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니링크가 자율주행 전문 자회사 퓨처링크에 217억 원을 투자하며 국내 자율주행 모빌리티 사업 확대에 본격 나선다. 포니링크는 19일 공시를 통해 종속회사인 퓨처링크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총 217억 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지난 12일 출자한 40억 원을 포함하면 총 257억 원으로 자율주행 사업 운영 기반 마련과 신규 서비스 개발을 위한 재원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퓨처링크는 지난 12일 설립된 모빌리티 전문 기업으로 자율주행 기반 택시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혁신 모빌리티 사업을 준비 중이다. 포니링크는 그동안 확보한 모빌리티 운영 자산과 자율주행 기술 경험을 퓨처링크로 단계적으로 이전해 전문성·효율성을 갖춘 사업 구조를 마련한다는 전략이다. 이번 증자를 통해 확보된 자금은 자율주행차량 운영 시스템 구축,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기술 검증, 초기 도시 운영비 등 핵심 인프라 확충에 투입된다. 포니링크는 현재 서울시 유상운송서비스 사업 인가 절차를 진행 중이며, 향후 제도가 정비되는 시점에 기존 유상운송 서비스의 운영권과 자율주행 차량을 퓨처링크로 이전할 계획이다. 이를 기반으로 퓨처링크는 국내 자율주행 택시 상용화를 목표로 사업 속도를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바이두가 자율주행 택시 애플리케이션(앱) 사업 계획을 공개했다. 지난 18일 중국증권망 등 매체들에 따르면, 리옌훙(李彦宏) 바이두 회장은 이날 개최한 '바이두 세계대회 2021'에서 자율주행차 택시 서비스 플랫폼 '뤄보콰이파오'(萝卜快跑)를 소개했다. 바이두가 개발한 자율주행차 '아폴로'를 활용한 이 서비스는 도로에서 뤄보콰이파오 표시를 한 아폴로 차량을 발견하면 앱으로 예약해 탈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아폴로 차량은 최근 2년간 베이징(北京), 광저우(廣州) 등 4개 도시에서 시범적으로 승객을 실어 날랐다. 올해 상반기까지 40만 명 이상을 태웠으며, 시범주행 누적거리는 1400만km에 달했다고 바이두는 밝혔다. 아폴로의 자율주행 관련 특허 건 수는 2900건이 넘는다고 소개했다. 리 회장은 앞으로 3년 안에 30개 도시에서 자율주행차 택시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바이두는 개발 중인 '아폴로 자동차 로봇' 개념을 이날 처음 제시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설정한 자율주행의 최고등급인 'L5' 기능을 갖춰 사람이 운전하는 것 이상의 안전성을 담보하고, 음성과 안면 인식 등 기능을 탑재해 사용자의 잠재적
▲ 테슬라 모델 S [사진=테슬라] [헬로티] 두바이에 자율주행기능을 갖춘 테슬라 택시가 도입될 예정이다. 두바이 도로교통부는 테슬라 모델S와 모델X 200대를 택시로 도입하기로 했다고 14일(현지시각) 밝혔다. 도입된 차량은 자율주행기능을 통해 택시역할을 수행한다. 두바이 도로교통부 장관 마타 알타에르(Mattar al-Tayer)는 “자율주행택시 도입은 두바이를 세계에서 가장 스마트한 도시로 바꾸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두바이는 2030년까지 개인 운송수단 25%를 자율주행차량으로 바꾸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테슬라 CEO 엘론 머스크(Elon Musk)는 “세계시장진출계획 일환으로 중동지역에 자율주행 서비스 및 인프라 개발을 위해 수천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테슬라는 2018년까지 아랍에미리트 내에 50개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김지환 기자 (ueghqwe@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