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정보기술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이 주관하는 ‘AI 팩토리’ 사업의 전문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인증은 미소정보기술의 AI 기술력과 데이터 기반 솔루션이 산업 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한 역량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다. ‘AI 팩토리 전문기업 지정’은 AI 기반 제조혁신을 주도할 역량 있는 기업을 발굴해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국가 전략 사업이다. 2024년 출범한 ‘AI 자율제조 얼라이언스’의 후속 조치로, 2025년부터 확대 개편된 ‘AI 팩토리 얼라이언스’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미소정보기술은 국내외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생성형 AI와 데이터 기반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공급하며 제조 공정 지능화를 지원해왔다. 이번 평가에서는 ▲AI 자율제조 기술력과 전문성 ▲공급 실적 ▲시장 신뢰도 ▲성장 가능성 ▲데이터 활용 전략 ▲AI 파운데이션 모델 기여 가능성 등이 종합적으로 인정돼 전문기업으로 최종 선정됐다. 회사의 핵심 플랫폼인 ‘스마트 IoT 프리즘(Smart IoT Prism)’은 제조 현장의 IoT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처리·분석·시각화하는 AI 기반 자율제조·산업안전 통합 플랫폼이다. 단순한 데이터
미소정보기술이 건설 및 제조 현장의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안전관리 및 위험성 평가 솔루션 ‘세이프위(SafeWE) 2.0’을 이달 말 출시한다고 5일 밝혔다. 세이프위2.0은 최근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산업재해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최신 AI기반 위험성 평가 솔루션으로 추락, 끼임, 부딪힘 등 주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는 기존의 경험 중심 위험성 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AI와 데이터 기술 기반의 선제적 대응 체계를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세이프위 2.0은 계획·시행·점검·조치에 이르는 위험성 평가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제공하며, 현장 관리자와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위험 요소를 인지하고 즉시 조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미소정보기술의 핵심 기술인 ‘스마트TA(Text-Analysis)’와 ‘M(MISO)-LLM’이 적용된 세이프위 2.0은 건설 및 제조 현장의 문서형 안전지식(텍스트, 표, PDF, 그래프 등)을 정형 데이터로 전환해 실시간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각 산업군에서 발생 가능한 중대재해를 업종별, 형태별로 사전 탐지·예방하며 위험요소 자동 분석, 누락된 위험 요소 탐지 등 작업자 중심의 안전
미소정보기술은 남상도 부사장(COO)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하는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고 29일 밝혔다. 남상도 신임 대표이사는 2006년 미소정보기술 창립 멤버로 약 20여년간 코어개발 및 기술 리더로서 기술융합본부, 기술연구소 CTO등을 거쳐 데이터 전문가로 성장해왔다. 연세대학교 공학경영대학원에서 공학경영 석사 과정을 마치고 동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특임교수로도 활동했다. 미소정보기술에서는 CTO, COO 등 핵심 보직을 두루 역임하며 데이터 플랫폼 사업화를 이끌었다. 특히 남상도 대표는 의료와 비의료를 아우르는 전 영역에서 인공지능 기반 사업을 확장하고 내부 조직과 외부 파트너 간 신뢰 기반을 공고히 하며, 기술과 비즈니스의 융합을 통해 지속적인 성과를 창출해왔다. 