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 2024 베스트 솔루션 데이 Part.2 ‘제조혁신기술’ 열려 제조 영역 확장현실(XR)·디지털트윈·AI 활용 방안 소개 연사로 버넥트·유비씨·마키나락스 내 관련 전문가 참여 현재 제조 현장에는 지능화·자동화·융합 기술 등 신기술이 속속 도입되고 있다. 제조 혁신이 실현되는 모양새로 진행 중인 산업 양상 속에서 각 분야 각 공정에서 활용되는 기술은 천차만별이다. 제조 기업은 자신들 입맛에 맞는 기술을 적용하기에 바쁜 모습인데, 이 기업들의 고도화를 지원하겠다고 나선 제조 기술 업체도 날로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utomation World 이하 AW)은 아시아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시회다. 내년에 개최될 AW 2024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중심으로 꼽히는 자동화·스마트 팩토리 등 제조 산업 내 요소를 조망하고, 관련 제품 및 솔루션을 함께 경험하는 장으로 꾸며질 예정이다. 이에 내달 12일 웨비나 플랫폼 두비즈(duBiz)에서 ‘AW 2024 베스트 솔루션 데이 2탄 : 제조혁신기술’을 주제로 온라인 세미나가 진행된다. 이날 웨비나는 제조 현장에 확장현실(XR)·디지털트윈·AI 등 4차 산업과 맞물려 조명받고
AW 2024 베스트 솔루션 데이 Part.2 ‘제조혁신기술’ 열려 제조 영역 확장현실(XR)·디지털트윈·AI 활용 방안 소개 연사로 버넥트·유비씨·마키나락스 내 관련 전문가 참여 현재 제조 현장에는 지능화·자동화·융합 기술 등 신기술이 속속 도입되고 있다. 제조 혁신이 실현되는 모양새로 진행 중인 산업 양상 속에서 각 분야 각 공정에서 활용되는 기술은 천차만별이다. 제조 기업은 자신들 입맛에 맞는 기술을 적용하기에 바쁜 모습인데, 이 기업들의 고도화를 지원하겠다고 나선 제조 기술 업체도 날로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utomation World 이하 AW)은 아시아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시회다. 내년에 개최될 AW 2024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중심으로 꼽히는 자동화·스마트 팩토리 등 제조 산업 내 요소를 조망하고, 관련 제품 및 솔루션을 함께 경험하는 장으로 꾸며질 예정이다. 이에 내달 12일 웨비나 플랫폼 두비즈(duBiz)에서 ‘AW 2024 베스트 솔루션 데이 2탄 : 제조혁신기술’을 주제로 온라인 세미나가 진행된다. 이날 웨비나는 제조 현장에 확장현실(XR)·디지털트윈·AI 등 4차 산업과 맞물려 조명받고
AIoT(AI+IoT) 생태계 구현을 위한 기술 개발 이슈를 공유하는 장이 열린다. AIoT Developer Conference 2023(AIoT DevCon 2023, 이하 AIoT 개발자 컨퍼런스)가 10월 11일 오전 10시 코엑스 3층 컨퍼런스룸에서 열린다. 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가 후원하는 이번 AIoT 개발자 컨퍼런스는 지능형 IoT/IIoT 비즈니스 생태계 구현을 위한 개발자 중심의 컨퍼러스이자 AIoT 개발자들을 위한 정보 공유의 장으로, 대기업, 중소기업, 스타트업을 아울러 모든 IoT 제품 설계 및 개발자, 서비스 개발자, 관리자를 위해 마련됐다. 컨퍼런스에서는 관련 업계의 영향력 있는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 지능형 IoT가 비즈니스 및 제품 개발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등에 대해 인사이트를 나눌 예정이다. 오전에는 AIoT와 IIoT 구현의 핵심 ‘엣지컴퓨팅’, AIoT와 IIoT 애플리케이션 구현을 위한 로우코드,효율적인 IIoT 개발을 이끄는 플랫폼을 주제로 키노트가 진행되고, 오후에는 각각 설계/저전력, 엣지컴퓨팅/개발키트, 커넥티비티/네트워크, 스마트홈, 스마트시티/자율주행, 스마트에너지, 테스트/측정/계측, IoT 보안, 스마트
AIoT(AI+IoT) 생태계 구현을 위한 기술 개발 이슈를 공유하는 장이 열린다. AIoT Developer Conference 2023(AIoT DevCon 2023, 이하 AIoT 개발자 컨퍼런스)가 10월 11일 오전 10시 코엑스 3층 컨퍼런스룸에서 열린다. 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가 후원하는 이번 AIoT 개발자 컨퍼런스는 지능형 IoT/IIoT 비즈니스 생태계 구현을 위한 개발자 중심의 컨퍼러스이자 AIoT 개발자들을 위한 정보 공유의 장으로, 대기업, 중소기업, 스타트업을 아울러 모든 IoT 제품 설계 및 개발자, 서비스 개발자, 관리자를 위해 마련됐다. 컨퍼런스에서는 관련 업계의 영향력 있는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 지능형 IoT가 비즈니스 및 제품 개발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등에 대해 인사이트를 나눌 예정이다. 오전에는 AIoT와 IIoT 구현의 핵심 ‘엣지컴퓨팅’, AIoT와 IIoT 애플리케이션 구현을 위한 로우코드,효율적인 IIoT 개발을 이끄는 플랫폼을 주제로 키노트가 진행되고, 오후에는 각각 설계/저전력, 엣지컴퓨팅/개발키트, 커넥티비티/네트워크, 스마트홈, 스마트시티/자율주행, 스마트에너지, 테스트/측정/계측, IoT 보안, 스마트
