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노이드 로봇 드림팀 ‘K-휴머노이드 연합’ 출범해 40여 개 산학연 ‘콜라보’...국가 주도로 2030년까지 1조 원 지원사격한다 공용 AI, 하드웨어 및 부품, AI 반도체, 배터리 등 로봇 기술 고도화에 ‘한뜻’ 인간의 모습을 모사한 로봇 ‘휴머노이드(Humanoid)’가 로보틱스 영역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테슬라·엔비디아·구글·메타·오픈AI·애플·아마존 등 이른바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휴머노이드 로봇에 베팅하고 있다. 여기에 지난 1월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 기조 연설자로 나선 엔비디아 CEO 젠슨 황(Jensen Huang)이 ‘피지컬 AI(Physical Artificial Intellegence)’라는 개념을 언급하며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몰입도를 극대화했다. 해당 개념은 로봇의 두뇌를 담당하는 기술로, 로봇이 실제 환경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는 로보틱스 분야 차세대 솔루션이다. 이 흐름에서 우리나라도 미래 K-로보틱스 판도를 뒤흔들 국가 주도의 방침을 발표했다. 이달 10일 본격 출범한 ‘K-휴머노이드 연합’이 베일을 벗었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소형 장구형(Globoid) 웜기어 기술로 집중 관심받아 “지속 가능한 발전 지원해...유지보수 비용↓ 설비 수명↑” 이스턴기어가 ‘제58회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 현장에 출격해 장구형(Globoid) 웜기어 기술을 전파했다. CES 2025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가 매년 주관하는 글로벌 IT 박람회로, 올해는 4500개사가 참가해 혁신 솔루션을 강조했다. 이스턴기어는 이 자리에서 자체 설계 기반 웜기어를 통해 고정밀 제조 기술을 선보였다. 이스턴기어 소형 장구형 웜기어는 기존 점·선 접촉 방식의 기어 설계를 탈피한 솔루션이다. 면 접촉 설계를 채택해 접촉 효율성을 극대화한 점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설비 간 마찰로 인한 마모 최소화와 기존 대비 10% 이상 동력 전달 효율을 끌어올릴 수 있다. 특히 이 웜기어는 내구성이 강화됐고, 크기 또한 30% 줄어들었다. 이러한 설계를 통해 로봇·우주항공 등 산업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스턴기어는 맞춤화(Customization)가 가능한 대형 기어에 대한 원천기술도 보유했다. 이번 CES에서는 이를 반영한 감속기·웜기어 융합 기술이 관심받았다.
로보월드, 재도전 성공패키지, 글로벌 이노베이터 페스타 등서 수상 이어져 “투자·연구개발 지속해 혁신 기어 기술 제공할 것” 이스턴기어가 다양한 산업 행사에서 연이어 수상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이스턴기어는 창업 아이디어 축제 ‘글로벌 이노베이터 페스타(GIF)’, 재창업 비즈니스 행사 ‘재도전성공패키지’, 로봇 산업 박람회 ‘국제로봇산업대전(로보월드)’에서 각각 대상·우수상·장려상을 받았다. 이스턴기어는 소형·정밀화를 요구하는 각종 산업에 특화된 장구형 웜기어(Globoid Worm Gear)를 공급하고 있다. 이 기술은 각 기어가 꺾이는 구조로 맞물려 협소한 공간에도 유연한 구축을 지원한다. 특히 기어 표면을 동시에 접촉하는 설계를 채택해 진동·소음 등을 최소화하고, 내구성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춰 디자인됐다. 이러한 특징은 미국기어제조공업회(AGMA)의 표준에 기인한 설계점이다. 해당 기술은 현재 소형 전자기기, 로봇 등 제품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스턴기어는 이를 더욱 고도화해 휴머노이드 로봇의 손가락·무릎 등 관절부에 특화된 기어·감속기 개발을 목표하고 있다. 곽유현 이스턴기어 대표는 “투자·연구개발(R&D)를 지속해 혁신 기어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