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로봇 상호작용(HRI) 특화 지능 기술로 휴머노이드 폼팩터 확장 노려 상용 로봇 운영 데이터 기반 ‘감정 공감형 휴머노이드’ 상용화 박차 엑스와이지가 ‘K-휴머노이드 연합’ 기술 공급 기업으로 최종 선정됐다. 연합은 국내 로봇 산·학·연·정 공식 협력 플랫폼으로, 지난 4월 공식 출범했다. 이들은 로봇 인공지능(AI) 모델, 로봇 하드웨어, 반도체, 배터리 등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오는 2030년 휴머노이드 최강국 실현을 꿈꾸고 있다. 엑스와이지는 그동안 물류·식음료(F&B) 현장에서 상용 로봇 운영 경험과 로봇 지능 기술을 지속 축적했다. 이를 바탕으로 인간·로봇 상호작용(HRI)에 특화된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 중이다. 이 모델은 실제 사용자와 로봇의 상호작용 데이터를 학습하며, 이동형 매니퓰레이터에서부터 휴머노이드 폼팩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능 모델로 확장 가능한 구조를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각종 매장 내 사용자를 인식하고 대화하며, 제품을 전달하거나 요구를 수행하는 시각언어모델(VLA)·청각언어모델(ALA) 기반의 지능형 상호작용 기술이 핵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반 가상 환경 솔루션...운영 중인 상용 매장에 적용 가능해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등 다양한 로봇에 확장 적용될 것으로 엑스와이지가 상호작용(Interactive) 콘텐츠 제작 툴 ‘유니티(Unity)’ 기반 원격 교시 및 모방학습(Imitation Learning) 환경 ‘트윈엑스(TwinX)’를 공개했다. 이 차세대 로봇 지능화 기술은 ‘유니티와 함께하는 로봇 산업의 혁신과 도약’ 행사에서 현장 시연과 기술 설명을 통해 주목받았다. 해당 행사는 게임 엔진 개발사 유니티코리아(Unity Korea)가 주최하는 행사로, 로봇 산업에 유니티 엔진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와 관련된 최신 기술 및 비전을 공유했다. 엑스와이지는 이 자리에서 자사 서비스 로봇 ‘바리스브루(Barisbrew)’가 운영 중인 라운지엑스 24h 매장을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환경으로 구현했다. 이 환경은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로봇을 제어·조작하는 기술인 ‘텔레오퍼레이션(Tele-operation)’을 기반으로 한다. 이를 활용해 원격 교시와 모방학습이 가능하다. 로봇 오퍼레이터의 행동을 가상화된 매장의 로봇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