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데이는 2025년 1월 31일자로 마감된 2025 회계년도 4분기 및 연간 실적을 발표했다. 2025회계년도 4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총 매출은 22억1100만 달러로 2024 회계년도 4분기 대비 15% 증가했다. 구독 매출은 20억4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9% 증가했다. 영업 이익은 7500만 달러(매출의 3.4%)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의 경우 영업 이익은 7900만 달러(매출의 4.1%)였다. 4분기 영업 이익은 리스트럭처링 비용(7500만 달러)의 영향을 받았다. 비일반회계기준(non-GAAP)에 따른 4분기 영업 이익은 5억8400만 달러(매출의 26.4%)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의 경우 비일반회계기준에 따른 영업 이익은 4억6200만 달러(매출의 24%)였다. 희석주당순이익은 0.35달러였다. 2024회계년도 4분기의 희석주당순이익은 4.42달러였다. 2025회계년도 4분기의 주당순이익은 리스트럭처링 비용(7천500만 달러)의 영향을 받았다. 전년 동기의 경우 미국 연방 및 주 법에 따른 이연법인세자산(deferred tax assets)과 관련된 평가충당금(valuation allowance) 11억 달러가 환입되어 증가했었다. 2
전년 대비 매출이 112.1% 증가한 수치...연결 종속회사 성장 주효해 셀바스AI가 사상 최대의 연결기준 매출을 달성했다. 셀바스AI는 21일 공시를 통해 2024년 연결기준 매출액 1124.5억 원과 영업이익 7.6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이 112.1% 증가한 수치로, 메디아나의 연결 편입 효과와 함께 셀바스AI 및 셀바스헬스케어 사업의 성장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메디아나 연결에 따른 회계 비용과 일시적인 발생 비용으로 인해 감소했다. 셀바스AI의 별도기준 실적은 2024년 매출액 243.7억 원으로 전년 대비 4.4%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1.0억 원으로 64.1% 늘었다. 특히 2024년 4분기에는 매출액 72억 원, 영업이익 18.5억 원을 기록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연결 종속회사의 실적도 주목할 만하다. 메디아나는 매출액 568.7억 원과 영업이익 13.1억 원을, 셀바스헬스케어는 매출액 317.0억 원과 영업이익 32.3억 원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갔다. 셀바스AI는 제품화를 통한 안정적인 매출 성장과 더불어 영업이익도 4년 연속 흑자를 달성한 국내 유일의 AI 기업이다. AI
매출 181억1430만 원, 영업익 17억1373만 원, 당기순이익 80억9926만 원 기록 쓰리에이로직스가 지난 13일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 이상 변동 공시를 통해 2024년도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공시에 따르면, 쓰리에이로직스의 지난해 매출은 181억1430만 원으로 전년 대비 27.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7억1373만 원, 당기순이익은 80억9926만 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쓰리에이로직스 관계자는 “차량용 및 스마트 물류용 NFC 칩의 매출이 증가하며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며 “이에 더해 지난 2023년 상환전환우선주를 모두 보통주로 전환하는 등 상장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재무 건전성을 높이는 데 주력했던 것이 성과를 거뒀다”고 말했다. 회사는 지난해 사업 부문 전 영역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스마트 물류 분야 핵심제품으로 꼽히는 NFC 태그 칩 ‘TNP200M’를 국내 화장품 업체에 정품인증용으로 공급하며 전년 대비 680%의 매출 증가를 기록했다. 이와 더불어 주요 매출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ESL(전자가격표시기) 분야 역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전년 대비 48% 증가한 79억원의 매출로 성장을 이끌었다. 쓰리에이로직스는 지난해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가 1월 26일 마감한 회계연도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회계연도 2025년 1분기 글로벌 매출은 71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다. 미국회계기준(GAAP)으로 매출총이익률 48.8%, 영업이익률은 30.4%였으며 주당순이익(EPS)은 1.45달러를 기록했다. 비일반회계기준(Non-GAAP)으로는 매출총이익률 48.9%, 영업이익률 30.6%, 주당순이익 2.38달러를 기록했다.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는 영업활동으로부터 9억2500만 달러 현금을 확보했으며, 13억 2000만 달러의 자사주 매입과 3억2600만 달러의 배당금을 포함해 총 16억4000만 달러를 주주에게 환원했다. 게리 디커슨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회장 겸 CEO는 “어플라이드는 에너지 효율적인 AI를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디바이스 아키텍처의 주요 혁신을 지원하고 ‘빠른 속도의 공동 혁신’에 집중해 고객 및 파트너와 독창적인 협력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며 “이는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가 향후 몇 년 동안 지속적인 성장과 탁월한 성과를 달성할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브라이스 힐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수석 부사장
