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로그디바이스가 사명을 '포톤(PHOTON)'으로 변경하며 신사업 확장과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이번 사명 변경은 모바일 카메라 부품 산업에서의 기술 리더십을 강조하고 미래 지향적인 기업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풀이된다. 새로운 사명 '포톤'은 광자(빛의 입자)를 의미하며, 혁신적인 광학 기술과 빠른 성장을 상징한다. 포톤(구 바이오로그디바이스)은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의 핵심 부품인 OIS(광학식 손떨림 보정)와 폴디드줌 FPCB Assy 등을 생산하며 국내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의 핵심 협력사로 자리매김해왔다. 특히 작년 말 베트남에 신규 공장을 확장 이전하며 생산성 증대와 품질 관리 강화에 주력한 바 있다. 이번 사명 변경과 함께 포톤은 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도 전개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술 혁신을 통한 제품 차별화와 고객 맞춤형 서비스 강화로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겠다는 방침이다. 김정욱 포톤 대표이사는 "새로운 사명은 혁신적인 광학 기술을 바탕으로 고객 신뢰를 얻는 글로벌 선도 브랜드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다"며 "모바일 카메라 부품 시장에서 새로운 품질 기준을 제시하고 제2의 창업이라는 마음으로
국제광공학회(SPIE)가 2025년 연례 학회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올해는 의학, 천문학, 리소그래피, 광학 계측학, 광학 설계, 지역 사회 리더십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 기반 과학 및 기술의 발전에 기여한 21명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SPIE의 연례 학회상은 기술적 성과, SPIE에 대한 헌신적인 기여, 학회의 사명 실현을 돕는 공로를 기리기 위해 수여된다. 가장 권위 있는 상인 SPIE 금메달은 할리나 루빈스타인-던롭(Halina Rubinsztein-Dunlop)에게 돌아갔다. 그녀는 조각된 빛을 사용해 광 각운동량을 물질에 전달하는 혁신으로 생물의학 분야에 강력한 도구를 제공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SPIE 회장상은 버나드 크레스(Bernard Kress)에게 수여되었다. 그는 광자공학, 마이크로 광학,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분야에서의 성과와 SPIE 내에서의 활발한 활동으로 인정받았다. 또한, STEM 분야에서의 공공 참여 활동과 물리학 분야에서 여성 옹호 활동으로 제스 웨이드(Jess Wade)가 SPIE 이사상을 받았다.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이고 탁월한 성과를 낸 수상자들이 선정되었다. F. 하비에르 가르시아 데 아바호(F. Javie
데이터 센터 통신 대역폭 확장 및 GPU 유휴 시간 감소, AI 처리 속도 향상 IBM은 오늘 데이터 센터에서 생성형 AI 모델의 학습 및 실행 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차세대 광학 기술을 발표했다. 이는 기존의 전선 기반 단거리 통신을 보완하는 새로운 공동 패키지형 광학(co-packaged optics, 이하 CPO) 기술로, 데이터센터 내부 연결 속도를 빛의 속도로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공정이다. 특히 IBM은 이 기술을 구동할 수 있는 폴리머 광학 도파관(Polymer Optical Waveguide, PWG)을 성공적으로 설계, 조립해 최초로 공개했다. IBM 연구진은 CPO 기술이 칩, 회로 기판, 서버 간 고대역폭 데이터를 전송하는 컴퓨팅 방식에 가져올 변화를 시연했다. 광섬유 기술은 전기 대신 빛으로 장거리 데이터 전송을 빠르게 처리하기에, 현재 전 세계 상업 및 통신 트래픽 대부분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센터의 경우,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는 광섬유를 사용하는데 반해, 내부 통신 네트워크의 대부분에는 여전히 구리선을 사용하고 있다. 이 전선은 대규모 분산 학습 과정에서 다른 장치의 데이터를 기다리느라 절반 이상의 시간
삼양옵틱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산업용 머신비전 렌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450여개 기업이 20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삼양옵틱스는 50년 이상의 경험과 전문성을 가진 글로벌 광학전문기업이다. 카메라용 교환렌즈를 통해 그동안 축적된 광학기술을 활용해 2차 전지나 디스플레이 등 산업용 검사 장비에 적용되는 머신비전용 렌즈 분야에 진출했다. 또한 열화상카메라의 제작 및 판매를 통해 산업용 솔루션 전반에 활용 가능한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삼양옵틱스가 소개한 산업용 머신비젼 렌즈 가운데 ‘SMV-12M28C/M’는 1"~1.1"~1.2" 센서에 대응 가능한 C 마운트 렌즈, 센서 사이즈 28.5mm까지 대응 가능한 M 마운트 렌즈 옵션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TFL(M35), M42, M58 마운트 등 여러가지 마운트 대응이 가능하다. 한편, AW 2024은
뷰웍스가 9월 5일부터 9일까지 체코 프라하에서 열리는 세계분자영상학회(World Molecular Imaging Society, WMIC 2023)에 참가해 소동물용 인비보(in vivo, 생체 내) 시장에서 최고 수준의 광학기술력을 보유한 인비보 영상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7일 밝혔다. 뷰웍스는 이번 행사에서 소동물용 광학 인비보 영상 장비 2종 ▲VISQUE InVivo ART ▲VISQUE InVivo Smart-LF와 ▲바이오 영상 분석 전용 소프트웨어 CleVue를 선보였다. 소동물용 광학 인비보 영상 솔루션은 약물의 임상 시험 과정에서의 데이터 수집에 활용되는 시스템이다. 전임상 단계에서 활용할 경우 실험용 동물의 체내 약물, 세포, 조직 등을 시각화해 약리학적 반응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뷰웍스의 'VISQUE InVivo ART'는 자체 기술을 이용한 광학계와 -90°C 저온 고감도 카메라를 적용한 하이엔드 인비보 영상 장비다. 이를 통해 근적외선 대역까지의 고감도 촬영이 가능해 수십 개의 세포에서 나오는 미세한 신호까지 검출할 수 있다. 또 넓은 영역의 촬영이 가능한 광학계를 적용해 한 번에 10마리의 실험용 쥐를 동시에 촬영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