기술 전반과 경영을 총괄하며 미소정보기술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 예정이다. 미소정보기술은 내년 창립 20주년을 앞두고 급변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및 인공지능 산업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IPO를 포함한 글로벌 전략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를 실행하고 있다. 기술 전문성을 갖춘 리더를 전면에 배치함으로써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소정보기술은 글로벌 헬스케어 사업 확장을 위해 병원정보시스템(HIS, EMR) 전문기업 하이젠 헬스케어와 전략적 협력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K-헬스케어 기술의 해외 진출을 본격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의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미소정보기술은 연세의료원, 건국대병원, 전남대병원 등 국내 주요 대학병원 및 상급종합병원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의료데이터 통합 및 임상연구 솔루션 기반의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마이데이터 기반 개인건강기록(PHR) 사업 등을 통해 치료 중심에서 예방 중심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하이젠 헬스케어는 지난 10여 년간 인도네시아, 일본,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아프리카 등지에서 HIS·EMR 현지화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현지 의료 시스템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해 왔다. 특히 병원정보시스템과 방사선 선량 관리 시스템은 중소병원 및 검진센터에서 높은 신뢰를 받고 있다고 회사는 전했다. 양사는 이번 글로벌 사업제휴를 통해 ▲의료 데이터 표준화 ▲원격진료 ▲의료AI ▲건강검진 등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기술 고도화, 글로벌 유통망을 확보해 국내 헬스케어 전문기
코오롱베니트가 최근 개최한 ‘AI 얼라이언스 고객 인큐베이팅’ 세미나에서 자사 AI 얼라이언스 참여사의 AI 기술과 업무 활용 전략을 공개했다. 이 세미나는 ‘코오롱베니트 AI 얼라이언스’ 참여사의 사업 활성화를 위해 코오롱베니트가 마련한 지원 정책으로 각 회사가 가진 기술력을 시장에 소개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AI 얼라이언스 고객 인큐베이팅 세미나에서는 제조·건설·이커머스 분야 업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AI 활용 노하우가 공개됐다. 행사에는 생성형 AI 기반 멀티모달 데이터 플랫폼 개발 기업 미소정보기술과 AI 에이전트 솔루션 전문 기업 달파가 참여했다. 두 회사는 AI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기업 실무자를 대상으로 자사 AI 솔루션을 소개하면서 성공적인 도입 사례도 공유했다. 미소정보기술은 ‘업무 속 숨겨진 데이터로 찾는 AI 활용 전략’을 주제로 진행된 첫 세션에서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해 ▲고객 데이터 분석 ▲건설 현장 위험성 평가 ▲문서 분류 자동화 솔루션 ‘스마트TA’ 활용법을 소개했다. 이어 채갑병 전무는 도메인 AI 에이전트와 온톨로지 기반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검색증강생성) 기술로 흩어진 데이
미소정보기술이 오는 5월 14일부터 16일까지 3일간 열리는 ‘국제인공지능대전’(AI EXPO KOREA 2025)에서 사이냅소프트 부스 파트너존에 참가해 양사의 기술협력 기반 솔루션과 생성형AI 혁신사례를 선보인다고 25일 밝혔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하는 ‘AI EXPO’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 전문 전시회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AI 기술과 적용 사례를 소개하며 관련 컨퍼런스 및 포럼도 함께 진행된다. 미소정보기술은 AGI(범용 인공지능)와 분야별로 특화된 버티컬 AI 솔루션과 다양한 혁신사례를 공개할 예정이다. 지난해 양사의 사업 제휴 이후, 공공 부문 협력 및 생성형 AI 사업화, 공동 마케팅 협력 등을 추진해오며 이번 전시회를 준비했다. AI EXPO에서 미소정보기술은 ‘AGI Thinks, Agent Acts!’(AGI로 생각하고, 에이전트로 행동한다)를 주제로 병원 판독문, 건강검진기록(PHR), 건설, 제조 현장의 데이터를 분석한 AI자율공정 등 기업과 현장에 축적된 다양한 멀티모달 데이터를 정형화해 생성형 AI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AI의 약점으로 지적되는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허위 정보 생성)을 최소화하기
