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R은 리눅스 재단(Linux Foundation)이 주관하고 임베디드 업계 주요 기업들이 지지하는 오픈소스 실시간 운영체제(RTOS)인 제퍼 프로젝트(Zephyr Project)에 실버 멤버로서 공식 참여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협업은 임베디드 개발 분야에서 제퍼 RTOS의 발전을 적극 지원함과 동시에, 전문가 수준의 툴과 솔루션을 개발자 커뮤니티에 제공하겠다는 IAR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소형 풋프린트의 오픈소스 RTOS인 제퍼는 리소스가 제한적인 임베디드 기기와 사물인터넷(IoT) 애플리케이션에 특히 적합하다. 제퍼는 간단한 홈 오토메이션 센서에서부터 복잡한 산업용 컨트롤러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을 만큼 보안성과 유연성 및 확장성이 뛰어나다고 IAR은 설명했다. 오픈소스로 제공되는 이 RTOS는 방대한 커뮤니티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리눅스 재단이 주관하는 협업 프로젝트인 제퍼 프로젝트는 물론 NXP, 아나로그디바이스(Analog Devices),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와 같은 선도적인 반도체 제조사들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 작년 10월에 열린 북미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nRF54L15-DK’ 개발 키트를 공급한다고 14일 밝혔다. nRF54L15-DK는 노르딕의 새로운 nRF54L 블루투스 LE 시스템온칩(SoC)을 기반으로 사전 인증을 획득한 단일 보드 평가 및 프로토타이핑 플랫폼이다. 블루투스 LE의 모든 기능과 주요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nRF54L15-DK는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과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AR/VR), 자산추적, 스마트 홈 제품 및 의료 애플리케이션 등을 비롯해 다양한 무선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인 솔루션이다. nRF54L SoC를 탑재한 nRF54L15-DK는 블루투스 LE를 비롯해 블루투스 메시, 스레드, 지그비, 2.4GHz 독자적 프로토콜(최대 4Mbps) 및 매터(Matter)를 지원한다. 매터는 산업 자동화, 소비자 가전, 스마트 농업 등을 위한 다양한 에코시스템의 원활한 통합을 가능하게 하면서 IoT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상호운용성을 지원하는 IP 기반 연결 프로토콜이다. nRF54L15-DK는 포괄적인 nRF 커넥트 툴 세트와 nRF 커넥트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oftware development kit, SDK)를
1차 전지 애플리케이션의 배터리당 동작 시간 연장할 수 있어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는 nPM 전력관리 IC 제품군의 최신 모델인 'nPM2100'을 출시했다. nPM2100 PMIC는 초고효율 부스트 레귤레이터와 다양한 에너지 절감 기능을 갖추고 있어 1차(비충전식)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의 배터리당 동작 시간을 대폭 연장할 수 있다. 이 제품은 무선 마우스와 키보드, 소비자용 자산추적 장치, 리모컨 및 신체 부착용 의료 기기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PMIC 제품 디렉터인 기에르 코사비크(Geir Kjosavik)는 “모든 IoT 제품이 충전식 배터리나 에너지 하베스팅에 의존해 동작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에 1차 전지는 당분간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며, “설계자들은 nPM2100을 이용해 제품의 배터리 교체 간격을 늘리거나 더 작은 배터리로 동일한 배터리 수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더 작고, 가볍고, 경제적인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 nPM2100은 첨단 무선 멀티 프로토콜 제품인 노르딕의 nRF52, nRF53, nRF54 시리즈와 같은 저전력 SoC나 마이크로컨트롤러(MCU)의 전원공급장치를 관리한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이 오는 5월 22일부터 23일까지 중국 선전 컨벤션 전시 센터에서 ‘블루투스 아시아(Bluetooth Asia) 2025’를 개최한다. 5년 만에 다시 개최되는 블루투스 아시아는 전 세계 산업 리더, 개발자 등이 한자리에 모여 블루투스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는 최신 기술의 발전 및 미래 트렌드를 탐구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블루투스 아시아 2025에서는 AI, 자동차 산업, 오라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오디오를 통한 혁신적인 오디오 경험, 그리고 Find My 네트워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블루투스 기술이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조명한다. 이번 행사는 3000명 이상의 업계 전문가와 60개 이상의 업체가 전시에 참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블루투스 SIG은 행사가 서로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첨단 블루투스 제품 및 솔루션을 발견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아울러 블루투스 SIG의 임원들과 업계 리더 및 기술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다채로운 컨퍼런스 프로그램을 통해 블루투스 기술의 지속적인 개발과 새롭게 등장하는 응용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르딕 세미컨덕