NHN KCP가 지난해 1조1053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매출 1조 원을 돌파했다. NHN KCP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1조1053억 원, 영업이익 438억 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전년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4%, 4% 증가한 수치다. 매출에 기여하는 거래액은 49조 원으로 전년 대비 13% 증가했다. 이번 실적은 온·오프라인 결제 사업 영역에서 고른 성장을 이어간 덕분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NHN KCP 관계자는 “내수 침체로 인한 이커머스 시장 위축에도 국내외 신규 가맹점 확보에 주력하고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한 결과 매출이 창사 이래 처음 1조 원을 넘어섰다”고 말했다. 다양한 신규 사업과 서비스 론칭이 예고되면서 올해 실적 전망도 긍정적이다. NHN KCP는 선불 라이선스 사업 진출, 무역 결제 플랫폼 론칭, 해외 결제 시장 진출 본격화를 통해 수익 모델을 확보할 예정이다. 또한 다년간 신뢰관계를 구축해온 글로벌 파트너사들과 시장 확대를 위한 논의를 계속하고 있어 장기적인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고 회사는 전했다. 이 밖에도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 포스 사업과 함께 온·오프라인 사업자를 대상으로 비즈니스 컨설팅을
비츠로셀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519억1219만4765원으로 전년대비 37.7% 증가했다고 11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9.6%와 41.5% 상승해 2107억7936만 원과 510억2025만 원을 기록했다. 회사는 “스마트 그리드 및 군수용 전지 수요 확대가 성장세를 이끌었다”며 “달러 환율 강세와 리튬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의 안정화 등 호의적인 외부 환경으로 인해 전년에 이어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고 올해에도 견조한 성장세를 계속 이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비츠로셀은 이날 열린 이사회에서 회사가 보유한 자기주식을 제외한 보통주 주당 460원의 현금배당을 결의했다. 배당금총액은 103억3494만 원으로 배당성향은 20.3%, 시가배당율은 2.2%이다. 배당금은 오는 3월 예정된 주주총회 승인 후 1개월 내 지급될 예정이다. 회사는 지난해 주당 250원을 현금 배당했고, 올해는 주당 460원으로 84% 증액했다. 지난 6월에는 당기순이익의 20% 이상을 향후 3년간 현금배당하겠다는 배당성향을 공시하는 등 적극적인 주주친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장승국 비츠로셀 대표는 “앞으로도 비츠로셀은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주주가치를 극대화
네이버의 지난해 매출이 10조 원을 넘어섰다. 네이버는 7일 연결 기준 4분기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7% 증가한 2조8856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연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3.7%, 전기 대비 3.2% 상승한 5420억 원이었다. 지난해 연결 매출액은 전년 대비 11.0% 성장한 10조7377억 원으로 기록됐다. 연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2.9% 증가한 1조9793억 원으로 나타났다. 국내 인터넷 플랫폼 기업 가운데 매출 10조 원을 달성한 것은 네이버가 처음이다. 네이버는 2018년 처음으로 매출 5조 원을 넘겼고, 이후 신사업을 중심으로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장하며 6년만에 ‘매출 10조원’ 클럽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 네이버는 지난해 전 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이어가며 최고 실적을 매 분기 경신해 왔다. 4분기 실적을 부문별로 보면 서치플랫폼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14.7% 상승한 1조647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9.9% 성장한 3조9462억 원이었다. 회사 측은 광고 효율을 향상시키고, 외부 매체를 확대하는 등 플랫폼 경쟁력을 보다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커머스는 지난해 10월 네이
