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코는 정부가 주도하는 ‘서울 AI 기업 서약’에 동참한다고 13일 밝혔다. 서울 AI 기업 서약은 지난 5월 정부가 주최한 ‘AI 서울 정상회의’의 연계 행사인 ‘AI 글로벌 포럼’에서 발표됐다. 삼성전자, KT,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오픈 AI 등 국내외 인공지능(AI) 관련 기업 14곳이 참여 의사를 밝혔다. 서약은 ▲국제 표준 개발을 위한 협력 강화 ▲지속가능한 AI 발전과 혁신을 위한 시스템 개발 및 투자 ▲전문인력 육성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AI 서비스 출시 ▲글로벌 과제 해결을 위한 AI 솔루션 개발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척 로빈스 시스코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4월 AI 개발 윤리와 평등한 기술 발전 혜택을 위해 노력할 것을 다짐하는 교황청의 문서인 ‘로마의 호소’에 서명했다. 2020년 2월 발표된 로마의 호소는 사회에 도움이 되는 AI 기술 개발을 촉구하기 위해 투명성, 포용성, 책임감, 공정성, 신뢰성, 보안 및 프라이버시 등 6대 원칙을 기반으로 한다. 최지희 시스코코리아 대표는 “AI 기술의 윤리적 발전을 촉진하고자 하는 정부의 노력에 동참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이번 서약은 안전, 혁신, 포용이라는 목표 아래
엠클라우드브리지가 중견·중소기업을 위한 기업용 오픈 AI 및 챗GPT 업무 플랫폼인 ‘보급형 Ai 365’를 출시했다. 보급형 Ai 365는 기존 오픈AI 플랫폼의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독립된 클라우드 서버와 애저 AD 기반의 강화된 보안을 제공해 기업 내부 정보 유출 없이 즉시 적용 및 사용이 가능하다. 보급형 Ai 365는 기업 내 문서 및 지식 정보·외부 정보 통합·자연어 형태 요약 제공 기능을 갖춘 AI 채팅(GPT), AI 이미지(DALL-E) 생성, AI 사내 지식 검색·메일 및 회의록 작성의 AI 업무 도우미 기능을 제공한다. 이혁재 엠클라우드브리지 대표는 "보급형 Ai 365는 약 5일 내 적용이 가능해 초기 비용 외에는 매월 실제 사용량만큼 청구된다"며 "중견·중소기업이 합리적인 비용으로 생성형 AI를 도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보급형 버전 이후 프로 버전 사용 시, 오픈 AI와 연계된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 분석 플랫폼 패브릭 기반 경영보고서 BI, 업무자동화 RPA, 한국형 전자결재 도입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엠클라우드브리지는 ‘기업 생성형 AI 업무 플랫폼 도입을 위한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 &
LG CNS가 화상회의 다중 통역 솔루션 ‘오렐로(Orelo)’를 출시했다. ‘오렐로’는 국제공용어인 에스페란토(Esperanto)어로 ‘귀’를 뜻한다. 오렐로는 음성만으로 약 100개 언어를 구별하고 회의 참여자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동시통역하는 솔루션이다. 예를 들어 한국인이 베트남인, 미국인, 일본인과 화상회의를 주최한 뒤 “LG CNS의 ‘DAP Gen AI 플랫폼’을 소개하겠습니다”라고 말하면, 오렐로는 해당 발언을 한국어로 인식한다. 이후 오렐로는 인식한 내용을 베트남어, 영어, 일본어로 곧장 옮겨 채팅창 형태의 자막으로 회의 참여자들에게 제공한다. 이어 베트남인이 질문할 경우 베트남어를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으로 동시통역하는 식이다. 일반적인 화상회의 통역 솔루션은 회의 참여자들의 사용 언어와 무관하게 영어 등 1개 국어로만 통역하지만 오렐로는 3개 이상의 다국어 동시통역이 가능하다. 오렐로에는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회의록 작성 기능’도 포함됐다. 오렐로는 이용자들이 1시간가량 진행한 회의를 A4 한 페이지 내외로 정리한다. LG CNS는 회의록 작성에 최적화된 프롬프트를 오렐로에 적용했다. 프롬프트는 AI가 답변을 정교하게 할 수 있게 만
AI 기능 및 개발자 경험 대폭 강화한 플랫폼 업데이트 발표 글로벌 엔터프라이즈용 자동화 소프트웨어 기업 유아이패스가 AI 및 거버넌스 기능을 대폭 강화한 플랫폼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기업 내에서 책임감 있는 AI 도입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컴플라이언스를 간소화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엔터프라이즈 거버넌스, 보안 및 분석 기능을 탑재한 유아이패스 플랫폼을 통해 고객은 더 많은 자동화 기회를 발굴하고 자동화 도입 및 확장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AI 기능 탑재로 고도화된 유아이패스 플랫폼 2023.4는 단순 자동화부터 고급 자동화까지 폭넓은 자동화 범위를 제공하며 시스템과 이해관계자,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신속하게 분석해 자동화 가치를 실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오픈 AI,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클라우드 등과 같은 외부 AI 모델과 결합이 가능하고 고도화된 로우코드 툴, 솔루션 액셀러레이터, 자동화된 테스트를 통해 시민 개발자 및 개발자들이 자동화를 비즈니스에 빠르게 적용하도록 돕는다. 프로세스 마이닝, 태스크 마이닝, 커뮤니케이션 마이닝, 유아이패스 자동화 클라우드 등 유아이패스 핵심 솔루션에 적용될 계획이다. 그래햄
