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단순히 말만 하는 AI 음성비서를 넘어, 인공지능이 직접 화면을 보고 판단해 택시를 호출하고 SRT 티켓을 예매하는 시대가 열렸다. KAIST는 전산학부 신인식 교수가 이끄는 AutoPhone 팀(플루이즈·KAIST·고려대·성균관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한 ‘2025 인공지능 챔피언(AI Champion) 경진대회’에서 초대 AI 챔피언(1위)에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AI 기술의 혁신성과 사회적 파급력, 사업화 가능성을 종합 평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AI 기술 경진대회로, 전국 630개 팀이 참가한 가운데 AutoPhone 팀이 최고 영예를 차지하며 연구개발비 30억 원을 지원받는다. AutoPhone 팀이 개발한 ‘FluidGPT’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이해해 스마트폰이 스스로 앱을 실행하고 클릭·입력·결제까지 완료하는 완전 자율형 AI 에이전트 기술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울역에서 부산 가는 SRT 예매해줘” 또는 “택시 불러줘”라고 말하면, FluidGPT는 실제 앱을 열고 필요한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해 결과를 완성한다. 이 기술의 핵심은 ‘비침습형(API-Free)’ 구조다. 기존에는 택시 앱(API)을 이용해
슈퍼브에이아이가 아주대학교 치과병원 김희경 교수 연구팀과 협력해 스마트폰을 활용한 충치 진단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모델은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해 충치를 조기에 판별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번 프로젝트는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도 손쉽게 충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됐다. 병원 방문이 어려운 환자들이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해 충치 여부를 사전에 판단하고, 필요 시 치과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번 협업은 아주대학교 치과병원 김희경 교수 연구팀의 요청으로 시작됐다. AI 모델 개발 과정에서 데이터 부족, 보안 문제, 데이터 표준화 등의 난제가 있었으나, 슈퍼브에이아이는 이를 빠르게 해결하며 단 3주 만에 초기 AI 모델을 완성했다. 특히 치과 전문의 4인의 진단 기준을 모델에 반영하고, 의료진의 피드백을 지속 반영하면서 모델의 정밀도를 높였다. 또한 충치 데이터가 부족한 문제는 생성형 AI 기반 데이터 증강 기술을 활용해 보강하는 방식으로 해결했다. 이번 AI 모델은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의 품질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표준화 작업도 거쳤다. 다양한 촬영 환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