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스프가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글리산틴 일렉트리파이드(GLYSANTIN ELECTRIFIED) 저전도 냉각수(LECCs)를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제품은 오는 10월 1일부터 시행되는 중국의 최신 산업 표준 GB 29743.2-2025를 충족한다. 배터리 고장 위험을 줄이고 차량 안전성과 수명을 높이도록 설계됐다. 바스프의 저전도 냉각수는 고전압 부품에 노출될 경우 낮고 안정적인 전류를 유지해 냉각수 분해와 수소 발생을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배터리 과열, 화재, 폭발 위험을 낮추고 장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한다. 또한 부식 방지 성능과 다양한 소재와의 호환성을 갖췄으며 SGS와 중국 교통운수부 산하 RATTC 등 외부 시험기관 인증도 획득했다. 바스프는 중국 상하이 푸동 공장에서 본격 생산을 시작했다. 글로벌 연구개발(R&D) 역량과 현지 운영 능력을 결합해 중국을 비롯한 지역 및 현지 시장 중심 전략을 강화할 계획이다. 글리산틴은 1929년 첫 특허 이후 파워트레인 기술 분야에서 안전성·성능·내구성을 보장해왔다. 배터리와 연료전지 냉각 솔루션, 저탄소 발자국·순환경제를 고려한 옵션을 제공하며, 현재와 미래 구동 시스템
넥스트에어로스페이스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기업중앙회로부터 각각 2건의 첨단기술확인서와 드론 직접생산확인증명서를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에 확보한 첨단기술확인서는 공기 흡입량 제어를 통한 다중 배터리 관리 및 내부 온도 유지 시스템 기술(이하 ‘다중 배터리 관리 기술’)과 캐니스터(발사관) 발사 방식의 가변형 날개 무인기 설계 및 활용 기술(이하 ‘캐니스터 발사형 가변 날개 무인기 기술’) 두 건이다. ‘다중 배터리 관리 기술’은 다중 배터리 관리, 온도 유지 기능, 가변형 흡입 장치를 결합해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고 열 폭주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하는 드론 플랫폼용 배터리 관리 기술이다. 공기 흡입량 제어를 통해 전력 공급 안전성과 신뢰성을 크게 높여 AAM(차세대 항공 모빌리티)/UAM(도심 항공 교통) 핵심 기술 범위에 부합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다른 첨단기술로 인정받은 ‘캐니스터 발사형 가변 날개 무인기 기술’은 날개 폴딩 매커니즘, 자동 전개, 기체 보호 발사 기능을 통해 무인기의 신속한 전개와 은밀성, 안전성을 구현했다. 기존 발사대 기반 무인기의 한계를 극복하며 무인기 운용 패러다임 전환에 기여할 수 있는 항공 분야 핵심 기술로
누보톤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이하 누보톤)이 48V 배터리 시스템을 위한 17셀 배터리 모니터링 IC ‘KA49701A’와 ‘KA49702A’를 개발하고, 2025년 4월부터 양산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신제품은 배터리 시스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전력 소비를 줄여 배터리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재생에너지 확대와 생성형 AI 기반 데이터센터의 증가로 인해 고용량·고출력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리튬이온 배터리의 활용이 늘어나지만, 높은 가격과 화재 방지 시스템 구축 등의 비용 부담이 여전히 문제로 지적된다. 누보톤은 자동차용 배터리 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산업용 48V 배터리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모니터링 IC를 개발했다. 이 제품은 배터리의 고장 진단 및 페일세이프 기능을 내장해 시스템 안전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보드 면적 및 추가 보호 회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KA49701A 및 KA49702A는 ±2.9mV에 이르는 업계 최고 수준의 전압 측정 정확도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배터리 용량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한다. 특히, 중국 배터리 표준(GB/T 34131-2023)의 전압 측정 기준(-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