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HS·시스템에어컨 신제품 소개...6개 제품 '우수상' 수상 삼성전자는 12∼15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냉난방 공조 전시회 'MCE 2024'에 참가해 고효율 공조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13일 밝혔다. MCE는 격년 개최되는 유럽 최대 공조 전시회다. 삼성전자는 이번 행사에서 약 500㎡ 규모 전시장을 마련해 주거용 고효율 히트펌프 에코히팅시스템(EHS) 및 상업용 공조 솔루션을 소개하고 스마트싱스와 무풍 에어컨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삼성전자의 무풍 에어컨과 EHS 모노, 터치중앙제어기 등 6개 제품은 'MCE 2024 우수상'을 수상했다. EHS는 주거·상업시설의 바닥 난방과 급탕에 적용되는 솔루션으로, 공기 열과 전기를 이용해 온수를 만들 수 있어 일반 보일러보다 효율이 높다. 삼성전자는 EHS 하이드로 실내기 '클라이밋허브'를 이번에 처음 공개했다. 전면에 7형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집안의 에너지 사용 현황을 한눈에 확인하고 터치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슬림한 디자인에 강화된 단열 성능을 갖췄고, 스마트싱스로 통합 에너지 관리가 가능하다. 고효율 시스템에어컨 DVM 시리즈 신제품도 선보였다. DVM S2는 인공지능(AI) 기반
LG전자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공조 전시회 '모스트라 콘베뇨 엑스포(MCE) 2024'에서 다양한 고효율 공조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LG전자는 423㎡ 규모 부스를 꾸려 주거 및 상업용 냉난방 공조(HVAC) 솔루션을 전시한다. '주거용 솔루션존'에서는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탄소배출을 줄이는 고효율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 '써마브이 R290 모노블럭'을 소개한다. 유럽 가정용 냉난방 시장을 위한 벽걸이 에어컨 신제품 '듀얼쿨'도 최초 공개한다. 바람이 나오는 토출구 2개를 갖춰 기존 제품보다 빠르게 실내를 냉난방하는 제품이다. '상업용 솔루션존'에서는 고효율 인버터 컴프레서를 적용해 에너지 효율이 뛰어난 '멀티브이 아이', 냉난방과 냉온수를 공급하는 대형 공조시스템 '인버터 스크롤 히트펌프 칠러' 등을 선보인다. 이재성 LG전자 H&A사업본부 에어솔루션사업부장은 "최첨단 기술이 담긴 LG전자의 차별화된 주거·상업용 냉난방 공조 솔루션으로 유럽 및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삼성전자는 오는 24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북미 최대 공조 전시회 'AHR 엑스포'에 참가해 다양한 공조 솔루션을 선보이며 북미 공조 시장을 적극 공략한다고 22일 밝혔다. 미국 난방냉동공조학회(ASHRAE)가 주최하는 AHR 엑스포는 글로벌 업체 1600여곳이 참가해 최신 제품과 기술, 트렌드를 공유하는 장이다. 삼성전자는 북미 시장에 출시하는 시스템에어컨과 무풍에어컨 라인업 등 다양한 가정용·상업용 솔루션을 선보인다. 전시장 전면에는 DVM 실외기에 연결해 냉매 열교환으로 냉·난방은 물론, 최대 80도의 온수를 공급하는 'DVM 하이드로 유닛'과 기존 실내 공조 솔루션과의 호환성이 뛰어난 고효율 인버터 실외기를 배치한다. 상업용 솔루션으로는 'DVM S2' 시스템에어컨 라인업을 중심으로 선보인다. 인공지능(AI) 기술이 접목된 DVM S2는 냉방 운전 패턴의 변화와 실외기 상태를 학습해 기존 대비 약 20% 빠르게 냉방해주고, 낙차나 배관 길이 등 설치 환경을 파악해 온도·압력을 최적화해 컴프레서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약한다. 영하 25도에서도 난방 성능을 100% 구현해 혹한 지역의 상업용 시설에 안성맞춤인 'DVM S2 맥스 히트'
LG전자가 ‘2022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 참가해 다양한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공간 맞춤형 공조 솔루션을 선보였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이 주관하는 에너지대전은 국내 최대 규모 에너지 전시회다. 올해 41주년을 맞아 11월 2일부터 4일까지 총 사흘 동안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다. LG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주거, 업무, 상업 및 산업시설 등 다양한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간맞춤형 공조 솔루션 체험 공간 소개·에너지 효율을 높인 차별화된 공조 솔루션을 소개했다. 푸른 정원의 콘셉트로 환경을 생각하는 그린 에너지 솔루션을 제시했는데, 이번 전시회에 대표 제품은 휘센 상업용 시스템에어컨 ‘멀티브이 아이’다. 멀티브이 아이는 고성능 AI엔진을 통해 ▲AI 실내공간 케어 ▲AI 에너지 맞춤제어 ▲AI 스마트케어 등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해 에너지 효율을 높여준다. 주거용 솔루션으로는 프리미엄 1방향 시스템 에어컨을 소개했다. 바람의 방향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해 자동온도바람, 롱파워바람, 쾌적수면바람, 스터디바람, 숲속바람, 매너바람 등 6가지 공간 맞춤 바람을 제공한다. 내부의 습기 제거를 위한 최적의 건조 시간을 알아서 설정해주는 'AI건
[첨단 헬로티] LG전자가 부품에서 완제품, 제어솔루션까지 갖춘 지역 특화형 총합 공조 솔루션을 앞세워 북미 공조시장 공략에 가속도를 낸다. LG전자는 현지시간 22일부터 24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공조전시회 ‘AHR 엑스포(The International Air-Conditioning Heating Refrigerating Exposition) 2018’에서 지역 특화형 전략 제품을 대거 선보였다. LG전자는 총 556제곱미터 규모에 △연결성을 바탕으로 각종 공조제어솔루션을 선보인 ‘제어 전시관’, △다양한 시스템 에어컨을 전시한 ‘제품 전시관’, △공조 제품에 탑재되는 모터, 컴프레서 등 핵심 부품을 소개하는 ‘부품 전시관’ 등 3개의 전시 부스를 조성했다. 특히 LG전자가 공조제어솔루션을 전시하는 단독 부스를 꾸민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전자는 ‘제어 전시관’에서 상업용 빌딩 관리 시스템(BMS; Building Management System)인 ‘멀티사이트’ 솔루션을 소개했다. 이 솔루션은 북미
삼성전자가 17부터 20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15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 참가해 약 330m² 규모의 전시관을 열고 최첨단 에너지 절감 솔루션을 선보인다. 빌딩 고층화 트렌드에 맞춰 EHP(Electronic Heat Pump·공기열원) 시스템 에어컨의 세계 최대 용량을 꾸준히 개발해 온 삼성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단일 용량 84kW(30마력)의 삼성 ‘DVM S’ 모델을 선보인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DVM S’는 84kW를 구현하기 위해 12마력과 18마력 2개의 제품을 조합할 수밖에 없던 기존과 달리, 1개의 제품으로 구현이 가능해 실외기 설치 공간은 약 40%, 건축물에 미치는 하중은 약 28% 줄였다. 이를 통해 실외기가 주로 설치되는 대형 고층 건축물 옥상의 공간을 정원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또한 전면 토출 타입의 ‘DVM S 에코’와 중앙공조 시장 공략의 발판이 될 ‘DVM 칠러’도 전시한다. 이 밖에도 ▲신재생 에너지인 지열을 활용한 난방 시스템 ▲축적된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공조기기로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