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파 탐지, 임무 스케줄링, 합성데이터 생성 등 주요 AI 기술 공개 펀진이 지난 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국제인공지능대전(AI EXPO KOREA)’에 참가해 군사, 산업, 학술 분야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며 눈길을 끌었다. 특히 첨단 국방 기술의 대중적 이해를 확산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후문이다. 펀진은 이번 전시에서 전자기파 탐지, 임무 스케줄링, 합성데이터 생성 등 자사의 주요 AI 기술을 다각도로 선보였다. 가장 주목받은 기술은 인공지능 기반 전자기스펙트럼 분석 시스템 ‘KWM-Ocelot’이다. 이 기술은 적의 통신 신호를 효과적으로 탐지하고, 실시간으로 전장 상황을 시각화할 수 있어 정찰 드론의 작전 수행 능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킨 것으로 평가받았다. 이 시스템은 ‘2025 육군 인공지능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또한 스웜 AI 기반의 실시간 임무 추천 및 자원 배분, 스케줄링을 지원하는 솔루션 ‘RANZA’는 물류, 건설, 엔지니어링 업계 관계자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았다. 실제 전장뿐 아니라 민간 산업으로의 기술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됐다. 펀진 부스를 찾은 일
제3회 국방부장관배 드론봇챌린지서 ‘공격 드론 분야’ 최우수상 “드론 활용이 현대전서 관건...군 전력화에 기여할 것” 니어스랩이 ‘제3회 국방부장관배 드론봇챌린지’에서 공격 드론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국방부장관배 드론봇챌린지는 대한민국 국방부가 주최하는 행사로, 국방 측면에서 무인비행체(드론)의 기술력 및 활용성을 평가한다. 드론·로봇 분야에서 군과 산학연의 연계를 강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챌린지는 해양·항공, 공격, 감시·정찰 등으로 부문을 세분화해 부문별 최고의 드론을 뽑는다. 예선은 7월 20일부터 지난달 1일까지, 본선은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1일까지 진행됐다. 니어스랩은 드론 킬러 드론과 군집 드론으로 종목이 구성된 공격 부문에 참가했다. 공격 부문은 주관기관인 드론작전사령부가 올해 처음 기획한 세션으로, 드론의 기술력·운용력을 기준으로 심사한다. 드론 킬러 드론 종목에 출전하는 드론은 1km 이상 대상 드론을 추적한 후 무력화하는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 비행 중인 고정익 드론을 탐지하고 제압하는 과정을 평가한다. 군집 드론 종목은 1대의 조종기로 5대 이상의 드론을 군집·관제하고, 표적을 탐지·식별해 공격하는 과정을 소화하는 것이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