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가 22일 중국 선전에서 ‘블루투스 아시아 2025’를 개최했다. 이틀간 이어지는 이번 행사는 혁신, 협업, 그리고 업계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플랫폼으로서 블루투스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한다. 총 62개 주요 전시업체와 수천 명의 개발자, 엔지니어, 생태계 파트너들이 참석해 무선 오디오, 스마트 디바이스, 커넥티드 차량, 산업용 IoT,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시대를 선도하는 블루투스 기술의 진화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개막 기조연설은 블루투스 SIG의 CEO 네빌 마이어가 맡았다. 마이어 CEO는 “블루투스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연결’이라는 본질적 가치를 함께 실현해가는 글로벌 커뮤니티”라며 “이 자리를 통해 산업간 협업과 무선 연결의 미래를 함께 탐색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또한 마이어 CEO는 블루투스 SIG의 중국내 신규 자회사 설립을 포함해 빠르게 성장 중인 중국의 혁신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의지도 재확인했다. 특히 올해 행사는 블루투스 SIG가 연말 출범 예정인 중국 내 새로운 회원 그룹의 기반을 다지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그 의미
LG전자가 세계적인 뮤지션 윌아이엠과의 협업으로 탄생한 무선 오디오 브랜드 ‘LG 엑스붐(LG xboom)’ 신제품을 통해 고객에게 혁신적인 AI 오디오 경험을 선보인다. 지난 7일 서울 영등포구에서 열린 ‘LG 엑스붐 브랜드 데이’에서 팝 그룹 블랙아이드피스의 멤버이자 기업가 윌아이엠은 “LG와의 협업은 제 인생에서 가장 깊이 있고 확장성 있는 창작 여정의 시작”이라며 “이번 프로젝트는 단지 제품을 만드는 것이 아닌, 미래의 경험을 디자인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윌아이엠은 ‘새로운 경험을 설계하는 역할’(Experiential Architect)을 맡아 LG 엑스붐 제품의 사운드 방향성 설계와 음향 튜닝 작업 등을 맡았다. 여러 차례 한국을 찾아 사운드 방향성을 잡아가는 작업을 했으며, 전원을 끄고 켤 때 나오는 시그널 음향을 작곡하기도 했다. LG 엑스붐 신제품은 ‘LG 엑스붐 스테이지 301’, ‘LG 엑스붐 바운스’, ‘LG 엑스붐 그랩’ 등 무선 스피커 3종이다. 고출력 스피커 LG 엑스붐 스테이지 301은 120W(와트)의 출력으로 실내외 공간에 상관 없이 생동감 넘치는 무대 사운드를 제공한다. 컴팩트 스피커 LG 엑스붐 바운스는 개방된 공간에서도
[헬로티] 퀄컴 테크날러지 인터내셔널(Qualcomm Technologies International, Ltd.)은 금일 퀄컴 스냅드래곤 사운드(Qualcomm Snapdragon Sound) 기술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출처 : 퀄컴 테크날러지 인터내셔널 이는 스마트폰, 무선 이어버드, 헤드셋 등 기기에서 끊김 없는 몰입도 높은 오디오를 구현하도록 오디오 혁신에 최적화돼 설계된 기술이다. 스냅드래곤 사운드는 소비자가 음악 스트리밍, 전화 통화, 무선 게이밍을 하는 중에도 우수한 음질을 경험하도록 설계됐다고 퀄컴은 전했다. 이번 출시와 맞춰 아마존 뮤직과 스냅드래곤 사운드 플레이리스트를 선별해 공개했다. 제임스 채프먼(James Chapman) 퀄컴 테크날러지 인터내셔널 음성, 음악 및 웨어러블 부문 부사장 겸 총괄은 "퀄컴의 시스템 수준 접근 방식은 모바일 및 오디오 플랫폼 군 전반에 걸쳐 다양한 기술과 최신 제품을 통합해 고음질 유선 품질의 오디오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비전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고 전했다. 이용자와 기기 간에 음질이 방해받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다. 기기가 연결되는 방식, 연결 끊김, 오디오 끊김 및 결함, 지연, 그밖에 저품질 오디
[헬로티] 퀄컴은 주요 글로벌 오디오 브랜드와 협력해 무선 오디오의 새로운 시대를 이끌겠다고 밝혔다. ▲출처 : 퀄컴 퀄컴 테크날러지 인터내셔널 (Qualcomm Technologies International, Ltd.)은 무선 오디오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로 자리 잡아 기술 혁신을 이끌며 광범위한 플랫폼과 기술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며, 제조사가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수천 명의 오디오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2020 현황 보고서 (State of Play Report 2020)' 설문조사에 의하면 대부분의 무선 오디오 기기 소비자는 지속해서 새로운 활용 사례와 기능을 요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 세계적으로 진정한 무선 이어버드의 폭발적인 성장이 이어지면서 연장된 배터리 수명, 향상된 스마트폰 상호운용성,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호출어(wake word) 작동 음성 비서 기능 및 음질 개선 등에 대한 수요는 높아지고 있다. 나아가 게이밍과 영상 미디어 소비에 대한 인기는 저지연 블루투스 무선 오디오 연결에 대한 수요 상승을 이끌었다. 고음질 오디오가 오디오 기기 전반에서 주요 차별 요소로 자리매김한 가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