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부품 전문 기업 에스피지(SPG)가 로봇 산업 전문 전시회에서 각종 산업용 로봇 부품들을 소개했다. 에스피지는 5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 로보월드에서 부스를 꾸리고 전시회를 찾은 관람객들에게 로봇용 감속기 등 다양한 산업용 로봇 부품과 이들이 적용된 로봇들을 선보였다. 현장에서는 에스피지의 고성능 로봇용 감속기 및 서보모터용 유성감속기가 적용된 안티 드론 탐지 장비, 협동로봇 등이 관람객의 이목을 끌었다. 에스피지는 지난 약 50년간 소형기어드모터와 산업용기어드모터, 가전모터를 생산하며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로봇 및 공장 자동화 솔루션에 최적화된 초정밀 로봇 감속기와 정밀 감속기를 생산, 공급하고 있다. 이밖에도 에스피지는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한편 2006년 시작돼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2025 로보월드는 제조·스마트팩토리·자동화, 전문·개인 서비스로봇, 자율주행·물류로봇, 의료·재활·국방로봇, 서비스형 로봇(RaaS), 로봇부품·SW 등 다양한 분야의 로봇과 기술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국내 로봇 산업 전문 전시회다. 올해는 약 300여 개 기업이 1000여개 부스를 꾸려 역대 최
자동화 부품 전문 기업 단해가 로봇 산업 전문 전시회에서 어떤 물건이든 집어서 옮길 수 있는 소프트그리퍼를 선보였다. 단해는 5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 로보월드에서 전시회를 찾은 관람객들에게 크기나 무게, 형태와 상관 없이 다양한 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는 소프트그리퍼를 선보였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통적인 그리퍼들은 종종 픽업 물체의 모양, 유형, 위치 등과 같은 요소들에 영향을 받아 물체를 잘 잡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소프트그리퍼는 폴리머 실리콘 유연 재료로 제작돼 물체를 손상 없이 부드럽게 잡을 수 있다. 단해에 따르면 유연함이 강점인 소프트그리퍼는 3C산업이나 신선 식품, 제과/제빵에서부터 자동차, 제철 등 산업에까지 적용될 수 있다. 단해는 소프트그리퍼 외에도 리니어가이드, 롤러스크류, 유성감속기 등 제조 현장에서 쓰이는 다양한 제품을 관람객들에게 소개했다. 2006년 시작돼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2025 로보월드는 제조·스마트팩토리·자동화, 전문·개인 서비스로봇, 자율주행·물류로봇, 의료·재활·국방로봇, 서비스형 로봇(RaaS), 로봇부품·SW 등 다양한 분야의 로봇과 기술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국내 로봇 산업 전문 전시회다. 올해
모터114가 로봇 산업 전문 전시회에서 서보모터를 비롯한 각종 산업용 기계 설비 부품들을 선보였다. 모터114는 5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 로보월드에서 부스를 꾸리고 전시회를 찾은 관람객들에게 AC/DC 서보모터, 유성감속기, 드라이버 등 각종 산업용 설비 부품을 소개했다. 모터114의 부스에는 초소형 DC서보 드라이버, AMR(자율이동로봇) 구동부 DC드라이버, 물류 전용 DC 서보모터,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2축 제어 드라이버, 스텝모터 유성감속기, 물류로봇용 Flat 타이어, 드라이버 일체형 휠인모터, 조인트모듈 등 제품이 전시됐다. 특히 스텝 및 서보 드라이버 제조 전문 기업 리드샤인(Leadshine)의 클로즈드 루프 스텝 서보 드라이버(Closed Loop step survo driver) 제품들이 관람객들의 많은 관심을 끌었다. 모터114는 레인보우로보틱스, 우아한 형제들, 로보티즈 등 국내 여러 AGV, AMR, 서비스 로봇 제조사에 관련 부품을 납품하고 있다. 2006년 시작돼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2025 로보월드는 제조·스마트팩토리·자동화, 전문·개인 서비스로봇, 자율주행·물류로봇, 의료·재활·국방로봇, 서비스형 로봇(RaaS)
한강에프에이(Hangang FA)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고정밀 유성감속기(SPX-B, KPX-B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한강에프에이는 높은 정밀도와 안정성을 갖춘 SPX-B, KPX-B 시리즈 유성감속기를 전시하며 스마트팩토리 및 정밀 자동화 설비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시했다. 유성감속기는 로봇, CNC 장비, 산업용 자동화 시스템 등에서 정밀한 구동을 지원하는 핵심 부품으로 고효율·저소음 설계가 특징이다. SPX-B, KPX-B 시리즈는 고효율 구동 및 저소음 제어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최적화된 관성 모멘트를 제공하여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전체 서비스에 대해 무상 유지보수를 제공하며 고객 맞춤형 옵션을 지원한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흥진에이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각종 서보모터와 유성치차 감속기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흥진에이티가 전시장에서 선보인 유성감속기(Planetary Reducer) 모델 KSDD 시리즈는 헬리컬 기어 사용으로 부드럽고 조용한 운전이 가능하며 고정밀도로 정밀 제어에 이상적이다. 고강성과 높은 토크를 자랑하며 입력축이 Shaft Type이라 다양한 연결 방식에 용이하다. 흥진에이티는 설립 초기 자동제어시스템의 제조 및 판매로 기반을 구축했으며, 현재는 서보모터에 적용되는 유성치차 감속기의 수입, 판매를 통해, 현재 국내 유성치차 감속기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흥진에이티는 유성치차 감속기의 품질 향상을 위해 2006년 5월 연구소 및 공장을 설립,