LG CNS는 6일 지난해 매출액은 5조9826억 원, 영업이익은 5129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6.7%, 10.5%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2조242억 원, 영업이익은 2001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2%, 1.1% 늘어난 수치다. 회사 측은 5년 연속 최대 실적을 경신하며 우상향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분야별로는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사업이 전년 대비 15.8% 성장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해당 분야 매출은 3조3518억 원으로 전체 매출의 약 56%를 차지했다. 회사 측은 AI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는 한편 신사업 분야인 데이터센터 사업도 본격 추진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AI 신사업 분야인 AI 데이터센터 사업도 본격 추진한다. LG CNS는 AI 데이터센터의 필수 기술로 손꼽히는 ‘액침냉각’ 기술 연구과제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과 수행중이다. 데이터센터를 가상으로 구현해 장비 과열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디지털트윈 기술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엘앤에프는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4년 연간 매출 1조 9075억 원, 영업이익 -5102억 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대비 58.9%, 영업이익은 129.5% 감소한 실적이다. 매출액 감소의 주요 요인은 전방 산업 수요 둔화로 인한 출하량 감소와 메탈 가격 변동에 따른 판가 하락이다. 또한 영업이익은 메탈가격 하락으로 인한 손익 압박과 EV 수요 둔화에 따른 가동률 감소, NCM 523 제품 및 원재료의 재고평가손실이 추가 인식되면서 적자가 지속됐다고 회사는 밝혔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전 분기 대비 3.9% 증가한 3653억 원을 기록했으며, 영업 이익은 -1498억으로 나타났다. 4분기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11% 성장했으며, 3분기를 저점으로 회복세에 진입하며 상승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엘앤에프는 2025년 신제품 출시와 신규 사업 확대를 통한 성장을 계획 중이다. 지난해 세계 최초 46파이용 Ni-95% 제품 양산에 이어 2170용 Ni-95% 신제품 납품을 준비 중이며, 올해 1분기 말부터 출하될 예정이다. 또한 중저가 전기차 시장 진출을 위해 국내외 고객사와 LFP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다. Non-FEOC(
육송은 지난해 런칭한 ‘AI 전기차 화재 확산 지연시스템’ 사업의 성공적인 시장 진입에 힙입어 올해 총 매출 550억원을 달성할 것이라고 4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매출 415억7000만 원 대비 32.3% 신장된 수치다. 특히 전기차화재 대응 시스템인 ‘전기차 상방향직수자동화장치’ 분야에서 50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전기차화재 대응 신규사업 활성화에 따라 육송은 주차장의 전기차 화재 대응시 소비자 입장에서 설비구축에 필요한 필수항목 9가지를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육송에서 밝힌 전기차 화재시 배터리 열폭주 및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기존건축물 설치 ▲자동작동 ▲연속주차 적용 ▲화재확산 대응 ▲불량주차 대응 ▲전기트럭 적용 ▲오작동 피해 방지 ▲소화포 옵션 ▲재질 구성 등 9가지 필수 시스템을 갖춰야한다. 한국소방산업기술원과 공동으로 ‘전기차 상방향직수자동화 시스템’을 개발, 전기차 화재시 배터리 열폭주 차단 실험에 성공한 육송은 여러 시뮬레이션을 통해 필수 9가지 항목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데 주력했으며 지난해 4월부터 시판을 시작했다. 육송은 “이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항목은 화재확산방지시스템”이라며 “골든타임
포스코DX는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이 1090억 원으로 전년보다 1.4%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일 공시했다. 매출은 1조4733억 원으로 전년 대비 0.8% 감소했다. 순이익은 886억 원으로 3.8% 줄었다. 4분기 영업이익은 232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64% 늘었다. 이 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3616억 원과 208억 원이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인한 업황 부진 여파 속에서 포스코퓨처엠이 작년 2000억 원대의 순손실을 냈다. 포스코퓨처엠은 연결 기준 작년 영업이익이 7억2000만 원으로 전년보다 9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일 공시했다. 