팹리스 업계 최대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누적 투자금액 1000억 원대 달성 파네시아가 800억 원 이상 규모의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유치로 파네시아는 잠재적 지분을 반영해 3400억 원대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이번 투자는 시리즈 A 단계에서 한국에 본사를 둔 팹리스 스타트업으로는 유일하게, 벤처캐피탈(VC)만으로 이뤄진 초대형 투자로, 역대 최대 규모의 투자금액과 기업가치를 기록했다. 이로써 파네시아는 창업 약 2년 만에 보조금을 포함해 1000억 원대 누적 투자금을 성공적으로 조달했다. 파네시아의 정명수 대표는 “이번 투자금을 바탕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CXL 3.1 스위치 실리콘 칩 개발, CXL IP 고도화, 글로벌 IT 기업과의 협업 등 주요 현안 과제를 완수하고, 함께하는 임직원이 글로벌 산업계에서 성공의 주역으로 주목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파네시아는 캐시 일관성 인터커넥트 기술을 비롯해 효율적인 메모리 확장 솔루션을 개발하는 팹리스 스타트업이다. 데이터 센터 및 AI 가속 솔루션 등 다양한 라인업을 가졌지만, 현재는 차세대 메모리 연결기술인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Compute Expre
상환전환우선주(RCPS) 방식 채택 “로봇 기반 특화 통합 서비스 통해 사업 규모 확장할 것” 티라로보틱스가 총 120억 원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4일 전했다. 티라로보틱스는 자율주행로봇(AMR) 솔루션 업체로, 로봇 설계 및 생산·제어 및 관제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경사진 바닥·엘리베이터·좁은 복도 등에서 활동하는 2세대 AMR을 다룬다. 이번 투자는 상환전환우선주(Redeemable Convertible Preference Shares, RCPS) 형태로 진행됐고, 주체는 SV인베스트먼트·엔베스터·이노폴리스 등 세 곳이다. 이 중 SV인베스트먼트·엔베스터가 각각 50억 원, 이노폴리스가 20억 원을 투자했다. 티라로보틱스는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생산설비 투자를 통한 역량 확장·인재 확보 등을 도모하고, 모회사 티라유텍과의 북미 동반 진출을 노리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김정하 티라로보틱스 공동대표이사는 “앞으로 로봇 기반 특화 통합 서비스를 기반으로 사업 규모를 확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파트너십 강화로 양사 간 클라우드 산업의 지속 성장 동력 확보 메가존클라우드가 약 1300억원의 추가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국내 유력 클라우드 사업자인 KT와의 전략적 비즈니스 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이뤄졌다. 이번 투자로 메가존클라우드는 기존 시리즈 A와 시리즈 B에 이어 누적 투자금이 약 3700억원으로 늘어났다. 메가존클라우드 주주사 관계자는 "이번 투자유치로 메가존클라우드가 공식적인 유니콘 기업으로 진입했음이 확인됐다"며 시리즈 C 완료 후 누적 투자유치 금액은 약 9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메가존클라우드의 이번 투자 유치는 클라우드 서비스 역량 강화를 위한 보다 긴밀한 파트너십 확보를 위해 이뤄졌으며, 앞으로도 KT와 클라우드 사업 영역에서 긴밀한 협력을 이어 나갈 예정이다. 메가존클라우드 윤준선 CSO는 “이번 투자유치 외에 후속해 약 5000억원 규모의 시리즈 C 투자 유치 라운딩을 올해 상반기 말 목표로 추진 중에 있다”라고 밝혔다. 메가존클라우드 이주완 대표는 “국내 주요 통신 및 클라우드 사업자인 KT와의 파트너십 강화를 통해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뿐 아니라, 클라우드 플랫폼 및 솔루션 서비스 영역에서도 양사의 다양한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