미소정보기술이 국내 최대 건강검진센터를 보유한 KMI 한국의학연구소와 의료빅데이터플랫폼과 K-건강검진 글로벌사업 협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미소정보기술은 의료에 특화된 멀티모달 데이터 플랫폼을 고도화시키고 있다. 특히 올해는 창립 19주년을 맞으며 의료데이터사업 투자와 글로벌 진출을 위해 건강검진데이터를 통한 질병의 조기 발견과 예방, 건강증진을 목표로 KMI 한국의학연구소와 함께 헬스케어 사업을 확장한다. 미소정보기술은 사업 초기부터 의료데이터 중심의 사업을 지속적으로 성장시키며 전국 대학병원 및 상급종합병원, 공공기관에 높은 신뢰를 확보해왔다. 지난 2015년 한림대학교의료원을 시작으로 병원에 축적된 진단, 처방, 검사결과 등의 임상 데이터를 비식별화해 저장하고 연구자가 검색과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임상 데이터 웨어하우스(CDW) 구축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이후 국립교통재활병원, 전남대학교병원, 연세대학교의료원,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아주대학교의료원, 건양대학교병원, 건국대학교병원 등에서의 수행 경험을 통해 원천 데이터 통합부터 분석, 시각화까지 임상연구 워크플로우 전과정을 밀착 지원하는 솔루션 ‘CRaaS’ 제품군으로
미소정보기술이 현대제철에 특수강 최적 교정을 위한 AI자율제조 솔루션 ‘스마트VI(smart Vision Insight)’구축을 완료했다고 7일 밝혔다. 미소정보기술이 개발한 스마트VI는 인공지능(AI)기반 생산공정의 이벤트 발생 시점의 영상 및 각종 센서등 설비, 제조데이터를 함께 확보(산업데이터 블랙박스)해 영상과 빅데이터분석을 통한 설비 및 장비 운영 최적화를 제공한다. 생산성·안전성·환경성을 높이는 AI 자율공정제어 솔루션으로 기업의 스마트 제조혁신을 지원한다고 회사 측은 강조했다. 현대제철은 업계최초로 제조데이터분석과 AI기술을 활용한 제조 혁신을 위해 자율 운전체계 AI가이드 시스템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산업, 중장비 및 자동차 등의 핵심부품 소재 제조에 주로 사용되는 특수강의 제조 과정 중 발생하는 특수강의 굽음 및 휨 현상을 교정하기 위해 최적의 교정조건을 AI에서 필요한 공정제어 데이터를 자동으로 보정해 제품의 품질 신뢰도와 교정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조 품질데이터 분석을 통한 교정 불량 추적 및 원인 해결, 작업자들의 숙련도차이에서 발생되는 품질편차 최소화, 공정 로스(Loss) 감축까지 기대되고 있다. 이번 사
미소정보기술이 KCC정보통신과 공공 및 엔터프라이즈 AI시장 공략을 위해 ‘생성형AI(Gen AI)를 위한 멀티모달 데이터 플랫폼(MDP) 사업’ 제휴를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임상 빅데이터분석 전문기술과 생성형AI를 위한 빅데이터플랫폼을 상급종합병원 및 국공립 대학병원에 구축하는 미소정보기술과 금융·공공등 다양한 시스템 구축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KCC정보통신과 사업제휴를 통해 병원, 은행, 공공기관, 엔터프라이즈 기업 고객들에게 생성형AI에 최적화된 멀티모달 데이터플랫폼(MDP)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KCC정보통신은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가스공사, 신협, 씨티은행 등 각 분야의 중대형 정보시스템 및 클라우드 운영 유지관리 경험을 바탕으로 미소정보기술의 생성형AI를 위한 멀티모달 데이터 플랫폼(MDP)과 전문성을 결합해 은행, 병원, 공공시장에 AI전환(Ax) 과 디지털전환(Dx) 선도적인 역할을 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양사는 ▲의료, 금융, 건설, 제조, 유통등 생성형AI 서비스 확장 ▲빅데이터 비즈니스 협업 모델 개발 ▲공동 마케팅 ▲에너지, 제약바이오, 우주항공등 신규 고객 발굴을 함께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유경태 KCC정보통
