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취약점 수정 작업 간소화하고 대규모로 적용하도록 설계돼 깃허브가 자사 보안 솔루션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보안 캠페인(Security Campaigns)’ 기능을 정식 출시했다. 이번 기능은 깃허브 어드밴스드 시큐리티(GHAS)와 깃허브 코드 시큐리티 고객에게 제공되며, 자동 보안 수정 기능인 ‘코파일럿 오토픽스’를 포함해 개발자와 보안팀 간 협업을 대폭 개선한 것이 핵심이다. 보안 캠페인은 개발자 워크플로우 내에서 보안 취약점 수정 작업을 간소화하면서도 대규모로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코파일럿 오토픽스는 코드 스캐닝 경고 최대 1000건에 대한 자동 수정 제안을 한 번에 생성할 수 있어, 개발자는 기존의 개발 흐름을 유지하면서 빠르게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깃허브에 따르면, 보안 캠페인 기능 도입 전에는 병합된 코드 내 보안 경고의 단 10%만 해결됐으나, 캠페인 기능 도입 이후 해결 비율이 55%까지 증가했다. 실제 보안 캠페인에 포함된 경고는 포함되지 않은 경고 대비 개발자 참여율이 약 2배 높게 나타났으며, 해결율 또한 5.5배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보안 캠페인은 보안 전문가가 보안 이슈를 분류하고 우선순위를 설정한 뒤,
IAR은 최근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을 새롭게 출시하고 임베디드 개발팀에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확장성과 보안, 자동화를 제공한다고 7일 밝혔다. 임베디드 시스템이 발전하면서 최신 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CI) 및 지속적 배포(continuous delivery, CD) 파이프라인과의 통합을 비롯해 확장성, 보안, 규정 준수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이전까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은 경직된 라이선스 모델과 복잡한 빌드 환경으로 인해 민첩하고 자동화된 워크플로우 도입이 제한됐다. IAR의 새로운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이 플랫폼의 용량 기반 라이선스는 CI/CD에 최적화돼 있어 동적 리소스 할당과 자동 빌드 확장이 가능하다. 이 플랫폼은 아키텍처와 하드웨어 디바이스에 종속되지 않으며 Arm, RISC-V, 르네사스 RX 및 RL78, 마이크로칩 AVR을 포함한 20개 이상의 아키텍처를 지원한다. 임베디드 개발팀은 쿠버네티스, 젠킨스, 깃허브 및 깃랩과 통합된 이 새로운 플랫폼을 통해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데브옵스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플랫폼은
깃허브(GitHub)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창립 50주년을 기념해 자사의 AI 기반 개발 도구인 깃허브 코파일럿의 에이전트 모드를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이하 VS Code)의 모든 사용자들에게 단계적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프리미엄 리퀘스트 기능이 포함된 ‘코파일럿 프로 플러스’ 요금제를 개편하고 앤트로픽, 구글, 오픈AI의 고성능 AI 모델, 다음 편집 제안 기능 및 코파일럿 코드 리뷰 에이전트의 정식 출시도 함께 발표했다. 토마스 돔케 깃허브 CEO는 “깃허브 코파일럿은 오늘부터 보다 에이전틱하게 진화한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AI 모델과 함께 개발자가 사용하는 도구와 서비스에 대한 풍부한 컨텍스트를 바탕으로 작동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멀티 모델을 지원하겠다는 약속을 실현해 앤트로픽 클로드 3.5/3.7 소넷, 3.7 소넷 사고, 구글 제미나이 2.0 플래시, 오픈AI o3-미니 모델을 프리미엄 리퀘스트 형태로 제공하고 이는 모든 코파일럿 유료 요금제에 포함된다”며 “특히 새롭게 개편된 코파일럿 프로 플러스 요금제를 통해 개인 개발자도 최신 모델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돔케 CEO는 “에이전트의 진화는 여기
