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아이폰용 칩보다 전력 소비가 적은 애플워치 칩 기반 설계인 것으로 전해져 애플이 차세대 스마트기기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맞춤형 칩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8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애플이 향후 출시될 스마트안경에 탑재될 전용 칩 설계를 진전시키고 있으며, AI 서버용 칩 개발에도 나서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에 개발 중인 칩은 기존 아이폰용 칩보다 전력 소비가 적은 애플워치 칩을 기반으로 설계됐으며, 스마트안경에 탑재될 다수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출 예정이다. 일부 부품은 제거하고 전력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맞춤화가 이뤄지고 있다. 이 칩은 2025년 말에서 2027년 사이 대량 생산이 목표로,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2~3년 내 애플의 첫 스마트안경 출시 가능성이 열린 셈이다. 애플의 첫 스마트안경은 카메라 기반 환경 인식 및 AI 기능 탑재가 예상되며, 이를 통해 메타(구 페이스북)와의 웨어러블 AI 경쟁에 본격 뛰어들 전망이다. 메타는 이미 2021년부터 레이밴과 협력해 사진·영상 촬영과 통화, 음악 재생, AI 기능 등을 지원하는 스마트안경을 판매 중이다. 메타는 올해 안으로 스크린이 탑재된 프리미
바이두가 인공지능(AI) 기능을 갖춘 스마트안경 출시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8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바이두는 다음 주 상하이에서 열리는 자사의 연례 콘퍼런스인 '바이두 월드'에서 해당 스마트안경을 공개하고, 이르면 내년에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 안경은 사진·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내장하고, 바이두의 '챗봇' 모델인 '어니봇'이 음성 인식과 대화를 지원할 것이라고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해 통신은 전했다. 온라인 백과사전과 지도 등 바이두가 기존에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과도 연동될 예정이다. 바이두 스마트안경의 가격은 앞서 '메타'에서 출시된 스마트안경 출시가인 299달러(약 40만원) 보다는 낮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바이두의 대변인은 이와 관련한 이메일 질의에 회신하지 않았다고 통신은 보도했다.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은 지난해 에실로룩소티카 사의 브랜드 '레이밴'과 협력해 스마트 안경을 출시했다. 국내에는 출시되지 않았다. 또 메타는 지난 9월 증강현실 기능까지 갖춘 스마트안경 '오라이언'을 공개해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바이두의 스마트안경은 자사 하드웨어 사업부인 샤오두(小度)에서 개발했다. 최근 중국 신생 업체들이 카메라와 오픈형 무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맥스트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에서 주최하는 메타버스 플레이그라운드에 참가했다. 메타버스 플레이그라운드는 ‘디지털뉴딜 2.0’의 핵심기술인 메타버스(가상공간)를 직접 체험하고 실증할 수 있는 체험관으로, 이번 달 14일부터 연말까지 서울 코엑스동문 인근에서 운영된다. 맥스트는 개소식 콘텐츠 시연을 통해 메타버스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는 통합 애플리케이션 ‘맥스버스(Maxverse)’의 AR 내비게이션 기능을 선보였다. 맥스버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5G 콘텐츠 플래그십 프로젝트’ 사업의 지원을 받아 제작된 앱으로, AR 내비게이션은 실내외 끊김 없이 직관적인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맥스버스의 대표적 기능 중 하나다. 맥스버스는 현실과 동일한 크기의 3차원 공간 지도를 구축해 현실세계의 사용자에게 관광·쇼핑·SNS 등 다양한 정보를 실감 나게 제공하는 AR 서비스다. 맥스버스는 특히, 다가오는 스마트안경 시대를 준비할 대표적 AR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 AR 내비게이션은 카메라를 통해 이용하게 되지만, 스마트글라스를 활용하면 카메라 화면이 없어도 AR 길 안내를 받을 수 있어서 더욱 현실감 있는 서비스를 이
[첨단 헬로티] IDTechEx의 해당 주제에 대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웨어러블 기술 제품의 가치는 500억 달러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웨어러블 기술 제품의 전체 시장 규모는 2014년 이후 두 배로 증가했으며, 지난 5년간 가전제품을 중심으로 가장 꾸준히 성공한 시장 중 하나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그러나 2019년에는 헤드라인 빈도가 감소하고, 투자는 더욱 집중되는 한편, 웨어러블 제품에 대한 과대광고는 사라졌다. IDTechEx의 웨어러블 기술에 대한 종합 연구는 지난 수년간 이 부문의 발전 성과 및 향후 10년간의 상황 변화를 예측했다. 이 보고서는 지난 5년간 스마트 워치, 지속적 포도당 모니터링 장치(CGM), 보청기, 헤드폰 및 AR, VR 및 MR을 포함한 여러 주요 제품 유형의 성장 과정을 설명한다. 이 보고서는 이들 각 부문을 면밀히 살펴보고, 모든 주요 업체, 기술 및 각 제품 영역의 현재 테마에 대한 평가 및 시장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이 시기에는 새로운 유형의 전자 스킨 패치에서부터 전자 섬유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의류, 신발, 반지, 헤드밴드 등의 새로운 형태의 기타 폼팩터에 이르는 다양한 신형 웨
[첨단 헬로티] 스마트글라스가 실현하는 스마트공장, 기대하세요! 버넥트가 스마트글라스를 활용한 원격지원 솔루션 ‘RemoteAR’을 공식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전력산업, 중공업, 통신사업 등 기업 특색에 맞게 스마트공장 환경구축에 힘썼던 버넥트는 4차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증강현실 원격지원솔루션을 정식 상용화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스마트공장 환경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버넥트는 특허받은 자사 증강현실 원격지원 솔루션을 통해 현장 작업자가 스마트글라스를 통해 바라보는 영상을 관제실에 전송하면서 동시에 관제실의 담당자와 음성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관제실의 담당자는 포인터, 텍스트, 이미지 정보 등을 산업현장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글라스에 바로 전송하여 업무 지원을 할 수 있다. 특히 산업현장에서 장시간 착용하고 있어야 하는 스마트 안경이 무거우면 작업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데, 버넥트에서 제공하는 스마트글라스는 시장에 출시된 스마트글라스 중 가장 가벼운 무게(약 69g)를 자랑하며, 두 손이 자유로우므로 업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사소통을 위해 작업을 잠시 멈추거나 매뉴얼 북을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