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쉴더스가 씨피식스와 자율주행차 보안 사업 확대를 위한 협력을 맺었다고 21일 밝혔다.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프리시던스 리서치 조사 결과 모빌리티 보안 시장이 연 18% 이상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SK쉴더스는 유망 스타트업 씨피식스와의 기술 협력을 통해 자율주행차 취약점 점검을 비롯해 모빌리티 보안 서비스 제공에 나선다. SK쉴더스는 IT기술에 발맞춰 보안 서비스 적용 분야를 넓혀왔다. 클라우드, AI 등 디지털 전환에 대응해 왔으며, 제조·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에서의 취약점 점검, 모의해킹을 수행하며 보안 수준을 높여왔다.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신기술이 집약된 자율주행차 보안 시장에서도 다년간 축적된 경험과 독보적인 보안 기술력을 선보인다. 최근 자율주행차, 전기자동차 등 모빌리티 산업에서의 데이터 및 통신 활용이 늘어나면서 이를 노린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정보보안과 관련한 인증제도와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유럽경제위원회(UNECE)가 제정한 차량 보안 규정(UNR155)에 따라 UNECE 협약국에 차량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사이버 보안 관리체계 인증(CSMS, Cybersecurity Management System)과
[첨단 헬로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일렉트로비트 오토모티브(Elektrobit Automotive)와 함께 자동차 사이버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긴밀하게 협력 중이라고 밝혔다. 양사는 온보드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고 현재 및 미래의 보안 요구를 충족하는 완벽하게 조화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하게 됐다. 이 솔루션은 인피니언의 2세대 멀티코어 마이크로컨트롤러 제품인 AURIX™(TC3xx)와 일렉트로비트의 zentur HSM 솔루션을 기반으로 한다. AURIX 마이크로컨트롤러 제품군은 자동차 내에서 통신 프로세스를 제어하고, 모니터링 및 보안 작업을 수행하고, 보안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모든 TC3xx 마이크로컨트롤러는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을 내장하고 키를 안전하게 생성하고 저장한다. HSM은 하드웨어 기반 대칭 및 비대칭 암호화 알고리즘과 해쉬 기능(AES-128, ECC 256, SHA2)을 사용한다. 따라서 무단조작에 대한 보호 및 속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하드웨어 지원으로 순수 소프트웨어 솔루션 대비 해쉬 계산(SHA256)이 150배 더 빠르다. 이것은 RSA 서명 검증과도 직결되는데, SOTA나 자율 주행 같은 대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