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선정 유망 100대 기후테크 스타트업 올라 국내 인공위성 스타트업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이하 나라스페이스)가 한미일 등 14개국의 경제 협력체인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가 뽑은 유망한 100대 기후테크 스타트업에 선정됐다. IPEF는 지난 5∼6일 싱가포르에서 청정경제 투자자 포럼을 열고 100대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발표했다. 이 행사는 유망한 기술 기반 기후 스타트업을 발굴해 투자 유치 등을 지원함으로써 기후 변화 혁신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을 육성하겠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무엇보다 이번 선정은 14개국 전역 100대 유망 기후테크 스타트업 가운데 우주 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으로서는 나라스페이스가 유일하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 나라스페이스 측은 인공위성 기술을 메탄가스 모니터링 등 기후 대응 분야에 접목해 우주 기술의 활용 범위를 넓히고 뉴스페이스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사업 모델을 제시한 점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나라스페이스는 초소형 인공위성 개발과 운용, 위성 데이터 분석 전 과정을 수행하는 인공위성 스타트업으로 현재 온실가스 측정용 초소형 인공위성을 개발하는 나르샤(Na
한국 425 프로젝트 군집위성의 첫 번째 합성 개구 레이더 위성이 지난 7일 저녁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Cape Canaveral)에서 SpaceX Falcon 9 로켓으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이번 프로그램의 주관 개발기관은 한국 국방과학연구소(ADD)다.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이하 탈레스)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및 한화시스템(HSC)과 협력해 이 프로그램 개발에서 중요한 단계인 End-to-End 시스템 및 위성체시스템에 대한 엔지니어링 지원을 제공했다고 17일 밝혔다. 탈레스는 대형 전개형 안테나반사판과 이중편파 능동형 위상배열 피드등을 가진 고성능 합성개구레이더 안테나를 공급하고 지상의 데이터 획득, 저장, 및 재전송 시스템을 지원했다. 위성의 높은 민첩성은 탈레스알레니아스페이스가 공급한 혁신적인 항공전자부품 및 모텐텀제어 자이로스코프 등을 통해 보장된다. 이러한 첨단기술은 프로그램 성공이 중요한 고성능 관측 및 감시가 가능하도록 한다. 마시모 콤빠리니 탈레스 관측, 탐사 및 항법 부문 수석부사장은 “한국 425 군집위성 프로젝트의 첫 번째 위성이 성공적으로 발사돼 지구관측 위성의 설계, 개발 및 건설에 대한 탈레스의 오랜 전문성을 확인
"위성 관측 데이터 기반으로 지리 데이터 및 정보 서비스 확장한다" 에어버스가 플레아데스 네오 군집위성 시스템의 마지막을 장식할 두 위성에 대한 발사환경 시험을 성공적으로 밝혔다고 24일 밝혔다. 에어버스는 프랑스 툴루즈에 소재한 본사 클린룸에서 해당 위성의 평행 연결 과정, 열진공, 진동, 음향 등 발사환경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플레아데스 네오는 에어버스가 전적으로 투자해 개발한 차세대 군집위성으로 총 4개의 동일한 위성으로 구성되는데, 앞서 발사된 2대는 이미 궤도에 안착한 상태다. 두 위성은 유럽 연합이 개발한 베가-C 발사체에 탑재돼 프랑스령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동시 발사될 예정이다. 에어버스 우주항공 엔지니어 팀은 동시에 발사하고자 효율적이고 스마트한 디스펜서-프리 시스템을 고안했다. 인공위성을 싣는 기존 디스펜서 없이 클램프 밴드만을 활용해 쌓아 올린 인공위성을 발사체 어댑터와 고정하는 방법이다. 에어버스 지구관측 과학 책임자 필립 팸(Philip Pham)은 “새롭게 선보이는 과감한 디스펜서 프리 설계로 고해상도 플레아데스 네오 위성 2대를 완벽하게 연결하고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었다"며 "단 한 번의 발사만으로 플레아데스 네오 군집위성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