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경험 풍부한 제조혁신 전문가를 통해 중소·중견 제조기업 애로사항 해결…스마트공장 도입에 필요한 ‘사전 기획’과 ‘사후관리’ 지원 인천테크노파크(인천TP)는 중소·중견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DX)을 돕기 위해 ‘제조DX멘토단 활용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대기업 등 현장경험이 풍부한 제조혁신 전문가로 구성된 ‘제조DX멘토단’을 활용해 스마트공장 기획·운영에 발생한 애로사항의 해결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 지원내용은 ‘사전 기획’과 ‘사후관리’로 나뉘어 진행된다. ‘사전 기획’은 △스마트공장 도입전략 수립 △기술적 애로 해결 △제조 노하우 전수 등을 컨설팅하는 내용으로, 약 1,000개 사를 대상으로 컨설팅 비용을 기업당 최대 238만 원(사업비의 85% 이내)을 지원한다. ‘사후관리’는 △HW·SW 결함에 대한 유지보수 △공정개선 등에 필요한 HW·SW 업그레이드 △사용자 역량 강화교육 등 스마트공장 활용도 제고를 위한 활동을 지원하는 내용으로, 250개 사 내외로 모집해 기업당 최대 1,900만 원(사업비의 50% 이내)을 지원한다. 지원신청은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접수한다. 신청 기간은 ‘사후관리’가 3월 31일 17시
인천테크노파크(원장 이주호, 이하 인천TP)는 지난 10일 인천스타트업파크 커넥트홀에서 ‘IoT 테스트필드 조성사업 성과 공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IoT 기술 실증 우수 사례와 최신 AIoT(지능형 사물인터넷) 기술 동향을 공유하며 관련 기업 간 기술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시작된 IoT 테스트필드 조성사업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전담기관, 인천TP가 수행기관,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이 협력기관으로 참여하여 2020년부터 추진되고 있다. 인천TP는 IoT 테스트필드 실증 인프라 및 지원사업을 소개하고 실증 우수 사례를 발표하며 AIoT 기업 간 기술 교류를 위한 네트워킹 자리를 마련했다. 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KIoT)도 협력하여 다수의 AIoT 기업 참여를 이끌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세미나에서는 AWS가 발표한 ‘생성형 AI와 IoT 기술 적용 사례’, KT의 ‘온디바이스 AIoT 기술 기반 주요 활용 사례’, TTA의 ‘글로벌 IoT 시험인증 센터 소개’ 등 최신 AIoT 기술 동향이 소개되었다. 또한 인천환경공단의 ‘스마트 IoT 환경기초시설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퓨콘의 ‘Io
인천지역 산학연(産學硏)이 정부의 지원을 받아 미래 교통수단인 개인용 비행체(PAV·Personal Air Vehicle) 조기 상용화에 시동을 걸었다. 인천시는 인천테크노파크·인하대·인천PAV협회 등과 함께 PAV와 핵심부품의 시험·성능 평가를 담당하는 복합중심센터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시는 이를 통해 PAV 상용화 시기를 앞당기고 '미래 관광·레저형 모빌리티 시범도시'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올해 5월 산업통상자원부 공모 사업에 선정된 이 프로젝트에는 향후 5년간 국비 100억원·시비 70억원 등 모두 186억원이 투입된다. 인천지역 산학연이 상용화를 추진 중인 PAV는 헬리콥터처럼 회전날개를 장착해 좁은 공간에서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고 공중에 머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천시는 PAV 핵심부품 종합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해 앞으로 10년간 6300억원의 생산·부가가치 유발효과와 1900명의 고용 유발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했다. 또 기존의 자동차부품업체 중 150곳이 PAV 산업으로 전환해 4만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남주 인천시 산업진흥과장은 "PAV는 오는 2030년을 전후해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
인천은 제조업체 비중도 높고 산업단지도 많다. 특히 전국 4번째로 많은 이노비즈기업과 3번째로 많은 연구개발조직은 인천이 왜 제조업 도시인지 말해주고 있다.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사업에도 지난해까지 총 588개사가 지원을 받았다. 올해는 108개사를 선정해 지원할 예정이라고 한다. 인천지역이 이렇게 빠른 기간에 제조업 경쟁력을 끌어올 수 있게 된 데에는 인천테크노파크(이하 인천TP)의 절대적인 지원 노력이 컸다. 인천TP의 스마트제조혁신센터 박상호 센터장은 “스마트공장 도입 목적은 디지털 전환”이라며 “인천지역 제조업 혁신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인천TP의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방안과 세부 지원 계획은 뭔지, 박상호 센터장을 만나 들어봤다. Q. 인천지역의 제조업 경쟁력을 평가한다면. A. 인천은 제조업 도시이다. 인천 내에 있는 전체 20만 여개의 사업체 중 제조업이 12%(25,000개)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은 편이다. 2019년 기준을 보더라도 전국 17개 시도 중, 제조업체 수가 7번째로 많고 제조업체 비중도 5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천은 남동, 부평, 주안을 비롯해 16개의 산업단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정학적으로 인접 지역에