마이크로소프트(MS)는 지난 2분기(회계연도 4분기)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매출과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다. 그러나 클라우드 성장이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시간외 주가는 내렸다. MS는 647억 달러(89조5771억 원)의 매출과 2.95달러(4084원)의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3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5% 증가한 수준으로,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예상치 643억9000만 달러를 살짝 웃돌았다. 주당 순이익도 분석가들의 예상치 2.93달러에 부합했다. 총 이익은 220억4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약 10% 늘어났다. 전체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인텔리전트 클라우드 부문은 19% 증가한 285억2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여기에는 애저 퍼블릭 클라우드, 윈도우 서버, 깃허브 등이 포함된다. 이는 시장조사업체 스트리트 어카운트가 조사한 분석가들의 컨센서스인 286억8000만 달러보다 낮았다. 특히, 이 중에서도 애저 등 클라우드 서비스의 분기 매출은 29% 성장했다. 이는 분석가들의 예상치 31% 성장을 밑돌았다. MS는 애저 등 클라우드 서비스의 성장 29% 가운데 8%포인트가 인공지능
플레인비트는 침해사고 데이터 수집 도구인 ‘리눅스용 비트콜렉터’(bitCollector for Linux)를 공개했다고 26일 밝혔다. 리눅스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침해사고 데이터 수집 도구 ‘비트콜렉터’는 현재 깃허브에서 누구나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비트콜렉터는 리눅스 환경에서 사이버 침해사고 조사를 위한 아티팩트와 로그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도구로, 센트OS(CentOS), 레드햇(RedHat), 수세(SUSE), 우분투(Ubuntu), 라즈비안(Raspbian) 운영 체제를 기본으로 지원한다. 설정 파일을 변경하면 원하는 리눅스 배포판을 수집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 기본 아티팩트 이외에도 사고 조사에서 필요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아티팩트도 커스텀할 수 있다. 플레인비트는 측은 “신속한 침해사고 대응은 사고의 파급 효과를 최소화하고 잠재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다”며 “최근 5년간 수천 건의 사고 조사와 대응을 수행하며 리눅스 환경에서 데이터 수집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수집기가 필요해 직접 개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비트콜렉터는 사용자가 직접 수집 항목을 설정해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다양한 변수가 발생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가 새로운 오픈소스 파이썬(Python) 패키지인 ‘spcm’을 출시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200개 이상의 계측기 5MS/s에서 10GS/s의 샘플링 속도로 더 빠르고 쉽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파이썬은 단순성, 다양성, 유연성을 갖춰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프로그래밍 개발 주기를 크게 단축하는 NumPy와 같은 광범위한 라이브러리 및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다. 새로운 spcm 패키지는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의 디지타이저, AWG 및 디지털 I/O 제품을 위해 설계된 높은 수준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 인터페이스를 갖춰 사용자가 파이썬 언어를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패키지에는 전체 소스 코드와 다양한 세부 예제 또한 포함돼 있다. spcm은 깃허브(GitHub)에서 MIT 라이선스에 따라 무료로 사용 가능하다. 스펙트럼의 파이썬 패키지는 카드, 카드 그룹 및 이더넷 기기를 자동으로 여닫는 작업과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이동을 위한 메모리 할당을 안전하게 처리한다. 또한 장치에 따른 모든 기능은 사용하기 쉽게 발췌 표준화돼 있다. 여기에는 클록 및 트리거
데이터브릭스가 표준 벤치마크에서 모든 오픈소스 모델을 능가하는 범용 대형언어모델(LLM) DBRX를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DBRX는 모든 기업을 위해 맞춤형 고성능 LLM의 학습과 튜닝을 보편화한다. DBRX는 바로 사용 가능하며 전 세계 조직은 비용 효율적으로 자체 맞춤형 LLM을 구축, 교육 및 서비스할 수 있다고 데이터브릭스는 전했다. 