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웹 검색 시장, 구글·빙의 점유율 상승에 토종 포털 위기감 고조 국내 웹 검색에서 토종 포털 네이버와 카카오 '다음'의 점유율이 계속 하락하는 반면, 해외 '빅테크'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의 '빙'의 점유율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10일 웹로그 분석 사이트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국내 웹 검색 시장의 점유율은 네이버가 54.26%로 1위이고 그다음으로 구글(37.61%), 빙(3.83%), 다음(3.14%)이 각각 2∼4위를 차지했다. 구글과 빙의 점유율을 합치면 41.44%다. 구글과 빙의 합산 점유율은 지난달 평균 39.79%를 기록했는데 8월 들어서는 일일 기준으로 계속 40%를 넘었다. 전 세계 검색 시장 약 90%를 장악한 구글은 아직은 '토종'에 밀리고 있는 한국에서도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다. 실제 지난달 평균 점유율이 36.24%로 작년 7월(34.22%)과 비교해 1년 사이 2.02% 포인트 상승했다. 빙도 지난달 평균 점유율이 3.55%로 다음(3.40%)을 제치고 처음으로 3위로 올라섰다. 작년 7월 2.69%와 비교하면 0.86% 포인트 상승했다. MS는 지난해 빙에 인공지능(AI) 챗봇을 탑재하면서 검색 시장
[첨단 헬로티] 카카오(대표 임지훈)는 4일부터 17일까지 2주간 포털 다음(Daum) 자동차 섹션에서 ‘페라리 70주년 기념 사진전’을 진행한다. 이번 페라리 70주년 기념 사진전에서는 페라리의 역사적인 사건과 화제의 차량, F1 페라리 팀이 남긴 화제의 장면 등 171장의 사진을 감상할 수 있다. 이번 사진전을 위해 카카오는 페라리의 70년 역사를 10년 단위로 나누어 섹션을 구성했다. 각 기간의 영상과 사진을 설명과 함께 전시함으로써 수많은 자동차 마니아들의 사랑을 받아온 페라리의 역사를 시기별로 상세히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F1 그랑프리 역사에서 페라리팀이 남긴 기록과 화제의 장면, 특별하게 제작된 스페셜 모델, 70년 기념 각종 행사 스케치와 기념 차량 등도 각각의 섹션으로 구성했다. 이용자들이 사진전을 흥미롭고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기능도 적용했다. 온라인 사진전에 최적화된 UI 및 포토뷰어는 물론, 감상평 게시판 / SNS 공유 기능을 통해 이용자들이 사진전의 재미와 감동을 지인들과 함께 나눌 수 있도록 지원한다. 카카오 권오상 스포츠자동차 파트장은 “다음 자동차 섹션은 지난 4월 개편과 함께 유명 자동차
▲ 카카오 임지훈 대표 [사진=카카오] [헬로티] 카카오가 특화된 빅데이터와 모바일 광고 플랫폼으로 비즈니스 파트너를 위한 최적화된 마케팅 솔루션을 더욱 강화해 나간다. 카카오는 15일,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 ‘비즈니스 컨퍼런스 (Business Conference) 2016’에서 카카오의 주요 사업 전략과 함께 광고 사업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고 출시 준비 중인 다양한 마케팅 솔루션을 공개했다. 임지훈 대표, “특화된 빅데이터로 다양한 비즈니스 접점 제안” 임지훈 대표는 키노트 세션에서 카카오의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 O2O 플랫폼에 대한 마케팅 영향력을 설명했다. 특히, 메신저로 시작해서 정보, 콘텐츠 유통 플랫폼까지 진화해 온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이용자와 파트너, 이용자와 세상까지 연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임 대표는 “모바일 메신저에서 시작한 카카오톡이 커머스, 콘텐츠, O2O 등 다양한 정보와 콘텐츠를 유통하고 있고, 앞으로는 이용자가 원하는 모든 것을 카카오톡 안에서 해결할 수 있게 될 것이다"며, “음성기술, 언어처리, 인공지능 등의 기반 기
▲ 네이버 2016년 3분기 매출실적 [사진=네이버] [헬로티] 네이버는 2016년 3분기 매출(영업수익)이 1조 131억 원을 기록하며 분기 매출 사상 처음으로 1조 원을 돌파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중 해외 매출 비중이 37%를 차지했고 영업이익은 2823억 원, 당기순이익은 1980억 원의 실적을 달성했다. 네이버의 3분기 매출은 라인 등 해외 매출과 모바일 광고 매출의 성장에 힘입어 전년동기 대비 20.5%, 전분기 대비 2.6% 증가했다. 해외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24.7%, 전분기 대비 6.0% 증가한 3707억 원으로 전체 매출의 37%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전체 매출 중 모바일은 64%, PC는 36%로 나타났다.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27.6%, 전분기 대비 3.5% 증가한 2823억 원을 달성했다. 사업별 매출 및 비중을 살펴보면, 광고 매출은 모바일 매출의 확대 속에 전년동기 대비 27.7%, 전 분기 대비 3.7% 성장한 7495억 원(74%)을 기록했다. 해외 광고 매출은 라인 광고의 성장에 따라 전년동기 대비 72%, 전 분기 대비 14.3% 성장하며 전체 광고 매출의 21% 비중을 차지했다. 콘텐츠 매출은 전년동기
▲카카오게임 프렌즈팝콘홈페이지 캡쳐 [헬로티] 카카오는 네번째 카카오프렌즈 게임 '프렌즈팝콘 for Kakao'를 정식 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프렌즈팝콘'은 퍼즐게임으로, 어피치, 프로도, 튜브, 무지, 콘, 네오, 제이지, 라이언 8명의 카카오프렌즈가 등장해 길찾기, 고기굽기, 밤낮 밝히기 Match-3 퍼즐게임이다. 카카오 측은 사전예약에서 예약 등록자 166만 명을 기록해 2012년 카카오게임 플랫폼이 오픈한 이후 역대 최고 기록을 수립했다고 전했다. 한편, 카카오는 '프렌즈팝콘' 출시와 함께 사전 예약자 전원에게 보석 20개, 콘 3000개의 인게임 아이템을 지급하고, 친구에게 공유하여 함께 참여한 이용자에게는 추첨을 통하여 라이언 쿠션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또한 카카오는 '프렌즈팝콘' 정식 출시에 맞춰 카카오프렌즈의 통통 튀는 매력이 담긴 '팝콘펠라' 영상을 함께 공개했다. 프렌즈 캐릭터를 좋아하는 팬이라면 영화 속 주인공으로 변신한 프렌즈가 출연하는 인트로 영상부터 35가지 코스튬으로 단장한 280여 종의 다양한 프렌즈를 모으는 재미까지 느낄 수 있을 전망이다. 권미진 카카오 게임사업팀장은 "'프렌즈팝콘'은 기획 단계에서부터 게임 플레이, 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