매출은 3조6999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3% 감소했다. 순손실은 2313억 원으로 적자로 돌아섰다. 포스코퓨처엠은 자산 가치의 건전성 제고 차원에서 사업 현황을 선제적으로 반영해 손상차손을 인식하는 등의 영향으로 이 같은 규모로 당기순손실이 났다고 설명했다. 4분기 영업손실은 413억 원으로 전년 동기(737억 원)와 비교해 적자 폭이 줄었다. 4분기 매출과 순손실은 각각 7232억 원과 2759억 원이었다. 작년 주력인 배터리 소재 사업의 매출과 영업손실은 2조3399억 원, 369억 원을 기록했다. 이 중 양극재 사업에서는 세계 전기차 판매량 증가와 전기차 신모델용 제품 공급 개시에 따라 고부가 제품인 하이니켈 제품 중심으로 판매량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다. 다만 리튬, 니켈 등 주요 원료 가격 하락으로 판매가가 크게 하락해 매출은 전년 대비 30.4% 감소한 2조1856억 원을 기록했다. 또 일부
연간 매출 전년 대비 75.5% 증가한 187억 원, 영업이익 13억 원으로 흑자전환 다원넥스뷰가 2024년 4분기 매출 74억 원, 영업이익 12억 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3일 공시했다. 이는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가 30% 이상 변동한 내용으로 연간 기준으로는 매출이 전년 대비 75.5% 증가한 187억 원, 영업이익은 13억 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다만 당기순이익은 41억 원 적자를 기록하며 전년 0.9억 원 흑자에서 적자전환했다. 회사 측은 "지난해 6월 스팩 합병비용 52억 원이 일회성으로 반영된 결과"라며 "이를 제외한 실질적인 당기순이익은 11억 원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AI와 HBM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성장했다"며 "반도체 시장 호황과 신규 고객사 확보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AI 수요 급증으로 HBM(고대역폭메모리)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관련 장비 수요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HBM 시장 규모가 2024년 182억 달러에서 2025년 467억 달러로 156%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원넥스뷰의 초정밀 레
애플 총 마진은 46.9%로, 지난해 1분기 46.6% 뛰어넘는 최고치 기록 애플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살짝 웃돌았으나, 아이폰 판매는 부진했다. 애플은 작년 4분기 1243억 달러(179조6756억 원)의 매출과 2.40달러(3469원)의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30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분석가들의 평균 전망치 매출 1241억2000만달러와 주당 순이익 2.35달러를 웃도는 수치다. 애플의 총 마진은 46.9%로, 지난해 1분기 46.6%를 뛰어넘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애플은 실적 발표 후 투자자들과 가진 콘퍼런스콜에서 올해 1분기 매출은 한 자릿수 초중반 사이 비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는 애널리스트들이 예측해 온 증가율 5%와 일치하지만, (분석가들의) 실적 전망이 엇갈리면서 투자자들을 달래기에 충분했다"고 진단했다. 이날 뉴욕 증시 정규장에서 0.74% 하락한 애플 주가는 실적 발표 후 시간 외 거래에서 1% 이상 하락했으나 전화회의 이후 3% 상승세로 돌아섰다. 애플은 또 이번 분기 총 마진이 46.5%∼47.5%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작년 4분기
지난해 4분기 매출, 전년 동기 대비 7% 줄어...3개 분기 연속 감소 인텔은 작년 4분기 142억6000만 달러의 매출과 0.13달러의 조정된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30일(현지시간) 밝혔다. 매출과 조정된 주당 순이익은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평균치 138억1000만 달러와 0.12달러를 각각 웃돌았다. 이번 실적 발표는 작년 12월 팻 겔싱어 전 최고경영자(CEO)가 사임한 이후 처음 이뤄진 것이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 줄어든 수준으로, 이로써 인텔 매출은 3개 분기 연속 감소했다. 올해 1분기 매출은 117억 달러∼127억 달러에 이르고 이익을 보고할 것이라고 인텔은 밝혔다. 1분기 예상 매출은 시장 분석가들의 평균치 128억7000만 달러보다 낮은 수준이다. 부문별로는 PC 칩을 판매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팅 그룹 매출은 1년 전보다 9% 줄어든 80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분석가 예상치(79억4000만 달러)는 웃돌았다. 클라우드 업체 등에 프로세서를 제공하는 데이터 센터 및 인공 지능 부문은 3% 줄어든 33억90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려 시장 전망치에 부합했다. 인텔 파운드리 매출도 13% 줄었으나, 예상치 45억 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