셀룰러 IoT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시장 출시시간 단축 지원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는 최신 IoT 프로토타이핑 플랫폼인 '노르딕 Thingy:91 X'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Thingy:91 X는 포괄적인 온보드 기능 세트를 통해 IoT 프로토타이핑 프로세스를 간소화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셀룰러 Io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시장 출시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Thingy:91 X는 최근 출시된 nRF9151 SiP(System-in-Package)가 탑재돼 있으며, 배터리로 구동 가능하다. nRF9151은 배터리로 구동되는 글로벌 위치확인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최소형 셀룰러 IoT SiP로, 노르딕의 기존 nRF9160 및 nRF9161 시리즈 대비 20% 가량 풋프린트가 축소됐다. 또한 미국 관세 대상에서 제외되며, 글로벌 동작에 필요한 인증을 획득했다. 이 SiP는 LTE-M, NB-IoT, GNSS 및 DECT NR+ 기술을 지원한다. Thingy:91 X는 환경 조건을 모니터링하고,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는 여러 센서가 장착돼 있으며, 사용자가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버튼 및 LED와 다중 안테나도 갖추고 있다. 또한 1350
디지털 제조 혁신은 최근 인공지능(AI), IoT,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특히 제조 공정의 자동화와 지능화가 핵심 이슈로 떠올랐다.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데이터 중심의 스마트 공장 구축과 예지보전 기술의 도입을 강조한다. 또한 탄소중립과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한 친환경 제조 기술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고 있다. 아울러 사이버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보안 강화가 필수 과제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특집] 업계 전문가가 제안하는 맞춤형 디지털 제조 혁신 방안 [Net-Zero로 가는 가장 빠른 길] 트렌드 전환 ‘데드라인’ 직면한 산업…지속가능성 확보로 ‘승부’한다 [제조 통합 플랫폼 전략] 바야흐로 ‘SDx’ 시대…제조업이 바라보는 소프트웨어 기반 혁신은? [XR 솔루션과 도입 사례] XR 기술은 ‘3D 설계 새로운 표준’…품질검사 시간 90% 단축 EVENT & ISSUE ‘로보틱스 출사표’ 슈나이더 로봇 턴키 솔루션 업체로 ‘진화’ 신호탄 쐈다 로봇의 ‘뉴 제너레이션’에 답하다 어드밴텍, 로봇·AI 융합 파트너십 강조 TECH NOTE 노르딕 세미컨덕터
다양한 설계 옵션과 함께 향상된 효율성 및 탁월한 프로세싱 성능 선보여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는 이전에 공개된 nRF54L15에 이어 새로운 nRF54L10 및 nRF54L05를 출시하고, nRF54L 시리즈 무선 SoC 라인업을 발표했다. 빠르게 증가하는 블루투스 LE 및 IoT 애플리케이션과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설계된 노르딕의 nRF54L 시리즈는 다양한 설계 옵션과 함께 향상된 효율성 및 탁월한 프로세싱 성능으로 새로운 업계 기준을 수립했다. 새로운 nRF54L 시리즈의 3종의 디바이스는 CPU와 메모리, 주변장치를 비롯해 2.4GHz 무선 및 MCU 기능을 모두 단일 초저전력 칩에 통합하여 간단한 대량생산용 제품에서 보다 정교한 첨단 설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주요 애플리케이션으로는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링, 게임 컨트롤러, HID 기기는 물론, 의료기기, 스마트 홈 및 산업용 IoT 제품 등이 해당된다. nRF54L15는 높은 성능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며, nRF54L10 및 nRF54L05는 스마트 태그, 전자선반라벨, 자산 추적기 및 기타 비용에 민감한 IoT 기기 등과 같은 대량생산용
