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C 전문업체인 ADS-TEC Industrial IT에서는 자체 산업용 Box PC 및 HMI에 힐셔의 netJACK 옵션 모듈을 사용하고 있다. 해당 제품은 마스터나 슬레이브 기능을 필요에 따라 툴없이 유연하게 장착하기 위한 범용 솔루션이다. netJACK 교체형 모듈인 netJACK 제품은 마스터나 슬레이브 기능의 추가를 통한 장치 업그레이드용 폐쇄형 IP40 하우징의 범용 솔루션이다. 모든 변형 모델은 동일한 기구적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도 동일하다. 이 교체형 모듈은 공급망 내의 모든 지점에서 (최종 고객의 현장에서도) 공구 없이 쉽게 장착 가능하다. 그 외 특징으로는 이하와 같다. · 마스터 및 슬레이브 애플리케이션에 적합 · 하드웨어 하나로 모든 실시간 이더넷 프로토콜 지원 · PCI Express, 이중 포트 메모리 또는 SPI를 통한 연결 ADS-TEC Industrial IT GmbH ADS-TEC Industrial IT GmbH는 독일 슈투트가르트 인근 뉘에르팅겐에 위치한 본사에서 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자동화, 물류, 의료, 자동차, 기계공학 등의 산업을 위한 산업용 컴퓨터와 IT 시스템을 개발,
[헬로티] ‘기계공학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기계공학 전문가들의 전망과 제언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책이 발간됐다. 나노와 바이오, 3D 프린팅, 중소기업 지원 및 발전전략 등 다양한 기계공학 분야의 미래를 전망하고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논제들이 담긴 ‘2016 IFAME’ 프로시딩이다. 한국기계연구원(원장 임용택)은 2016년 8월 18일 개최한 기계기술 분야 국제 학술포럼 ‘2016 IFAME(미래기계기술포럼 코리아)’ 프로시딩을 발간했다. 프로시딩에는 포럼에 참석했던 기계기술 분야 세계적 석학 및 산학연 전문가 등 12인의 첨단 제조기술에 관한 구체적인 의견을 담았다. 프로시딩은 연사의 강연 내용을 최대한 살려 담아 발표 현장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했으며 국문 초록도 수록해 폭넓은 이해를 도왔다. 연사 중 한 명인 헬무트 슈뮈커 박사는 기계연 창립 40주년을 맞아 설립 당시 국내 산업화를 이루기 위한 정치·경제·사회적 상황을 면밀하게 분석했다. 또 한국 제조업의 위기를 출산율 저하, 가계부채 및 청년 실업률의 증가, 이공계 기피 현상 등 인력문제와 재벌 위
[헬로티] KAIST 기계공학과 학부생팀이 지난 12일부터 이틀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아시아 디자인 엔지니어링 워크숍(A-DEWS) 혁신설계경연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혁신설계경연대회는 혁신적인 제품 및 서비스를 창조하는 엔지니어와 학생들을 응원하기 위해 진행된 행사다. 이번 대회에 한국, 일본, 대만, 말레이시아 등 학부생 또는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총 10팀이 참가했고 KAIST 기계공학과 학부생팀은 우승에 해당하는 혁신설계디자인상을 받았다. KAIST 연구팀은 수동 휠체어를 위한 탈부착 전동 주행 보조기를 제작했다. 수동 휠체어에 탈부착이 가능한 동력 전달장치를 설치하는 기술로 전동 휠체어에 비해 훨씬 저렴하고 기존의 탈부착 장치보다 작동 및 설치가 쉽다. 연구팀은 자기 강화효과를 이용한 구동력 향상과 장착 과정 시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한 설계를 강점으로 내세워 발표를 진행했다. 최세범 지도교수는 “학생들이 견문을 넓히고 자신감을 갖게 돼 기쁘다”며 “경제적으로 힘든 장애인들에게 초저가의 휠체어 전동 장치를 보급해 활동성을 높이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임근난 기자 (fa@hello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