알리 고드시 데이터브릭스 공동창립자 겸 CEO는 “데이터브릭스는 데이터와 AI를 보편화하겠다는 사명 아래 모든 기업에 데이터 인텔리전스를 제공해 그들이 보유 중인 데이터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자체적인 AI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새롭게 선보인 DBRX는 최신 업계 벤치마크에서 오픈소스 모델을 능가하고 대부분의 벤치마크에서 GPT-3.5를 뛰어넘는 수준”이라며 “우리는 독점 모델을 오픈소스 모델로 대체하는 추세가 고객 기반 전반에 걸쳐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DBRX는 전문가 혼합 아키텍처를 사용하기 때문에 초당 토큰 전송 속도가 매우 빠르며 비용 효율적”이라며 “DBRX는 오픈소스 LLM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기업이 자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크베이스가 오픈소스 구조의 신개념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 '마크베이스 네오(MACHBASE NEO)'를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마크베이스 네오는 개발자의 복잡하고 어려운 데이터 수집 및 처리 과정을 마크베이스 네오 서버 하나만으로 대부분 구축할 수 있어, 개발 효율을 10배 이상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마크베이스 네오는 데이터베이스 엔진 자체에 ▲IoT 데이터를 위한 MQTT 서버 ▲Rest API를 위한 HTT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Web 서버 ▲구글이 개발한 고성능, 고유연성, 언어 중립적인 원격 프로시저 호출 프레임워크인 gRPC 서버 ▲안전한 데이터 및 조작 보안을 위한 SSH 서버 등 4가지 필수 기능을 모두 통합했다. 개발자는 마크베이스 네오 구동 만으로 이 모든 기능을 복잡한 개발과 연동 과정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라인 프로토콜의 지원으로 데이터 수집의 대표적인 오픈 소스 제품인 Telegraf와 연동할 수 있고, 오픈소스 기반의 시계열 DBMS의 InfluxDB 응용 프로그램 역시 변경 없이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개발자를 위한 선택의 폭도 크게 넓혔다. 마크베이스의 최신 기능도 제약 없이 이용할 수 있다
헬로티 조상록 기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의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정보중심네트워킹(ICN) 기술 표준 문서'가 인터넷 기술 관련 국제 사실 표준화 기구인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공식 표준 문서로 등록되었다. 제정된 국제표준인 ‘정보중심 네트워킹에서의 이름변환서비스(NRS, Name Resolution Service) 설계 지침’은 진행자가 이동하면서 방송을 진행하더라도 시청자는 끊김 없는 생방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술이다. 제정된 국제표준인 정보중심네트워킹에서의 이름변환서비스(NRS) 설계 지침은 생방송 중인 진행자가 이동하면서 방송을 진행하더라도 시청자는 끊김 없는 생방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술이다. 본 표준은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핵심 표준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정된 표준을 활용하면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활동하는 유튜버의 생방송 서비스의 실시간 데이터를 트래픽 손실 없이 지원할 수 있어 이동시 끊김 없는 생방송을 위해 필수적인 기술로 쓰일 수 있다. 본 표준은 ETRI 홍정하 박사와 유태완 박사가 지난 2016년 7월에 개최된 IETF 국제표준화 회의에
[첨단 헬로티]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애브리웨어’ 컨퍼런스 성료 한국마이크로소프트가 자사의 클라우드 플랫폼 ‘애저’의 최신 기술과 비즈니스 전략을 공유하는 ‘애저 애브리웨어(Azure Everywhere)’ 컨퍼런스를 1월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서 마이크로소프트는 애저를 활용한 성공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되어 클라우드 인프라의 혁신을 넘어 클라우드 상에서 앱, 개발, 데이터 활용, 분석 및 인공지능(AI) 기술의 무한한 기회를 제공하는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서비스를 소개했다. 업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테크 기업들의 키노트와 애저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사례가 소개되면서 이목을 끌었다. 특히 첫번째 키노트 연사로 폴 존(Paul St John) 깃허브(GitHub) 글로벌 비즈니스 총괄 부사장이 참여해 클라우드 시대에 기업과 개발자를 위한 혁신 방안에 대해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해당 연설은 깃허브 인수 이후 국내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깃허브 관계자의 참여와 개방성을 추구하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노력에 대한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