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12개 제품 평가결과…탄소배출 연 4만7000톤 절감 우리나라 전체 가구가 LED 전구를 고효율 제품으로 바꿔 쓰면 연간 170억원대 비용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LED 전구 12개 제품을 시험·평가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4일 밝혔다. 시험대상 제품은 남영LED, 노브랜드, 두영조명, 루미앤, 번개표, 포커스, 오스람, 온리프라이스, 장수램프, 필립스, 홈플러스 시그니처, GE 등의 LED 전구 12개 제품이다. 소비전력당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광효율은 홈플러스 시그니처와 GE 브랜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광효율이 높은 제품을 사용하면 에너지를 절감하고 탄소 배출량도 줄일 수 있었다. 소비자원 시험 결과 광효율이 낮은(80lm/W) LED전구 1개를 고효율(131lm/W) 제품으로 교체하면 최대 39%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었다. 전국의 2200만가구가 고효율 LED 전구로 교체하면 연간 176억원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47kt(킬로톤)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었다. 소비전력량도 110GWh 절감됐다. 밝기(광속)는 홈플러스 시그니처 제품이 가장 밝았고 전구를 사용했을 때 사물
농업용 조명 솔루션 강화 및 북미지역에서의 시장 입지 넓힐 것으로 기대 글로벌 조명 기업 시그니파이가 독일 조명 기업 오스람의 계열사이자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본사를 둔 농업용 조명 공급업체 플루언스(Fluence)를 인수했다. 시그니파이는 이번 인수를 통해 자사의 농업용 조명 기술력에 플루언스가 특화된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더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 캐나다와 미국의 여러 주에서의 합법화로 인해 현재 플루언스 매출의 대부분을 창출하고 있는 대마초 재배를 위한 조명 레시피를 제공받게 된다. 플루언스는 매출의 대부분을 북미에서 창출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에는 빛 품질, 열 관리, 설치 방법 등에 대한 약 140여 건의 발행 및 출원 중인 특허가 포함돼 있다. 이로써 시그니파이는 재배농가에 자원 소비를 줄이고, 수확량을 높여 자사의 목표인 식품 가용성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농업용 조명 솔루션을 강화하고 북미지역에서의 시장 입지를 넓힐 수 있게 됐다. 시그니파이 디지털 솔루션 부문 리더인 하르쉬 치탈(Harsh Chitale)은 “이번 인수는 시그니파이가 북미에서 입지를 확보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첨단 헬로티] LED 조명 트렌드가 바뀌고 있다. 지금까지는 ‘LED조명=에너지 절감’이라는 생각에 기존조명을 교체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면, 최근에는 빛의 품질, 제품의 안전성 등 다양한 요소로 소비자들의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그렇다면, 2019년 소비자들이 선택한 조명은 무엇일까? 레드밴스는 올해 시장에서 사랑받은 레드밴스 제품 3가지를 소개했다. 최고의 품질, 가성비 TOP ‘레드밴스 LED방등’ ▲ LED방등 <사진 : 레드밴스> 2018년 4월 출시되어 꾸준히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아 온 ‘LED방등’은 거실 및 안방, 공부방 등 일반가정의 천장등으로 설치가 가능한 제품이다. 이 조명은 슬림한 두께와 심플한 라인은 실내 인테리어 분위기를 더욱 돋보이게 한다. 균일한 배광으로 고품질의 빛을 제공해 편안한 실내 연출이 가능하고 2종의 광색(백색, 주광색)으로 출시돼 적용 장소에 맞게 광색을 선택할 수 있다. 기존 형광등 대비 에너지 소비가 최고 50% 이상 낮고, 수명은 최대 3만 시간으로 높은 효율성을 자랑한다. LED방등은 최근 한국소비자원의 LED등기구 품질검사 결과 우수성
[첨단 헬로티] 레드밴스가 기존의 수은가스램프(HQL)을 대체할 수 있는 신제품 ‘오스람 HQL LED 하이베이 램프’를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공장, 창고, 물류센터 등 대형시설에 쓰일 수 있도록 높은 천장에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LED램프다. 이 LED램프는 별도의 등기구 공사 없이, 기존의 수은가스램프(HQL)를 제거한 후 바로 LED조명으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수은가스램프(HQL)보다 최고 65%의 전기에너지를 절감하고, 5만 시간의 긴 수명시간을 자랑한다. 130lm/W이상의 높은 조명 효율로 빠른 투자비 회수뿐만 아니라 관리비도 절감할 수 있어 유지보수 및 교체가 어려운 대형시설에 적합하다고 평가된다. 이외에도 IP40등급의 방진·방수기능을 갖춰 실외 설치가 가능하고, 효율적인 열관리로 영하 20도에서 영상 60도까지 어떤 온도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95W, 140W 2종의 전력과 ▲4000K, 6000K 2종의 색온도 중 선택할 수 있으며, ▲소켓 사이즈는 E40이다. 레드밴스 관계자는 “공장, 창고 등과 같은 대형시설의 조명은 오랜 시간 동안 넓은 장소를 밝혀야 하기 때문에
