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U-T SG17 의장국으로서 하반기 한국 유치 상반기 제네바 회의서 국제표준안 2건, 표준화 과제 5건 최종 승인 우리나라가 올해 하반기 ‘ITU-T SG17 사이버보안 국제표준회의’ 유치국으로 선정됐다. ‘ITU-T SG17’은 연 2회 개최하는 사이버보안 국제표준 총괄 연구반으로, 2017년부터 우리나라가 의장국을 수임하고 있다. 국제표준 채택, 기술지침서 제공 등 사이버보안 국제표준 개발을 위한 활동을 지원한다. 올 상반기에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2월 21일부터 3월 3일까지 회의가 개최됐다. 본 회의에서는 우리나라 주도로 개발한 차량통신보안 분야 국제표준안 2건과 신규 제안 표준화 과제 5건이 최종 승인됐다. 응용 서비스 보안 분야 국제표준안 2건도 사전채택돼 향후 회원국 의견 수렴 절차를 밟는다. 올 하반기 회의는 8월 29일부터 9월 8일까지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돼 전 세계 50여 개국 350여 명의 사이버보안 전문가가 참석할 예정이다. 회의에서는 차기 연구회기(2025~2028년)에서의 SG17 연구반 구조 및 신규 연구주제를 결정한다. 사이버보안 기술의 국제표준 확대 및 메타버스 보안 등을 중점으로 논의도 진행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첨단 헬로티] 인공지능(AI) 기술 국제표준화회의에 참가한 우리나라 대표단이 인공지능 데이터, 데이터 품질, 신뢰성 및 산업 활용 등 전 영역에서 기술 논의를 선도하며, 이 분야 국제표준화 주도국 진입의 발판을 마련했다. 국립전파연구원(원장 김정렬)과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은 4월 6일부터 21일까지 열린 ‘제5차 인공지능 국제표준화회의(ISO/IEC JTC1/SC42)’에 산‧학‧연‧관 전문가 33명이 우리나라 대표단으로 참가해, 인공지능의 핵심 요소인 △인공지능 데이터 표준화를 위한 작업 범위 확대 △머신러닝용 데이터 품질에 대한 신규프로젝트를 제안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기술 활용 사례를 국제표준문서에 반영 등의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 해 10월 우리나라가 주도해 신설된 인공지능 데이터 특별작업반의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국제표준화기구의 데이터 표준화 작업범위를 빅데이터 표준화에서 ‘인공지능 관련 산업에 활용 가능한 모든 데이터’로 확대해 표준화를 진행키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올해 10월 차기 회의까지 미국, 중국, 일본, 캐나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