미소정보기술이 보건의료 데이터를 연구등의 목적으로 이용할 경우 데이터가 안전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가명처리 및 활용, 외부전송 등을 간편하게 지원하는 데이터심의(Data Review Board, 이하 DRB)솔루션 ‘스마트DRB’를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 구축한다고 19일 밝혔다. 미소정보기술이 개발한 스마트DRB는 연구 목적으로 의료데이터를 요청하면 데이터심의위원회(DRB)를 거쳐 병원이 가명정보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는 수 있도록 하는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을 준수해 의사 및 연구자가 데이터 활용 신청부터 데이터 수령까지 많은 기간이 걸리던 업무절차를 절반 이하로 단축시켜 의료데이터를 활용한 치료 연구 등을 빠르게 지원한다. 스마트DRB는 가명정보의 적정성 평가, 가명정보의 활용 및 제공 여부 승인, 가명정보의 결합 신청여부 및 의뢰할 결합전문기관 선정, 가명정보의 재식별 가능성 모니터링 등 안전조치 적용, 이용 목적이 달성한 가명정보의 파기 확인 등 관련 법령에 따라 데이터가 안전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데이터심의위원회(DRB)업무 절차를 신속히 지원한다. 그동안 현장에서는 바이오 및 헬스케어 기술 확보를 위해 국내외 병원 및 기관들과 연구 협
미소정보기술은 자사의 지식 자산화 솔루션 ‘스마트TA’가 2024년 중기벤처기업부 ‘시범구매제품’으로 선정됐다고 31일 밝혔다. 이번에 시범구매제품으로 선정된 ‘스마트TA’는 방대한 데이터분석 및 머신러닝기반 사용자가 지정한 속성에 대한 카테고리별 다중속성 분류, 향상된 언어규칙(Advanced Linguistic Rule)을 이해한 의미기반의 속성·분류 솔루션이다. 공공기관의 한글, 오피스, PDF등 업무문서, 이미지문서, 표, 도형, 그래프, 시각화 문서들을 정형 데이터로 전환해 스마트TA와 M(MISO)-LLM을 통해 실시간 정교한 데이터분석을 제공한다. 기술개발제품 시범구매는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판로지원법)’에 따라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제품에 대한 별도 평가 절차와 혁신성, 성장성, 공공성, 공급역량 검증을 위한 자격 및 규격검토, 구매평가, 구매심의를 통해 최종 시범구매제품으로 선정한다. 공공기관의 구매확대 및 중소기업 판로개척을 위한 제도며 시범구매제품을 공공기관이 도입하면 경영평가에 가점이 부여된다. 미소정보기술은 중기부 시범구매제품을 통해 국가기관 및 준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국가의료기관 및 지방의료원, 시도교육청,
미소정보기술이 시야인사이트와 강원도 의료·바이오 기업들과 의료데이터분석, 신약개발등 바이오헬스 사업제휴를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미소정보기술은 연세의료원, 전남대병원, 건국대병원등 국공립 대학병원 및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생성형AI를 위한 차세대 의료 빅데이터와 임상분석 통합플랫폼 ‘스마트빅(smartBIG)’ 구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 임상 데이터 웨어하우스(CDW), 의료데이터 심의지원솔루션(DRB)등 워크플로우 전과정을 제공하는 통합솔루션 ‘CRaaS(Clinical Research as a Service)’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시야인사이트는 AI 학습 기술을 적용한 추천 시스템과 비대면 원격 업무시스템, 코로나 예측 시뮬레이션, 데이터 기반 구급 및 재난예측 솔루션, 취약계층 케어플랫폼 등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양사는 이번 사업제휴를 통해 강원도 내 병원, 바이오, ICT기업들과 디지털헬스케어 사업 협력을 통해 임상연구분석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정밀의료, 신약개발지원등 사업화를 강화한다. 또한 강원도 대학들과 ICT 인재육성등 강원도가 바이오 특화단지로 빠르게 발전할 수 있도록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안동욱 미
