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대형언어모델의 공공부문 실제 현장 도입 사례인 것으로 알려져 코난테크놀로지가 한국남부발전㈜의 생성형 AI 구축 및 학습용역 사업을 계약했다. 이번 계약은 생성형 AI를 활용해 사내 업무 지능화, 서비스 자동화, 업무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추진되는 사업으로, 국내 첫 대형언어모델의 공공부문 실제 현장 도입 사례다. 사업비는 41억6565만 원이며 사업기간은 13개월이다. 코난테크놀로지 자체 기술로 독자 공급한다. 사업 범위는 텍스트와 이미지 생성이 가능한 생성형 AI 시스템 구축, 공공기관 공통 분야와 발전 분야에 대한 지식 수집 및 학습, 한국어에 기반 한 생성형 AI의 보고서 작성, 요약, 번역, 분석 및 코딩·Q&A, 생성형 AI 모델의 학습·배포 및 운영 등 관리 기능이 포함된다. 아울러 RAG(검색증강생성) 기능이 구현되는데, 여기에는 코난테크놀로지의 강점인 벡터검색 기술이 적용돼 기대를 모은다. 생성형 AI 실증을 위해 PPL(Perplexity/문장 품질 평가), BLEU Score(Bilingual Evaluation Understudy/번역품질평가), ROUGE Score(Recall-Oriented Understudy fo
AI 및 챗GPT 기술 활용한 업무 생산성 향상 사례 공유할 예정 스마트미디어그룹 (주)첨단이 오는 28일(화)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오후 1시 30분 종로구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본사 교육장에서 '제1회 중소중견 C-레벨 UP 세미나'를 개최한다. 경영 환경이 급변하면서, 업무 생산성 향상은 중소중견기업의 필수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AI 및 챗GPT 기술은 업무 효율화와 비용 절감에 효과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챗GPT 도입은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직원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회를 제공한다. 챗GPT는 높은 언어 이해 능력, 실시간 자동화, 업무 상호작용 혁신, 의사결정 지원 등의 측면에서 강점이 있다. 이에 챗GPT는 향후 기업 경쟁력과 미래를 대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업 리더십은 혁신적인 기술 도입의 중요성을 깊이 이해하고, 미래를 위한 결단력 있는 도입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이번 중소중견기업 C-레벨 UP 세미나에서는 챗GPT가 산업 분야에 미친 영향을 다룬 기조강연과 함께 AI 및 챗GPT 기술을 활용한 업무 생산성 향상 사례, AI 및 챗GPT 기술 도입 전략, AI 및 챗GPT 활용 솔루션
세 가지 영역에서 근로 환경 효율 개선 위한 AI 기반 신규 도구 및 통합 기능 발표 마이크로소프트가 현장 근로자의 업무 생산성과 효율성 개선을 위해 현장 근로 환경에 특화된 새로운 AI 기능을 공개했다. 현장 근로자는 전체 인력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전 세계 현장 근로자는 27억 명에 달하며, 이는 사무직 근로자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노동력 및 공급망 부족이 두드러지는 오늘날 거시 경제 환경에서는 조직이 비즈니스 운영 전반에서 효율성을 추구함에 따라 근로자에게 더 많은 업무 부담이 주어진다. 한국을 포함한 31개국 현장 근로자 6000여 명의 설문을 기반으로 하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최근 업무동향지표에 따르면, 이들 중 60% 이상이 반복적이거나 사소한 업무에 시간을 소모하고, 효율적인 작업 수행을 위한 리소스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장 근로자 2명 중 1명은 업무로 인한 번아웃을 겪었으며, 45%는 내년에 이직을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AI가 대부분의 인력 부문에서 생산성을 혁신하는 가운데, 현장 근로자 65%는 AI가 업무에 도움이 될 것이라 낙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마이크로소프트는
2030년에서 2060년 사이에 모든 업무의 절반이 자동화할 것으로 전망해 챗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세계 경제에 연간 최대 4조4000억 달러의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이 나왔다. 14일(현지시간)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맥킨지 글로벌 연구소는 이날 이런 전망을 담은 68쪽 분량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생성형 AI를 통한 업무 자동화로 작업자의 업무 시간이 약 70%로 줄어들어 생산성이 늘고, 2030년에서 2060년 사이에는 모든 업무의 절반이 자동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맥킨지는 이 시기를 2035년에서 2075년 사이로 예측했으나, 작년 하반기 생성형 AI 기술이 폭발적으로 발전하면서 예상 시기가 앞당겨졌다. 보고서는 "생성형 AI는 개별 업무의 일부를 자동화해 개인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업무 구조를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특히 고객 관리나 영업,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연구 개발 분야에서 생성형 AI가 빛을 발할 것으로 내다봤다. 맥킨지의 시니어 파트너이자 보고서 저자인 라레이나 이(Lareina Yee)는 "생성형 AI가 콘텐츠를 요약하고 편집할 수 있기에 고도로 숙련된
'2023 직원 경험 트렌드 보고서' 발표 직원의 기대 충족 여부가 근속 의향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커 퀄트릭스가 한국 근로자들의 업무 만족도 및 직원 경험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연구 결과를 5일 발표했다. 퀄트릭스는 사원 및 중간 관리자 709명, 임원 및 경영진 등 상위 관리자 292명을 포함해 총 1001명의 한국 근로자를 대상으로 현 직장에 대한 만족도와 직장과의 관계 변화가 일의 미래에 미치게 될 영향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퀄트릭스 2023 직원 경험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사회의 인력 부족 사태와 2023년 경기 침체가 전망되는 상황에서 직원 경험의 격차는 인재를 유치 및 유지하고, 지원하는 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퀄트릭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임원 및 경영진 등 상위 관리자 그룹은 절반(49%)이 직장에 대한 기대가 충족된다고 답한 반면, 사원 및 중간 관리자 그룹은 27%만이 직장에 대한 기대가 충족된다고 답했다. 사원 및 중간 관리자 그룹은 주요 항목에서 상위 관리자 그룹보다 낮은 만족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복지, 몰입도, 포용성, 근속 의향 항목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급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