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7일 대출 규제 시행 이후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는 뚜렷하게 변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전월 대비 75%가량 줄었고, ‘상승 거래’ 비중 역시 눈에 띄게 감소했다. 숫자만 보면 충격적이지만 가격이 즉각 폭락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9억 이하 구간에서 거래가 붙으며 저가대 중심의 ‘체인저 시장’이 열렸다. 이 변화의 핵심에는 대출 한도 총량 규제가 만들어낸 ‘가격대의 상자’가 있다. 수도권과 규제지역에서 주담대 총액이 6억으로 제한되면, 일반적인 담보인정비율(LTV)을 적용했을 때 집값 상단은 약 9억에 맞춰진다. 이 구간 이하의 수요는 다시 활력을 얻었지만, 그 이상 가격대에서는 현금 보유 여부가 매수 여부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부상했다. 초고가 구간은 원래 레버리지가 낮아 충격이 크지 않지만, 9억~20억의 중·고가 시장은 체감 한파가 심하다. 이번 규제는 ‘6억 상한’에 더해 7월부터 시행된 스트레스 DSR 3단계가 결합한 형태다. 금리 인상 가능성을 반영해 차주의 상환 능력을 더 보수적으로 계산하는 방식이어서, 총대출 여력은 한 번 더 줄었다. 이런 환경에서 규제 직전 ‘선대출’ 수요가 급증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대출 제한을 피하려는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최근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에 따르면, 수도권은 전반적인 상승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에서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지방은 광역시 일부가 상승했지만 8개 도 지역에서는 하락하는 등 지역별로 상이한 흐름을 나타내며 혼조세를 보였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시장 동향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와 동일하게 0.03%의 상승률을 기록하였다. 서울은 지난주 0.08%에서 소폭 둔화한 0.07% 상승하였다. 일부 입주 물량의 영향으로 전세가격이 하락하는 지역도 있었으나, 정주 여건이 양호한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물 부족 현상이 지속되며 서울 전체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강북 14개 구는 0.05% 상승하였다. 광진구(0.14%)는 자양·광장동 학군지 위주로, 용산구(0.13%)는 이촌·문배동 주요 단지 위주로 상승폭을 키웠다. 또한 도봉구(0.08%), 노원구(0.07%), 동대문구(0.06%) 등에서도 상승이 관측되었다. 강남 11개 구는 0.08% 상승하였다. 서초구(-0.18%)가 잠원·반포동 위주로 하락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송파구(0.27%)는 잠실·방이동 대단지, 강동구(0.22%)는 고덕·둔촌동 주요 단지, 강서구(0.1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수도권 상승세 뚜렷, 지방은 여전히 하락세 지속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폭 확대, 서울 0.09% 올라, 수도권 상승세 뚜렷, 인천은 보합 전환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이 2025년 6월 4주(6월 2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6% 상승하였고 전세가격은 0.02% 상승을 기록하였다.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0.05% 대비 상승폭이 확대되었다. 수도권은 0.13%에서 0.16%로, 서울은 0.36%에서 0.43%로 상승폭이 확대되었다. 반면 지방은 0.03% 하락 폭을 유지하였다. 5대 광역시는 0.04%에서 0.05%로 하락 폭이 커졌고, 세종은 0.10%에서 0.04%로 상승폭이 축소되었으며, 8개 도는 0.02% 하락 폭을 유지하였다. 시도별로는 전북 0.08%, 경기 0.05%, 인천 0.01%, 충북 0.01% 등이 상승하였다. 반면 경북 0.08%, 광주 0.07%, 대구 0.07%, 제주 0.05%, 전남 0.05%, 대전 0.04%, 부산 0.04% 등은 하락하였다. 공표 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은 76개에서 71
서울 상승폭 확대, 지방은 지역별 혼조세 매매가격: 서울 강남권 중심 상승세 뚜렷 이번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보합에서 0.03% 상승하며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다. 특히 수도권은 0.09% 상승하며 전주 대비 상승폭을 확대했고, 그 중 서울은 0.26% 상승하며 전국 상승세를 견인했다. 서울은 일부 단지의 매수 관망세에도 불구하고, 재건축 추진 단지를 비롯한 선호 단지에서 매도 희망 가격이 오르고 실제 상승 거래가 체결되는 등 전반적인 상승 흐름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 강북 14개 구는 0.16% 상승했으며, 성동구(0.47%), 마포구(0.45%), 용산구(0.43%) 등 주요 지역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특히 강남 11개 구는 0.35% 상승하며 더욱 뚜렷한 상승폭을 기록했다. 송파구(0.71%)는 잠실·신천동 선호 단지 위주로, 강남구(0.51%)는 압구정·대치동 재건축 단지 위주로 상승하며 강남권의 회복세를 입증했다. 강동구(0.50%), 서초구(0.45%), 동작구(0.39%) 등도 상승 대열에 합류했다. 한편, 인천은 지난주 하락에서 0.00% 보합으로 전환되며 하락세를 멈췄다. 연수구(-0.09%)와 중구(-0.07%)는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주에 이어 0.00%로 보합세를 유지한 가운데, 수도권은 상승폭을 확대하고 지방은 하락 폭이 커지며 지역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수도권은 전주 대비 0.01%P 오른 0.03% 상승을 기록했고, 서울은 0.13%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반면, 지방은 -0.04%로 하락 폭이 커졌으며, 5대 광역시는 -0.06%로 전주와 같은 수준의 하락세를 이어갔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변화 서울 재건축 단지 중심으로 상승세 지속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0.10%에서 이번 주 0.13%로 상승폭을 키웠다. 재건축 추진단지 등 주요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도 희망 가격이 오르고 있으며, 실제 상승 거래도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매수자 관망세가 나타나고 있다. 강북 14개 구 중 성동구(0.21%)는 금호동과 행당동 역세권 중심으로, 용산구(0.16%)는 이촌동·한강로동, 마포구(0.16%)는 아현동·염리동 중심으로 상승했다. 광진구(0.11%)는 광장동과 구의동, 성북구(0.07%)는 길음동과 정릉동을 중심으로 가격이 올랐다. 강남 11개 구에서는 서초구(0.32%)가 반포동과 잠원동, 송파구(0.30%)는 잠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