미소정보기술이 연세대학교 의료원 의료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에 패브릭기반 멀티모달 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진행한다고 15일 밝혔다. 연세의료원은 정밀의료 실현 및 원내 연구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세브란스 데이터 포털(이하 SDP)’을 구축했다. 연구자들은 임상연구와 관련된 모든 업무(데이터 신청, 분석, 연구환경 신청 등)를 SDP를 통해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올 하반기에는 SDP 고도화를 통해 연구자들에게 더 많은 서비스와 데이터 범위를 제공할 예정이다. 연구자들이 환자 치료 및 신약 개발 등에 필요한 데이터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고도화 한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정형데이터 분석은 물론 의료영상, 심전도 등의 비정형 데이터도 동시에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데이터 카탈로그를 이용한 데이터 허브 기능, 데이터품질 점검 기능, 셀프 데이터 시각화 기능, 데이터 추출 후 별도의 변경작업 없이 CRF(임상데이터)를 생성하고 분석하는 기능 등이 추가된다. 추후 유전체분석 및 병리분석을 위한 서비스도 제공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미소정보기술이 개발한 패브릭기반 멀티모달 데이터 플랫폼 ‘스마트빅(sm
미소정보기술은 '스마트MDQ' 솔루션이 오픈클라우드플랫폼 얼라이언스(OPA)로부터 'K-PaaS' 호환성 인증을 획득했다고 10일 밝혔다. K-PaaS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지원을 통해 OPA가 다양한 기업과 협업해 개발한 오픈소스 클라우드 플랫폼이다. 특정 기업과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클라우드 플랫폼 활성화와 생태계 확장을 목적으로 한다. K-PaaS의 호환성 인증은 기업의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가 K-PaaS 환경에서 적합하게 구동되는지를 검증하는 제도로, 미소정보기술의 스마트MDQ는 공공기관이 요구하는 기준의 안전성과 호환성을 통과했다. 고급 데이터를 대량으로 확보해 비즈니스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용 데이터 품질이 중요하다. 이에 미소정보기술은 생성형 AI 서비스를 위한 멀티모달 데이터 플랫폼과 데이터 품질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스마트MDQ는 데이터 품질을 분석하고 개선하며 데이터 품질관리체계를 확립해 정확성, 안전성, 신뢰성이 높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제어, 검증, 강화해 조직의 올바른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안동욱 대표는 "기업은 데이터 품질에 따라 분석결과가 왜곡되어 잘못된 의사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미소정보기술의
사이냅소프트는 미소정보기술과 ‘LLM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사이냅 도큐애널라이저’와 스마트TA 기반 ‘M(MISO)-LLM’ 솔루션을 연계해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사이냅소프트의 사이냅 도큐애널라이저는 LLM 학습데이터 구축과 디지털 문서 자산화를 위한 솔루션이다. 아래아 한글, Office 문서, PDF등의 일반 업무용 문서와 이미지 문서 등 다양한 비정형 문서의 포맷과 레이아웃, 속성 및 객체를 분석해 정보화한다. 또한 표, 도형, 그래프와 같은 시각적 정보와 제목, 문단, 머리글·바닥글, 캡션, 각주, 페이지번호와 같은 문서 구조 정보를 Markdown, XML 형식의 정형 데이터로 전환한다. 미소정보기술의 스마트TA기반 M-LLM은 방대한 데이터분석과 머신러닝 기반 사용자가 지정한 속성에 대한 카테고리 별 다중 속성 분류, 향상된 언어 규칙(Advanced Linguistic Rule)을 이해한 의미 기반의 속성 분류 솔루션 ‘스마트TA’에 sLLM을 결합한 솔루션이다. M-LLM은 매개변수의 수를 줄이고 검색증강생성(RAG)과 미세조정(FINE-TUNING)을 통해 기업과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