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건수 5.6% 감소…통신제한조치는 5% 증가 지난해 하반기 통신업체가 검찰 등 수사기관에 제출한 '통신자료'가 약 248만건으로 전년(재작년) 동기보다 약간 감소했다. 그러나 국가정보원 등이 실시한 '통신제한조치' 건수는 증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8개 전기통신사업자가 작년 하반기 검찰, 경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국정원 등에 제공한 통신자료 건수가 전화번호 수 기준 248만1,017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8만1,518건(3.2%) 줄었다고 3일 밝혔다. 통신자료는 이용자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가입 및 해지일자, 전화번호, 아이디(ID) 등 통신서비스 이용자의 기본 인적사항이다. 수사기관 등은 보이스피싱이나 납치 피해자 확인 등 신속한 범죄수사를 위해 통신자료를 공문으로 요청해 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받을 수 있다. 요청 기관별로 보면 경찰은 163만870건으로 1만764건 감소했으며 검찰은 75만8,229건으로 7만9,575건 줄었다. 국정원은 3,945건 줄어든 1만6,514건이었다. 다만 작년 상반기 출범한 공수처는 하반기에 6,330건을 제공받아 상반기(135건)보다 크게 늘었다. 수사기관 등이 법원의 허가를 받아야만 취
경기소방재난본부, 국가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완료 경찰과 소방, 지방자치단체 등이 기관별로 별도 운영하던 재난 및 안전 관련 무선통신망이 6월부터 하나로 통합된다. 경기소방재난본부는 국가 재난안전통신망(PS-LTE·Long Term Evolution)구축을 완료하고, 6월 1일부터 본격 운영한다고 31일 밝혔다.' 재난안전통신망이란 소방을 비롯해 경찰과 군, 지자체 등 재난 대응 기관별 무선통신망을 통합하는 전국 단위 통신망이다. 정부는 2018년부터 재난 상황을 공유하고,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에 따라 경기소방은 지난해 11월 재난안전통신망 무전기 4,660대를 구매해 일선 소방서에 배부했다. 이어 지난 3월 재난종합지휘센터에 관련 시스템을 도입해 최근까지 도내 5개 소방서를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마쳤다. 서삼기 경기소방본부 재난종합지휘센터장은 "타 기관은 물론 다른 지역 소방관서와도 상황 공유가 가능해져 재난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한국지텔프는 350명의 지텔프(G-TELP) 응시자, 응시 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공무원 취업 준비에 대한 설문’ 결과를 발표했다. 공무원 시험에 도전하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전체의 63.9%가 ‘현재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고, 다음으로 ‘공무원 시험 준비를 고려해 본 적 있다’는 답변이 29.2%를 이었다. 전체의 93%가 공무원 준비를 하고 있거나 고려해봤다는 것이다. ‘공무원 시험을 준비 또는 준비하고 싶은 이유’에 대해서는 40% 이상이 ‘안정적인 직장’이라고 답변했다. 뒤이어 ‘좋은 근무 환경’, ‘사기업 취업의 어려움’, ‘연금 수령으로 인한 노후 대비’라는 답변이 많았고 경찰 시험을 준비하는 응시자가 많은 지텔프의 특성상 ‘꿈, 장래 희망’이라는 답변도 상당수를 차지했다. ‘공무원 시험 준비 기간’에 대한 물음에는 ‘최대 2년’이라는 답변이 45.9%로 가장 많았고 ‘합격할 때까지’라는 답변이 24%로 2위를 차지했다. ‘최대 1년’, ‘3년 이상’의 답변은 각각 약 12%인 것으로 조사됐다. ‘가지고 있거나 취득 예정인 영어 성적’에 대해서는 64%가 넘는 인원이 ‘지텔프’라고 답변했다. 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