연결된 기기와 데이터에 대한 비용 효율적인 보안 환경을 구축하는 것은 많은 기업에게 중요한 과제이다. 물론, 연결 및 통신에 대한 표준을 활용할 수도 있지만, 처음부터 해당 기기에 필요한 인증서와 키를 주입할 수 있다면 더 효과적이지 않을까?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보안 영역은 제조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공장에는 고객이 인증기관 장비를 직접 운영할 수 있도록 안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제품이 배치되는 환경에 따라 각기 다른 구성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안 자산을 공장 현장에서 처리할 경우 새로운 과제가 발생하게 된다. 고객의 특화된 요구에 따라 맞춤형 소량 생산(Batch 단위)을 구축하는 것은 상당한 비용이 소모되고, 납기도 길어질 수 있다. nRF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nRF Cloud Security Service)는 배포 단계에서 원격으로 기기를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는 프로비저닝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일반적인 방식으로 기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제조 과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및 운영 환경에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nRF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에 대한 개요와 이 서비스를 통해 어떻게 효율적으로 셀룰러 IoT를
노르딕, 새로운 nRF54 시리즈에 채널 사운딩 기술에 대한 통합 준비 완료해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는 블루투스 SIG가 블루투스 6.0 사양의 일부로 채널 사운딩을 공식적으로 채택함에 따라, 향후 출시될 nRF54L 및 nRF54H 시리즈 SoC를 통해 이 기술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채널 사운딩은 블루투스 LE 기기의 거리 측정 및 존재유무 감지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기술의 유연성을 확장하고, 새로운 차원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노르딕은 새로운 nRF54 시리즈에 채널 사운딩 기술에 대한 통합 준비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는 기기의 연결 및 상호작용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첨단 기술을 도입하고 있는 노르딕의 선도적인 노력을 보여주는 것이다. 곧 출시될 예정인 nRF54L 및 nRF54H 시리즈는 개발자 및 제조사들이 채널 사운딩이 제공하는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보다 진보된 안전하고, 효율적인 무선 제품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근거리 무선 사업부 수석 부사장인 외이빈드 스트롬(Øyvind Strøm)은 “블루투스 SIG가 채널 사운딩을 도입함에 따라, 기존 블루투스 거리 측정 기술의 정밀
개요 IoT(Internet of Things)는 기술과 에코시스템, 비즈니스 적용 사례들이 진화하면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독립형 기기로 간주되던 머신들도 이제는 연결성을 갖추게 됐다. 예를 들어, 세탁기는 세탁이 완료되면, 휴대폰에 알림을 제공하는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이 새롭게 탑재되고 있다. 이는 세탁물을 건조기로 옮기는 것을 잊지 않도록 해준다. 그렇다면, 이러한 유형의 기본적인 적용 사례 및 사용자 경험이 실제로 투자 수익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까? 이 글에서는 간단한 예제를 통해 기기를 연결하는 이유를 살펴보고, 연결성이 제공할 수 있는 가치와 추가적인 옵션, 그리고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의 nRF 클라우드 디바이스 관리(nRF Cloud Device Management) 서비스를 통해 어떻게 이를 지원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결을 통해 통합되고 있는 세상 휴대폰 앱을 통해 사용자와 인터페이스하는 연결된 세탁기를 생각해보자. 이는 알림, 서비스 리마인드, 간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도 생성된다. 알림, 서비스 경고, 보다 직관적인 사용자
매시브 IoT 시장 전반에 걸쳐 확장 가능한 제품 개발 및 구축 간소화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는 최소형 및 최저전력의 nRF9151 SiP(System-in-Package)와 nRF9151 개발 키트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nRF9151은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고, 독립형 셀룰러 모뎀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MCU를 비롯해 통합 기능을 갖춘 사전 인증된 SiP다. 이 SiP를 이용하면, 산업 자동화, 자산 추적, 스마트 시티, 스마트 미터링, 스마트 농업 등과 같은 매시브 IoT 시장 전반에 걸쳐 확장 가능한 제품의 개발 및 구축을 간소화할 수 있다. nRF9151은 비용 효율적이면서도 전 세계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셀룰러 IoT 기술의 상당한 발전을 확인할 수 있는 제품이다. nRF9151은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포함된 하드웨어를 비롯해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툴 및 세계적 수준의 지원 등이 제공되는 포괄적이면서도 컴팩트한 솔루션이다. 이전 세대 제품인 nRF9161과 마찬가지로, nRF9151은 3GPP 릴리스 14 LTE-M/NB-IoT 글로벌 커버리지와 DECT NR+를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엔지니어들에게 네트워킹 표준에 대한 최신 리소스를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킹 콘텐츠 허브를 30일 공개했다. 