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일 민-관 합동 K-교통 얼라이언스 발족 국토교통부는 9월 1일 수도권과 지방 간 교통 격차 해소 및 미래 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해 민관 합동 K-교통 얼라이언스를 출범한다고 밝혔다. 이번 얼라이언스는 "이동의 권리를 국민 모두에게"라는 슬로건 아래,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교통 혁신을 추진하는 플랫폼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목표최근 교통 소외 지역 확대와 교통안전 문제 등이 사회적 이슈로 주목받으면서, 정부는 단순한 인프라 확충을 넘어 국민의 보편적 이동권 보장을 위한 정책 전환을 모색 중이다. 이에 따라 교통 기본법 제정을 통해 교통 약자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모빌리티 혁신 성장 전략을 수립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얼라이언스는 이러한 정책 방향에 맞춰 △교통 격차 해소, △교통안전 강화, △교통 데이터 협력 체계 구축, △미래 모빌리티 산업 육성 등 4대 전략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이번 얼라이언스에는 정부(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새만금청), 지자체(강원, 경기, 제주, 전북 등), 공공기관(교통연구원, 교통안전공단, 코레일, LH), 민간 기업(현대차, KT, 네이버 클라우드, 티맵 모빌리티, 현대카드, CJ대한통운 등)이 참여한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교통약자와 언어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택시, 월 구독형 요금제로 운영되는 기업 임직원용 고급 렌터카 등 새로운 모빌리티(이동수단)가 본격화된다. 국토교통부는 플랫폼 운송사업 심의위원회 회의를 열어 코액터스, 레인포컴퍼니, 파파모빌리티 등 3개 사업자의 플랫폼운송사업 허가 심의 안건을 의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해 4월 운송 서비스의 혁신을 촉진하고 동시에 다양한 플랫폼 사업자들이 안정적으로 운송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을 개정, 운송플랫폼사업을 신설한 바 있다. 플랫폼운송사업(Type1), 플랫폼가맹사업(Type2), 플랫폼중개사업(Type3)으로 분류된다. 플랫폼운송사업은 플랫폼 사업자가 운송플랫폼과 차량을 직접 확보해 기존과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유형이다. 별도의 운행계통 없이 운송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택시와 유사한 면이 있으나 플랫폼을 통한 호출·예약 방식으로만 운영하면서 사업구역, 요금 등 측면에서 유연한 규제가 적용돼 이용자의 다양한 수요에 부합하는 운송·부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특성이 있다. 또 플랫폼 운송사업자는 기존 운송사업과의 상생을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