입력 가능 데이터 크기 제한…"자체 클라우드로 유출 우려 적어" SK텔레콤은 업무 효율을 높일 목적으로 사내망에서 챗GPT를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4일 밝혔다. 통신업계에서 GPT 서비스를 업무에 정식 도입한 것은 이 회사가 처음이다. SK텔레콤은 업무에 필요한 번역이나 문서 요약, 정보 검색 등에서 편의성을 높일 목적으로 챗GPT 활용 방침을 구성원을 대상으로 공지했다. 사내 웹사이트에 신설된 챗GPT 메뉴에서 대화창을 열어 인공지능을 업무에 활용한다. 다만, 오픈 AI에서 무료로 공개한 챗GPT 서비스와 차이가 있다는 설명이다. SK텔레콤은 챗GPT 기반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사용해 사내 전용 챗봇 서비스를 만들고 인트라넷에 탑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번에 최대 2킬로바이트 텍스트나 이미지만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제한했고, 입력한 데이터가 내부 클라우드 안에서 공유되기 때문에 외부 유출 위험이 적다고 SKT는 덧붙였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안전한 보안 환경에서 챗GPT를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발 빠르게 외부 기술을 적용해 에이닷 등 자사 AI 서비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줌(Zoom Video Communications, 이하 줌)이 27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열린 '엔터프라이즈 커넥트'에서 '줌 IQ' 서비스를 확장한다고 밝혔다. 줌IQ는 챗 스레드 요약, 아이디어 정리, 챗·이메일·화이트보드 세션 초안 작성, 회의록 작성 기능 등을 통한 협업 강화로 잠재력을 끌어올리는 스마트 동료(companion) 역할을 한다. 줌은 또한 이날 줌 IQ에 오픈 AI를 적용, 유연한 고유의 AI 연합접근법에 박차를 가한다고 전했다. 줌의 AI 연합접근법은 줌의 자체 AI 모델, 오픈AI와 같은 AI 선도 기업의 모델 및 고객의 자체 모델 등을 활용한다. 줌은 여러 유형의 모델을 유연하게 활용함으로써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적극 응대한다는 계획이다. 고객의 어휘와 요구사항 등에 맞춰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하도록 모델 커스터마이징도 가능하다. 스미타 하심 줌 최고제품책임자는 "줌은 오랫동안 고객의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줌 제품에 AI 솔루션을 도입해왔다"며 "AI에 대한 줌의 고유한 접근방식은 고객이 원하는 유연성을 제공하고 협업과 고객 관계를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오늘날의 업무 환경에서 근무자들은 이메일, 팀
대한상의 금융산업위원회서 논의…"금융산업 퀀트 등에 AI 접목하면 혁신"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에서 한국이 미국과 중국 등에 뒤처지고 있어 연구개발과 인재 육성에 더 힘써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7일 서울 웨스턴조선호텔에서 금융산업위원회 제39차 전체회의를 열어 최근 챗GPT가 주도하는 AI 기술의 미래와 금융산업에 대해 논의했다. 강연을 맡은 김선주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AI 기술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챗GPT에서 볼 수 있듯이 미국이 앞서가고 그 격차는 커질 것으로 예상되나 우리나라는 격차를 줄이기에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 오픈 AI, 앨런연구소나 캐나다 벡터연구소 같은 대표 연구소를 통해 집중화한 AI 연구개발(R&D)과 인재 육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영국 데이터 분석 미디어 토터스 인텔리전스의 글로벌 AI 지수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 중국, 영국, 캐나다, 이스라엘, 싱가포르에 이어 7위 수준이다. 특히 한국은 AI 인재(28위), 데이터 관련 규제 등을 포함하는 운영 환경(32위) 부문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 또 김 교수는 "금융산업 분야에서는 개인화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