[첨단 헬로티] 독일의 글로벌 조명기업 레드밴스(대표 김대진)가 ‘오스람 Dulux L LED(둘룩스 엘 엘이디) 25W’를 출시했다. 이번 제품은 소비전력 55W의 이관 형광램프를 대체할 수 있는 LED조명으로, 연초 선보인36W 대체제품 ‘Dulux L LED (둘룩스 엘 엘이디) 18W’에 이어 추가로 출시됐다. ‘Dulux L LED 18W’가 교체작업의 간편함과 풍부한 배광, 전기에너지 절감 등으로 소비자 호평을 받고, 수요가 증가하면서 55W 대체 제품까지 라인업을 강화한 것이다. 이를 통해 레드밴스는 이관 형광램프 교체시장을 집중 공략하며, LED 천장등 조명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Dulux L LED 25W’는 별도의 안정기 교체나 등기구 교체 필요없이 기존 조명인 이관 형광램프(55W)를 제거하고 바로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컴팩트 형광램프 대비 에너지 소비는 최대 50% 적고, 수명은 3배 더 긴 30,000시간으로 높은 효율성을 자랑한다. 유리로 만들어진 램프 바디는 빛의 산란작용으로 더욱 풍부한 배광을 제공하고, 램프 바디 끝에도 유리관이 연결되어 있
[첨단 헬로티] 독일 조명기업 레드밴스가 7월 12일부터 한달 간 서울 논현동에 위치한 친환경 원목가구 브랜드 세레스홈의 강남점에서 ‘오스람 스마트 플러스 램프(OSRAM SMART+ LAMP)’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 레드밴스와 세레스홈이 함께하는 이번 팝업스토어는 최근 집스타그램, 홈까페 등의 트렌드에 맞춰 까페 같은 집을 테마로 마련됐다. 레드밴스의 스마트조명 ‘오스람 스마트 플러스 램프’와 세레스홈의 친환경 가구를 함께 활용하여 조명과 가구의 조화로운 인테리어 및 공간별 적절한 조명 설치 방법을 소개한다. 특히 레드밴스는 천장, 스탠드, 벽등 등 다양한 위치에 스마트조명을 설치해 스마트 조명의 광범위한 활용법을 선보이고,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 간편하고 손쉽게 제품의 전원, 컬러,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소비자 체험의 기회도 제공한다. 레드밴스의 ‘오스람 스마트 플러스 램프’는 스마트기기를 통해 편리하게 조명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제품이다. 조명의 전원을 키고 끄는 것은 물론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1,600만 가지의 조명 색깔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다. 세레스홈
▲ 레드밴스의 ‘오스람 LED 벨류 스틱’ 주방등 설치사례(사진 : 소비자 손승은 씨 페이스북) [첨단 헬로티] 민간 아파트들이 LED조명 설치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LED조명시장 확대의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광산업진흥회에 따르면 2017년 국내 LED 시장 규모는 7조4400억원에서 2018년에는 8조8320억원으로 18.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성장의 주요 요인은 건축시장 LED조명 도입 확대, 정부의 LED 관련 보급 예산 증가 등이 손 꼽히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LED 조명시장의 성장이 두드러 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LH가 작년 하반기부터 건설하는 모든 LH아파트에 LED조명을 100% 적용하고, 2019년부터는 민간 건설사도 본격 참여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난해 연말 LH가 영구임대주택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조명교체 사업의 범위도 거실등에서 화장실, 베란다 등 집안 전체로 확대되면서 LED조명 보급은 더욱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글로벌 조명기업 레드밴스 관계자는 “녹색 LED조명 보급 활성화 방안에 따라 2020년까지 우리나라 LED조명 보급률은 국가 전체 60%,