삼익HDS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삼익HDS는 이번 SF+AW 2022에서 일본 하모닉드라이브의 제품들을 전시한다. 전시되는 정밀제어용 감속기 하모닉드라이브는 3개의 기본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형·경량화가 가능하다. 그럼에도 동시에 맞물리는 잇수가 많기 때문에, 보다 큰 토크를 낼 수 있고 매우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현재 31종류의 형상, 토크용량으로 0.5Nm에서 9180Nm(#3~#100)까지 풍부한 타입의 제품을 용도에 맞춰 보유하고 있다. 하모닉드라이브 시스템즈의 메카트로닉스 제품은 HarmonicDrive®와 각종 서보모터를 최적으로 조합한 고성능, 고출력의 액츄에이터다. 초고분해능으로 고정도 위치결정이 가능한 고성능 모터를 부착한 로터리 액츄에이터와 초미세량의 고정도 위치결정이 가능한 리니어 액츄에이터 상품을 주축으로 하고 있다. 서보 모터용 고성능 기어헤드인 하모닉유성감속기(HarmonicPlanetary®)는 하모닉드라이브(HarmonicDriv
[첨단 헬로티] “나라의 유성감속기 브랜드 가치는 세계 1위임을 자부하며, 5년 내 글로벌 리더가 되겠다.” 나라드라이브 전하준 이사는 세계 속의 으뜸기업 ‘나라’로 자리매김해 나갈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나라드라이브는 30년간 축적되어온 ㈜나라코퍼레이션의 정밀부품 설계 가공 조립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서보모터용 정밀 유성감속기를 개발, 지난해에는 일본에 수출하는 성과를 이뤘다. 그리고 올해 중공축형과 경제형 감속기를 잇달아 출시하며 고객의 선택폭을 넓혔다. 나라드라이브의 앞으로 비전과 계획을 전하준 이사에게들 어봤다. ▲ 나라드라이브 전하준 이사 Q. 나라드라이브의 경쟁력은. A. 저희 그룹사인 나라코퍼레이션의 유성감속기 사업부를 소형 정밀 유성감속기 부문만 별도로 전문화하고 특성화하여 만들어진 회사가 나라드라이브이며, 자체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나라코퍼레이션은 약 20년 전부터 선박엔진 구동용 유성감속기를 자체기술로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세계 1등 상품임을 자부하고 있다. Q. 경쟁사 제품과 비교했을 때 제품 경쟁력은 어떤가. A. 타사는 기어부와 프랜지부를 개별로 만들어서 압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LS산전이 국내는 물론 글로벌 FA 시장을 겨냥한 신제품을 공개했다. 이들 제품은 사용자 편리성을 담보한 기능성 확장으로 공간 효율성은 물론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켰다. 여기서는 네 가지 제품에 대해 소개한다. Micro Drive, ‘M100’ M100 시리즈는 단상 200V 0.1∼2.2kW까지의 라인업으로 총 3개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품은 콤팩트 타입으로 단위 소형기계 및 팬/펌프, 컨베이어 등의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콤팩트 제품 설계, 사이드 바이 사이드 설치, Din Rail 제공으로 공간 효율성을 높였으며, C2 EMC 필터 기본 내장과 신 UL 규격 적용으로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두 가지 I/O 제공(기본형, Advanced형), 주사용 파라미터 그룹 제공, 포텐셔미터 내장, 파라미터 카피어/리모트 키패드 옵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제품을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게 했다. ▲ M100 HVAC/PUMP 전용 드라이브 ‘H100 시리즈’ 중대용량 H100 시리즈는 HVAC/Pump 전용 드라이브이다. 이번 신제품 출시로 LS산전은 5.5∼500kW까지 풀 라
[첨단 헬로티] LS산전은 다양한 종류의 어댑터 및 부싱 제공을 통해 모든 타입 서보 모터의 간편한 취부가 가능한 유성감속기를 선보였다. Straight 타입은 3 :1에서 100 :1, Angle 타입은 3 :1에서 200 :1까지 다양한 감속비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성능 면에서는 표면 열처리 방법 중 가장 발달된 방식인 나노 단위 플라즈마 이온질화법 적용을 통해 토크를 극대화했을 뿐 아니라, 정밀 가공을 바탕으로 최적의 동심도를 제공하여 저소음, 최소 수준의 마모도를 구현했다. 또한 클램프 방식의 셋컬러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슬립 없는 최적의 체결 방식을 가능하게 했다. LS산전 유성 감속기는 시장 최저가, 최단 납기 실현을 바탕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식음료, 포장기계, 물류기계 등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