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노도테크놀로지(이하 디노도)가 디노도 딥쿼리(Denodo DeepQuery) 기능을 비공개 프리뷰로 선보였다. 디노도 딥쿼리는 생성형 AI가 사실 여부에 대한 답변을 넘어 관련 정보를 탐색하고 통합하며, 이러한 결과가 나오게 된 추론 과정을 설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디노도는 이번 발표와 함께 검색 증강 생성(RAG) 구현과 AI 애플리케이션 및 에이전트 개발을 가속화하는 오픈 소스 툴킷인 디노도 AI SDK에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외부 데이터 소스를 연결해 주는 개방형 프로토콜인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 지원도 추가했다. 디노도 딥쿼리는 복잡하고 포괄적인 답변을 요하는 비즈니스 관련 질의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여러 시스템과 부서, 형식으로 관리되는 광범위한 엔터프라이즈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활용한다. 딥 리서치를 지원하는 디노도 딥쿼리는 복잡한 질문을 분석하고 복수의 시스템과 소스를 넘나들며 관련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통해 실시간 정보에 기반한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답변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디노도 딥쿼리는 사용자가 기업을 둘러싼 각종 이슈와 상황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데이터, 외부 애플리케이션,
디노도는 새로운 AI 기능과 툴을 추가한 디노도 플랫폼 9.1을 발표했다. 지난 6월에 출시한 디노도 플랫폼 9는 AI 기반 자연어 쿼리와 검색 증강 생성(RAG)을 지원하고 데이터 관리에 지능형 데이터 배포를 도입해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에서 신뢰할 수 있는 통찰을 얻을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기능을 한단계 더 발전시킨 디노도 플랫폼 9.1은 시맨틱 계층을 활용해 데이터 엔지니어링 작업을 자동화하고 AI 기반의 디노도 어시스턴트(Denodo Assistant)를 통해 데이터 분석가와 비즈니스 사용자에게 상황에 맞는 인사이트와 데이터 추천 서비스를 제공한다. 독일 기업 페스토(Festo)의 루카스 라이너 데이터 엔지니어는 “디노도 플랫폼 9.1은 생성형 AI를 활용하려는 우리의 여정에서 게임 체인저 역할을 했다”며 “디노도의 유연한 데이터 통합 기술을 통해 정형, 비정형 데이터를 쉽게 통합할 수 있었고 FestoGPT 및 Skillground와 같은 생성형 AI 프로젝트를 빠르게 진행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또한 “디노도 플랫폼의 메타데이터 중심 접근 방식을 활용해 복잡한 데이터 문제를 해결해 직원들이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