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소·중견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성적이 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 중소·중견기업 2131개사의 2022∼2024년 ESG 평가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ESG 경영 수준이 2년 사이 2배 이상 향상됐다고 9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2022년 2.0∼2.2점에서 2023년 3.2∼3.4점, 2024년 4.6∼4.8점으로 ‘취약’에서 ‘양호’ 등급으로 올라섰다. ESG 평가 등급은 10점 만점으로 ‘취약’(0∼2.99점), ‘양호’(3∼6.99점), ‘우수’(7∼10점) 등 3구간으로 구분한다. ‘취약’ 등급에 해당하는 기업은 2022년 45.7%에서 2024년 32.4%로 13.3%포인트 줄었고, ‘양호’ 등급 기업은 50.8%에서 58.1%로 7.3%포인트 늘었다. 7점 이상을 받은 ‘우수’ 등급 기업도 3.5%에서 9.5%로 6.0%포인트 증가했다. 환경(E)·사회(S)·지배구조(G) 등 영역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환경에서는 ‘대기오염물질’ 항목 점수가 1.13점에서 6.48점으로 크게 향상됐다. 이는 지자체별로 기업에 대한 대기오염물질 감축시설 지원 사업을 확대하고, 대기오염물질 감축 협약
대한상공회의소가 공급망 내 협력사 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ESG) 경영 지원에 나선다. 대한상의는 지난해 11월 공급망ESG지원센터 출범 이후 이달 말까지 전국 20여개 상공회의소 순회설명회를 통해 700여개 중소·중견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공급망 ESG 대응전략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상의가 진행하는 공급망ESG 진단 및 컨설팅 사업은 기업의 부담을 낮추고 양질의 ESG 관련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됐다. 공급망ESG 진단 및 현장코칭은 전국 중소·중견·스타트업 대상으로 진행된다. 전문기관과 연계한 ESG 온라인 진단에 이어 현장을 직접 방문해 기업 실무자들과 교육을 진행한 뒤 ESG 등급이 표시된 최종결과보고서를 제공한다. 상의는 또 ESG 진단실사 및 컨설팅을 받은 기업에는 상의가 운영하는 지속가능성연계대출(SLL) 이용 시 정성 평가 부분에서 일부 가산점을 주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공급망 ESG 실사법이 내년 유럽연합(EU) 전체로 확대되면서 협력사에 대한 ESG 실사가 늘고 있다"며 "ESG를 비용이 아닌 글로벌 경쟁력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