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부산교통공사, 영남대, 신한은행에 인공지능(AI) 동시통역 설루션 ‘트랜스 토커’(TransTalker)를 공급했다고 11일 밝혔다. 트랜스 토커는 외국인 관광객이 투명 스크린 앞에 설치된 마이크에 본인의 언어로 질문하면 한국어로 번역된 문장을 안내데스크 담당자 스크린에 표시한다. 담당자가 한국어로 답변하면 이 내용이 실시간으로 관광객이 사용한 언어로 변환돼 모니터에 나타난다.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아랍어, 스페인어 등 총 13개 언어를 지원하고 있다. SK텔레콤과 부산교통공사는 부산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의 관광객 이동이 많은 곳에 트랜스 토커를 설치해 고객센터 방문 없이도 통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영남대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행정 서비스 강화를 위해 트랜스 토커가 도입됐다. 신한은행은 지난달부터 외국인과 청각 장애인, 시니어 고객 등이 금융 업무를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트랜스 토커를 활용하고 있다. 시니어 고객 방문이 많은 신림동 지점과 외국인 유학생이 자주 찾는 한양대 지점에서 트랜스 토커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서비스 도입을 확대할 계획이다. 김경덕 SKT 엔터프라이즈 사업부장은 “이번 공급 계
시스코가 부산교통공사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지속가능한 부산교통공사 네트워크 솔루션 구축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시스코는 고성능 IP-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기술을 바탕으로 부산교통공사가 보다 지속가능한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국가적 에너지 절감 정책에 동참하겠다는 방침이다. 세계대중교통협회(UITP)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2021년 기준, 전 세계에서 3번째로 큰 지하철 인프라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규모의 인프라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통신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최지희 시스코코리아 대표는 “오랜 기간 동안 쌓아온 자사의 IP-MPLS 기술을 바탕으로 부산교통공사와 협력해 차세대 인텔리전트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해당 기술은 철도 기관사와 역무원, 관제소 등 엔드-투-엔드 포인트에서 오갈 수 있는 정보의 양과 속도를 대폭 개선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스코의 IP-MPLS 기술은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 신호 시스템, 실시간 모니터링에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IP-MPLS와 시스코가 가지고 있는 주문형 반도체(ASIC) 설계
한문희 한국철도공사(이하 코레일) 사장이 마약범죄 근절을 위한 '노 엑시트(NO EXIT)' 캠페인에 동참했다. '노 엑시트'는 지난 4월부터 경찰청과 마약퇴치운동본부가 진행하는 릴레이 캠페인으로 마약 중독의 심각성을 알리고 관련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시작됐다. 코레일은 지난 7월 열차에서 습득된 유실물을 확인하던 대전역 역무원이 마약으로 의심되는 흰색 가루를 발견해, 즉시 철도경찰에 신고하고 소지자 체포를 돕는 등 마약범죄 근절에 협조하고 있다. 한문희 사장은 "마약이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만큼 경각심을 높이고 위험성도 알려지길 바란다"며 "마약 없는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데 코레일도 적극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문희 사장은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의 지목으로 캠페인에 참여했으며, 다음 주자로 부산교통공사 이병진 사장을 추천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