연결성이 강화되는 오늘날의 환경에서 네트워킹 표준은 일상적인 상호 작용의 원활한 통합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다. 와이파이 6와 와이파이 7 및 매터(Matter)는 속도와 지연시간 및 효율성의 한계를 뛰어넘고 있다. 마우저의 리소스 센터는 엔지니어들에게 최신 업데이트와 통찰력을 제공해 설계자들이 이러한 발전을 선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무선 표준은 끊임없이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와이파이 6은 6GHz 주파수 대역에 대한 추가 지원을 통해 대역폭은 증가하고 혼잡도는 감소하고 있다. 또한 다른 프로토콜들과 함께 동작할 수 있는 매터와 같은 새로운 연결 표준은 단일 프로토콜로 스마트 기기를 통합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다채롭고 사용하기 간편한 IoT 및 스마트 홈 환경을 만들고 있다. 시장에 출시되는 무선 기기가 점점 더 증가함에 따라 안정적이고 연결된 미래를 만들기 위한 고성능의 신뢰할 수 있는 연결 기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엔지니어들은 일련의 기사와 블로그, 전자책 및 제품 정보 등을 통해 혁
향상된 오디오 품질과 함께 저전력 및 긴 도달거리의 안정된 무선 연결 제공 스위스의 임베디드 전자장치 설계업체인 아렌디(Arendi)는 TV, 스테레오, PC 또는 이와 유사한 기기에서 사용자의 블루투스 LE 또는 오라캐스트 지원 헤드폰, 스피커 및 보청기 등에 고품질 스트리밍 오디오를 제공하는 블루투스 LE 오디오 및 오라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오디오 TV 스트리머를 출시했다. ‘아렌디의 오라캐스트 TV 스트리머’는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의 듀얼 코어 nRF5340 SoC 및 nRF21540 RF FEM(Front-End Module)을 이용해 향상된 오디오 품질과 함께 저전력 및 긴 도달거리의 안정적인 무선 연결을 제공한다. 아렌디의 토마스 루프(Thomas Rupp) CTO는 “현재 TV 스트리머는 보청기의 제한된 에너지를 고려해 독점 RF 링크를 사용하고 있다. 이제는 아렌디의 오라캐스트 TV 스트리머가 출시되면서 제조사에 국한되지 않는 블루투스 LE 저전력 솔루션을 이용하게 됐다”고 말했다. 차세대 블루투스 오디오인 LE 오디오는 TWS(True Wireless Stereo)를 지원하고, 블루투스 LE 기반 오디오 스트리밍을 가능하게 한다. 또
노르딕 세미컨덕터는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든 부품 릴을 사용하는 반도체 기업군에 합류하면서, 지속가능성 전략에서 또 다른 중요 이정표를 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전환하면 플라스틱 폐기물을 연간 약 1만5000kg까지 줄일 수 있다. 올레-프레드릭 모르켄 노르딕 세미컨덕터 공급망 부문 수석 부사장은 “우리는 지속적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며 “신뢰할 수 있는 OSAT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이러한 이정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노르딕 고객들은 매년 노르딕 부품이 내장된 수억 대의 기기를 구축하고 있는 무선 IoT 연결 분야의 세계 최대 반도체 칩 소비자 중 일부이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기에르 랑엘란드 노르딕 세미컨덕터 세일즈 및 마케팅 부문 수석 부사장은 “이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작지만 중요한 기여가 될 것”이라며 “AI와 머신러닝 등 노르딕이 선도하고 있는 IoT 애플리케이션의 시장 잠재력을 고려하면 노르딕은 조만간 매년 수십억 개의 디바이스를 공급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노르딕의 부품 패키징 릴의 대부분은 재생 폐플라스틱을
시스벨 LTE-M 및 NB-IoT 무선 기술 표준 라이선스 풀에 액세스하는 옵션 이용하게 돼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는 LTE-M 및 NB-IoT 셀룰러 기술에 대한 SEP(Standard Essential Patent, 표준특허) 라이선스를 위해 글로벌 특허풀 관리기업인 시스벨과 새로운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개발자들은 이번 계약으로 시스벨의 LTE-M 및 NB-IoT 무선 기술 표준 라이선스 풀에 쉽게 액세스하는 옵션을 이용하게 됐다. 이러한 라이선스 이니셔티브는 IoT 기기 제조업체들이 셀룰러 모듈 공급업체인 노르딕을 통해 LTE-M 및 NB-IoT SEP를 보유한 30개 이상 특허권자의 최종 제품 라이선스를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확보하도록 지원한다. 이번 계약으로 스마트 헬스, 스마트 에너지, 스마트 시티 및 자산 추적 등과 같은 분야의 셀룰러 개발자가 직면한 일반적인 라이선스 문제를 해결하게 됐다. 또한, 표준화한 라이선스를 제공하는 이번 계약으로, 기업들은 비즈니스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IoT 시장을 위한 새롭고 혁신적인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게 됐다.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장거리 무선 솔루션 사업부 수석 부사장인 오빈드 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