▲ 오스람 전문 조명 사업 부문 CEO Hans-Joachim Schwabe(오른쪽)와 콘티넨탈 차체 및 안전성 사업 부문 책임자 Andreas Wolf(왼쪽) [첨단 헬로티] 두 기술 업체 오스람(Osram)과 콘티넨탈(Continental)이 합작투자사 설립 계획을 오늘 발표했다. 양측은 자동차 산업을 위한 지능형 조명 솔루션을 개발, 제조 및 판매하고자 혁신적인 조명 기술에 전자공학과 소프트웨어를 접목할 계획이다. 이 국제적인 합작투자사는 오스람 콘티넨탈(Osram Continental GmbH)이라는 상호로 운영되며, 뮌헨 지역에 등록사무소를 설립할 예정이다. 오스람과 콘티넨탈은 이 합작투자사의 지분을 각 50%씩 보유한다. 합작투자사를 설립하는 목적은 전 세계 17개 사무소에 약 1,500명의 직원을 두고, 약 5억 유로에 달하는 연간 매출을 달성하는 것이다. 오스람의 Dirk Linzmeier (CEO)와 콘티넨탈의 Harald Renner (CFO)가 상무이사로 지명됐다. 합작투자사는 구속력 있는 계약과 반독점 승인과 관련된 최종 계약에 따라 2018년부터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오스람은 합작투자사에 자사의 자동차 SSL(Solid State
오스람의 일반조명 기업 레드밴스(LEDVANCE, 대표: 김대진)가 한국 시장을 겨냥해 높은 시스템 효율성과 최첨단 광학 디자인을 갖춘 ‘LED 하이베이(High Bay)’를 출시한다. 신제품은 창고, 물류센터 등 중·고층 높이의 상업 건물에 적합한 고천장용 LED 조명으로, 유럽의 까다로운 조명 안전 기준을 부합하는 높은 품질을 갖췄다. 120W, 150W, 200W 세 가지 타입으로 출시됐으며, 6500K 한 가지 색상을 제공한다. LED 하이베이는 기존 수은등 또는 메탈할라이드 하이베이 등기구를 완벽하게 대체하며, 기존 조명 대비 최대 50%까지 에너지를 절감해 경제적이다. 총 수명은 총 5만 시간으로, 하루 10시간씩 사용 시 약 14년을 사용할 수 있다. 콤팩트하고 고급스러운 레드밴스만의 디자인을 입은 신제품은 기구 뒤편의 공기 구멍을 통해 공기를 투과시켜 기구 및 LED 드라이버의 열 관리가 탁월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설치 옵션을 팬던트와 브래킷 두 가지로 제공해 사용자의 환경에 맞게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밖에 △100ml/W의 높은 조명효율 △IP65 등급의 방수·방진 성능 △넓은 배광(90
연평균 15.8% 성장, 2020년 560억 달러 시장 형성할 것 스마트 조명 산업은 사물인터넷 시대를 맞아 빠르게 커지고 있다. 조명이 단순히 빛을 제공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무선 통신기술과 결합해 사람과 공간, 환경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티드 조명’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세계 스마트 조명 시장은 2020년 560억 달러(약 57조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지난해 11월, 더 팔래스호텔에서 열린 ‘스마트·통신 조명 시장 분석과 전망’ 세미나에서 오스람의 이주성 상무가 발표한 내용을 정리했다. ▲ 오스람의 이주성 상무 오스람은 필립스, GE와 함께 세계 3대 조명 생산업체 중 하나이다. 세계 19개국에 49개의 공장을 갖고 있으며 약 150개국에 수출하고 있다. 오스람 제품은 가전제품, 자동차, 반도체 생산 장비, 광학용 기기 등에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위성 시스템, LCD 모니터, 모바일 폰, 모바일 터미널, 보안용 감시장치 등에 이용되는 발광 다이오드 램프(LED) 개발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약 5천종의 램프를 생산하고 있으며 매년 총매출액의 약 5% 를 연구
연평균 15.8% 성장, 2020년에는 560억 달러 시장 형성할 것 스마트 조명산업은 사물인터넷 시대를 맞아 빠르게 커지고 있다. 조명이 단순히 빛을 제공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무선 통신기술과 결합해 사람과 공간, 환경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티드 조명’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세계 스마트 조명시장은 연평균 15.8% 성장해 2020년에는 규모가 560억 달러(약 57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지난 11월 26일 반포동 더 팔래스호텔에서 열린 ‘스마트·통신 조명 시장 분석과 전망’ 세미나에서 오스람의 이주성 상무가 발표한 내용을 정리했다. ▲ 오스람의 이주성 상무 오스람은 필립스, GE와 함께 세계 3대 조명 생산업체 중의 하나이다. 세계 19개국에 49개의 공장을 가지고 있으며 약 150개국에 수출하고 있다. 오스람 제품은 가전제품, 자동차, 반도체 생산 장비, 광학용 기기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위성 시스템, LCD 모니터, 모바일 폰, 모바일 터미널, 보안용 감시장치 등에 이용되는 발광 다이오드 램프(LED) 개발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약 5천종의 램프를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