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ESG 칼럼] 글로벌 공급망의 새 언어, 에코바디스가 여는 신뢰의 시대
수출의 첫 관문은 ‘가격’이 아니라 ‘지속가능성’이다 오랜 시간 동안 산업 현장을 지켜봐 왔고, 이제는 컨설턴트로서 영광스럽게도 우리 경제의 주역인 산업 일꾼들을 돕게 된 필자는 최근 수많은 CEO에게서 같은 질문을 듣는다. “우리는 품질도 좋고 납기도 잘 지키는데, 왜 글로벌 바이어들이 거래를 주저하죠?” 그 답은 단순하다. 이제 세계 시장은 가격보다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먼저 묻는 시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2024)과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그리고 공급망 투명성 공시 의무제(2025)는 ESG 리스크를 ‘원청–협력사–하청’까지 확장시켰다. 그 결과, 글로벌 완성차·소재·전자 기업들은 협력사에게 ‘자기들 기준의 ESG 평가 결과’를 요구하기 시작했고, 그 핵심 도구가 바로 에코바디스(EcoVadis) 다. 에코바디스, ‘신뢰의 여권’을 부여하다 에코바디스는 2007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지속가능경영 평가 플랫폼으로, 현재 150개국 250개 산업의 15만여 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EcoVadis 2025 Annual Index). 이 평가는 △환경(Environment)
- 이동권 (주)한컨설팅그룹 전문위원
- 2025-11-09 0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