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IPA)가 미주 지역과의 물류 협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인 행보에 나섰다. IPA는 지난 15일(현지시각)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세계한인무역협회(OKTA) 로스앤젤레스 지회와 물류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현지 한인 경제단체들을 대상으로 인천항 물류 환경 설명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IPA와 OKTA 로스앤젤레스 지회는 이번 MOU를 통해 물류 지원, 공동 마케팅 추진, 상호 네트워크 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하게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이를 통해 미주 지역 한인 기업들의 물류 경쟁력을 높이고 인천항 이용을 확대하는 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로스앤젤레스 옥스포드 호텔에서 열린 인천항 물류 환경 설명회에는 미주 한인 물류협회 회원사, 냉동·냉장 화물(리퍼 화물) 관련 화주, 화물 운송 주선 기업 관계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하여 인천항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 자리에서 IPA는 인천항이 자랑하는 리퍼 전용 시설, 첨단 자동화 시스템, 경쟁력 있는 항만 배후물류단지 등 우수한 물류 인프라와 운영 경쟁력을 상세하게 소개하며 인천항의 강점을 적극적으로 홍보했다. 특히 미주 항로를 통해 인천항에 기항하는 선광 신
국내 최대 중고차 수출항인 인천항이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수출 기록을 경신했다. 1일 인천항만공사(IPA)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인천항에서 수출된 중고차는 모두 23만4000여대다. 이는 역대 최고 기록인 2019년 상반기 19만5000여대보다 20% 증가한 수준이다. 올해 국가별 수출 비중은 리비아 26.4%, 튀르키예 11.1%, 이집트 10.9%, 요르단 7.1%, 키르기스스탄 5.9% 순으로 집계됐다. 중고차 수출업계는 2021년부터 시작된 자동차 운반선 부족 현상이 장기화하자 컨테이너선을 적극 활용하면서 물동량 증가를 이끌었다. 올해 상반기 인천항에서 컨테이너선에 선적된 중고차는 18만3000여대로 자동차운반선 선적 대수 5만 여대의 3.6 배에 달한다. 다만 국내 전체 중고차 수출량 중 인천항이 차지하는 비중은 76.3%로 2019년 89.5%보다 13.2%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IPA 관계자는 "지난해 말 컨테이너 운임이 급락하면서 중고차 수출의 컨테이너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며 "이에 따라 국내 다른 항만에서도 중고차 수출물량 유치에 나서면서 인천항이 차지하는 비중은 소폭 낮아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헬로티 이
국내 최대 중고차 수출항인 인천항의 중고차 수출이 올해 들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항만공사는 올 상반기 인천항의 중고차 수출량이 15만729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22만6천195대보다 33.4% 줄었다고 9일 밝혔다. 특히 지난 6월 수출량은 1만9천221대로 지난해 같은 달의 3만5천361대보다 45.6% 줄어드는 등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 폭이 커지는 추세다. 평소 한국 중고차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리비아에 6월 수출한 물량은 1천403대로 지난해 같은 달 9천480대에서 무려 85.2%나 감소했다. 이에 대해 업계는 중고차 주요 수입국인 북아프리카·중동아시아·남아메리카 국가의 경제 상황이 악화하면서 중고차 수출량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했다. 또 미국 달러 대비 각국 화폐의 환율이 상승한 점도 중고차를 수입하려는 수요가 적어지는 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고있다. 박영화 한국중고자동차수출조합 회장은 "올해 봄까지만 해도 운반선 부족 문제로 중고차 수출이 어려웠는데 지금은 수입국의 실질 구매력 자체가 떨어진 분위기"라며 "복합 원인으로 중고차 수출량이 크게 줄어 업계의 어려움이 크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