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자동화(Factory Automation) 영역은 스마트 팩토리의 등장으로 혁신적인 스탭업을 경험했다. 이러한 레퍼런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전환(DX)'이 핵심 기반으로 작용한 결과다. 이 가운데 '자율제조(Autonomous Manufacturing)'가 제조 산업의 트렌드로 급부상했다. 자율제조는 생산·제조 전주기에 걸쳐 구축되는 자동·무인·자율화 인프라로, 시스템 내 모든 요소가 연결돼 새로운 제조 인사이트를 제시할 전망이다. 자율제조는 제조업의 최종 종착지로 기대 받는 만큼 수많은 차세대 첨단 기술이 이식된다. 특히 자율제조 시스템을 구축·구동·관리하는 과정에서 중심축 역할을 하는 기술이 바로 인공지능(AI)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AI 기술은 공장의 자동·무인화를 실현하는 데 기여하고, 비정형적인 공정을 구현하고 이슈를 해결하는 데 핵심으로 활용된다. 예컨대 설비 이상·고장을 분석·예측하는 '예지보전'을 수행해 다운타임(Downtime) 저감과 생산성 극대화를 노리거나, 공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이슈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등으로 AI가 제조 산업에서 활약하고 있다. 이러한 AI의 특성을 통해 공장의 완전한 자율화가 가능할 것이
[첨단 헬로티] 슈나이더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김경록)이 독일 ‘하노버 메세 2019(Hannover Messe)’에서 세계 최초 교차 산업 개방형 에코시스템 ‘슈나이더일렉트릭 익스체인지(Schneider Electric Exchange)’를 발표했다. 슈나이더일렉트릭 익스체인지는 고객의 실질적인 지속가능성 및 효율성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플랫폼이다. ▲ 슈나이더 일렉트릭 시릴 페르두캇 부회장이 디지털 에코시스템 익스체인지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 : 슈나이더일렉트릭 제공> 슈나이더일렉트릭 익스체인지는 비즈니스 솔루션을 만들고 확장하며, 새로운 시장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해결사 커뮤니티를 지원한다. 이 플랫폼을 통해 각 참여 주체는 디지털 및 사물인터넷(IoT) 혁신을 개발, 공유 및 판매할 수 있는 방대한 기술 도구 및 리소스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은 ▲새로운 시장에서 보다 큰 고객층에 도달 가능 ▲API(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분석 및 데이터 세트와 같은 방대한 리소스 라이브러리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획득하여 디지털 제안 향상 가능 ▲디지털 도구 및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