탄소배출권 관련 아이템 공모…사업비 1억1천만 원 지원 인천테크노파크(인천TP)는 인천시와 함께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역 현안 해결형 시범사업’을 벌인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시범사업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가운데 하나인 블록체인 기술과 탄소배출권을 활용한 지역 현안 해결 서비스 실증 아이템의 고도화 또는 신규 개발을 지원한다. 인천TP는 공모를 통해 1개 기업을 선정, 서비스 고도화 또는 개발에 들어가는 비용을 많게는 1억1천만 원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 대상은 인천지역 중소기업 또는 인천으로 이전해올 기업으로, 국내 대학, 연구소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도 된다. 지원신청은 다음 달 7일까지 기업지원정보제공 사이트 비즈오케이를 통해 접수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비즈오케이 또는 인천TP 누리집를 열어보거나, 인천TP AI혁신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인천TP 관계자는 “지역 현안 해결은 물론 블록체인 관련 기업의 역량 강화, 실증기반 마련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이번 시범사업은 내년 신규과제 및 확산사업에 활용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中企 임직원 270여 명 대상…온라인으로 두 차례 진행 인천테크노파크(인천TP)는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을 위해 ‘스마트공장 아카데미’를 운영한다고 25일 밝혔다. 인천지역 중소·중견 제조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이번 교육과정은 ‘스마트공장 경영 이해’(CEO 과정·5월 19일), ‘스마트공장을 위한 MES(생산관리프로그램) 구축 실무’(재직자 과정·6월 16일) 등 두 차례에 걸쳐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인천TP 관계자는 “스마트공장은 생산제조 과정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해 생산성은 높이고 제품 불량률은 낮추는 등 생산시스템을 최적화하는 지능형 공장”이라며 “개별 기업에 적합한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TP는 스마트공장 구축 비용을 한 기업에 많게는 4억 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스마트공장종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신청 접수하면 된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인천시와 인천테크노파크(이하 인천TP)가 관내 SW개발기업들을 발굴·지원해 궁극적으로 글로벌 진출이 가능한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시키고자 ‘AWS 마켓플레이스 제품 등록 및 컨설팅 지원사업’ 지원기업을 모집한다. 지원사업 선정 SW개발기업은 자사SW를 AWS 기반 클라우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컨설팅 비용을 지원받는다. 메가존클라우드는 선정기업들이 아마존 마켓플레이스를 활용해 글로벌 비즈니스를 펼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천시는 지난 3월 AWS와 ‘AI 미래기술 동반 성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속가능 스마트도시 구현을 위한 인공지능(AI) 생태계 구축을 선포한 바 있다. 인천시의 성장 가능성이 있는 AI융합 기업들을 선정하고, AWS 클라우드 교육, 비즈니스 컨설팅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해 비즈니스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전략이다. 메가존클라우드는 클라우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국내 SW기업들의 AWS 마켓플레이스에 등록한 사례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또한 경쟁력 있는 SW를 직접 메가존클라우드 고객들에게 제공하여 매출 채널을 다각화시킬 수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인천항만공사가 전문업체·기관들과 손잡고 물류창고 운영 효율을 높이는 로봇 개발에 나섰다. 인천항만공사는 유진로봇·한국전자통신연구원·인천테크노파크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한국형 물류창고 운영 효율화를 위한 '모바일 물류 핸들링 로봇 상용화' 핵심기술 개발에 착수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며 국비 45억원을 지원받아 2024년 말까지 추진된다. 구체적으로 국내 중소형 물류환경에 최적화한 모바일 물류 핸들링 로봇시스템의 알고리즘과 통합 운영 시뮬레이션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공사는 이를 통해 기존 물류 인프라 시설을 변경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물류로봇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공사 관계자는 "중소물류업체가 현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물류로봇을 개발해 국내 물류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