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한화시스템은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한 ‘지향성 적외선 방해장비(DIRCM) 운용 시험평가’를 성공적으로 완료해 언제든지 전력화할 수 있었다고 13일 밝혔다. 한화시스템과 국방과학연구소는 DIRCM 시제를 실제 무기 체계에 적용해 군에서 필요로 하는 작전 운용 성능과 운용 적합성을 검증받는 최초 운용 시험평가를 완료했다. 이로써 국내는 물론 해외까지 DIRCM을 공급할 수 있는 성능 입증 근거를 마련했다. 그동안 DIRCM은 해외 구매 사업으로만 도입해왔다. 하지만 이제 국내 순수 기술로 만든 DIRCM은 ▲한국형 기동 헬기 ▲중형 기동 헬기 ▲대통령 전용 헬기 ▲수송기 C-130 등 우리 군이 운용하는 다양한 항공기에 적용할 기회가 본격적으로 열리게 됐다. DIRCM는 아군 항공기를 공격하는 적의 휴대용 대공 미사일의 위협에 대응하는 장비다. 이는 항공기에 장착돼 적의 미사일 위협 신호가 탐지되면 고출력 적외선 레이저를 발사해 미사일을 교란해 아군 항공기의 생존 가능성을 크게 높이는 첨단 방어 시스템이다. 한화시스템은 2014년부터 국방과학연구소 주관 DIRCM 시험 개발에 시제 개발 업체로 참여해 2018년 개발에 성공한 바 있다. 이
고성능 네트워크 사이버 보안 솔루션의 글로벌 기업인 포티넷코리아가 기업들이 IoT(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보안 위협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포티넷 보안 패브릭(Fortinet Security Fabric)의 역량을 확장한다. 한 ‘포티넷 보안 패브릭’은 최근 IoT 기기 확산으로 보다 다양화되고 있는 공격 면(attack surfaces)을 효과적으로 방어하는데 필요한 뛰어난 가시성, 통합, 제어 역량을 제공한다. IoT로 인한 보안 문제는 매우 광범위하다. IoT 기기는 보유하고 있는 자원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장치가 보안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지 않았다. 취약한 인증 및 권한 부여 프로토콜, 안전하지 않은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구조, 제대로 설계되지 않은 연결 및 통신 등 여러 문제가 있다. 게다가, IoT 기기에는 보안 클라이언트를 설치하거나 패치 또는 업데이트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의 IoT 기반 공격은 수 십 억 개의 IoT 기기가 무기가 되어 전 국가의 디지털 경제와 수백만 사용자들을 한순간에 혼란에 빠뜨릴 수 있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기본적인 보안 기능과 관리 역량이 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