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AI 반도체 기업 사피온은 AI 반도체인 '사피온 X220'을 도입한 NHN 데이터센터에서 패션 특화 AI 서비스인 '버츄얼 트라이온'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 검증을 마쳤다고 29일 밝혔다. 버츄얼 트라이온 기술은 내가 고른 옷이 잘 어울리는지 이미 가지고 있는 내 사진에 가상으로 의상을 입혀보는 기술이다. 단품 옷 뿐 아니라 어울릴 만한 다른 옷을 함께 조합해 볼 수 있다. 사피온과 NHN 클라우드는 2020년부터 협력을 통해 GPU 대비 향상된 기술과 성능을 검증하는 성과를 얻은 바 있다. 또한 상용서비스 운영을 위한 인프라를 확대 구축해왔고 NHN 클라우드의 AI 서비스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NHN클라우드는 다양한 카테고리 상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해 패션 분야에 특화된 서비스인 AI 패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술과 성능 검증 작업을 진행했다. NHN클라우드는 버츄얼 트라이온 서비스 부문에서, 엔비디아 T4 GPU 대비 사피온 반도체 X220이 처리속도 측면에서 5.1배 빠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저비용으로 차별화된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NHN클라우드는 NHN 데이터센터에 20
독일 자동차그룹 폭스바겐이 중국 시장을 강화하기 위해 총 24억 유로(약 3조3천600억원)를 투자해 중국 자율주행 반도체 기업 호라이즌 로보틱스(이하 호라이즌)와 자율주행 관련 합작회사를 설립한다.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폭스바겐은 소프트웨어 자회사 카리아드가 지분 60%를 보유하는 이 합작사가 중국에서 자율·보조 주행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합작사는 특히 관련 비용과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한 개의 반도체 칩에 통합하는 기술을 구현할 계획이다. 이 기술은 중국에서 판매되는 폭스바겐 전기차에 적용될 예정이라고 폭스바겐은 덧붙였다. 랄프 브란트슈타터 폭스바겐 중국 법인장은 합작사 설립으로 인해 중국 고객의 요구를 더 신속하고 일관되게 충족할 수 있게 되고 자사의 중국 내 위상 제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폭스바겐은 최근 전체 판매량의 40%를 차지하는 최대 시장 중국에서 제품·서비스 개선 압박을 받아왔다. 특히 다양한 차종에서 빚어지는 스크린 일시 멈춤 현상, 복잡한 기능에 대한 불만 등으로 중국 소비자들의 기호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면서 지난해 매출이 감소하기도 했다. 호라이즌은 미국 반도체기업 인텔,
[헬로티=이동재 기자] ▲서울 코엑스 국제인공지능대전 전시장에 설치된 모빌린트 부스. (출처 : 이동재 기자) 최근 주목받고 있는 시스템 반도체 스타트업 모빌린트가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국제인공지능대전에서 자사의 지능형 반도체 개발 현황을 공개했다. 지능형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를 통합한 형태의 반도체로, 딥러닝(AI 기법) 연산에 최적화된 프로세서다. 동시다발적인 연산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향후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 등 스마트 기능이 수행되는 다양한 산업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딥러닝을 통한 인공지능 솔루션이 4차 산업의 핵심으로 부상한 가운데,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GPU는 고성능의 인공지능 솔루션들을 수행할 때, 가격과 성능 면에서 한계가 존재해 지능형 반도체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프로세서로서 각광받고 있다. 모빌린트는 현장에서 자체 개발한 FPGA(프로그램이 가능한 비메모리 반도체)와 ASIC(사용자의 주문에 맞춰 설계, 제작하는 주문형 반도체)를 사용해 실행한 카메라 영상처리 및 라이다 탐지 과정을 공개했다. 해당 과정들은 저가의 저전력 칩을 이용할 뿐 아니라 대량의 연산이 가능해 경제적이고 활용도가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