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트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6월 25일부터 28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광주 미래산업엑스포’에 참가해 총 5종의 무인기 라인업을 공개하며 차세대 무인기 기술력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제품은 ▲180kg급 해양임무용 수직이착륙 무인기 MVUS ▲50kg급 수직이착륙 무인기 VVS-50 ▲하이브리드형 VVS-50 Hybrid ▲발사형 무인기 VAM-800 ▲장거리 정찰용 소형 무인기 VLA-20 등으로 다양한 임무에 최적화된 고성능 무인기 플랫폼이다. 특히 MVUS는 해양수산부 및 해양경찰청이 주관하는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개발중이며 상반기 비행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실물 기체가 공개되며 주목을 끌었다. VVS-50과 VVS-50 하이브리드는 인천 옹진군 도서지역 해양쓰레기 탐지 실증사업에서 성능을 입증했으며 맞춤형 개조가 가능해 민수 및 군수 분야에서 폭넓은 활용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번 전시회 기간 동안 넥스트에어로스페이스는 다수의 국내외 파트너사와의 협력 논의를 진행하며 신규 사업 기회를 확대하는 성과를 거뒀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를 계기로 차세대 항공 모빌리티 분야에서 기술 리더십
소형 무인기 기술 개발과 공공조달 연계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와 조달청은 최근 미래부에서 ‘소형 무인기 기술 개발과 공공조달 연계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공공혁신조달 연계형 기술개발 지원 사업’을 공고했다. 미래부의 홍남기 1차관과 정양호 조달청장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이번 협약식은 향후 급격한 시장 성장이 예측되는 소형 무인기(드론) 분야에 대해 국내 산업을 육성하고 기술 역량을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며, 공공혁신조달(PPI: Public Procurement for Innovation)이 효과적 수단으로 될 수 있다는 공동인식 하에서 이루어졌다. 정부는 지난 6월에 발표한 ‘무인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2016. 6)’에서 소형 무인기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공공서비스 및 군 수요 등을 바탕으로 공공조달을 통해 초기 시장 창출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으며, 정부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드론의 현장 활용을 위한 기술수요를 발굴한 결과, 총 6건을 확정했다. 동 협약 체결과 함께 착수되는 ‘공공혁신조달 연계형 기술개발 지원 사업’은 미래부,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