사용자의 운동 중에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퍼포먼스뿐만 아니라 만족감, 성공감 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도 알고 있다. 이러한 훈련 지원 기술은 유용하지만, 한편으로는 그러한 지원에서 벗어나 자력으로 훈련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예를 들어 로봇에 의한 역각적인 지원을 받는 상태의 훈련에 익숙한 사람이 갑자기 그 역각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됐을 때, 운동의 신체적 부하가 증가함으로써 심리적으로 낙담하게 될지도 모른다. 이러한 심리적 낙담이 동기부여를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운동 훈련을 중단하게 된다면 불행할 것이다. 피드백하는 정보를 연구함으로써 운동 지원이 심리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