화인스텍이 9월 21일 웨비나를 통해 머신비전 렌즈에 대한 기초 설명과 어플리케이션별 선정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머신비전 시스템은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반도체, 스마트팩토리 등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고 있다. 머신비전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은 단연 카메라이며,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카메라, 렌즈, 조명의 사양을 선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화인스텍에서 진행하는 이번 두 번째 웨비나 '머신비전 렌즈 기초 설명 및 어플리케이션 별 선정 방법'이란 주제로 머신비전의 가장 중요한 눈의 역할을 하는 렌즈에 대해 이해하고 우리 산업에 적합한 렌즈를 선정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됐다. 이번 웨비나는 지난 6월 화인스텍이 진행한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머신 비전 카메라 선정 방법”에 이어 진행되는 웨비나로서 함께 들으면 더욱 도움이 될 전망이다. 화인스텍의 웨비나는 9월 21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진행되며, 두비즈 홈페이지(https://dubiz.co.kr/Event/181)에서 사전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화인스텍이 9월 21일 웨비나를 통해 머신비전 렌즈에 대한 기초 설명과 어플리케이션별 선정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머신비전 시스템은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반도체, 스마트팩토리 등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고 있다. 머신비전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은 단연 카메라이며,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카메라, 렌즈, 조명의 사양을 선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화인스텍에서 진행하는 이번 두 번째 웨비나 '머신비전 렌즈 기초 설명 및 어플리케이션 별 선정 방법'이란 주제로 머신비전의 가장 중요한 눈의 역할을 하는 렌즈에 대해 이해하고 우리 산업에 적합한 렌즈를 선정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됐다. 이번 웨비나는 지난 6월 화인스텍이 진행한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머신 비전 카메라 선정 방법”에 이어 진행되는 웨비나로서 함께 들으면 더욱 도움이 될 전망이다. 화인스텍의 웨비나는 9월 21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진행되며, 두비즈 홈페이지에서 사전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미라콤이 제안하는 설비/물류자동화 추진 전략’ MTV 온라인 세미나 열려 제조물류 자동화·디지털 트윈 통합관제·설비 인터페이스·에지 디바이스 기반 설비자동화 클라우드 등 주제로 구성 자동화는 산업의 ‘미래’에서 ‘현재’로 시점이 변화하고 있다. 수작업에 의존하던 공정 및 프로세스를 자동 시스템으로 전환한다는 의미인데, 특히 제조 및 물류 현장에서의 자동화는 안전·비용·효율 측면에서 혁신을 부르는 요소로 최전방에 서있다는 평가다. 이미 산업 내 자동화 트렌드가 정점으로 치닫은 시점에서 자동화 설비는 많은 현장에 구축돼 있어 상용화 단계다. 업계는 가까운 미래의 산업 현장은 모든 설비 간 연결성이 산업 성장의 지렛대 역할을 할 것이라 전망한다. 공정 최적화 시대가 도래한다는 목소리다. 이에 산업은 이제 지능화된 물류 제어 및 제조관리 시스템에 집중하고 있다. 오는 9월 12일 웨비나 플랫폼 MTV에서 ‘미라콤 설비/물류자동화 추진 전략’ 온라인 세미나가 개최된다. 이번 웨비나는 제조물류 자동화, 디지털 트윈 물류자동화 통합관제, 설비 인터페이스, 에지 디바이스 기반 설비자동화 클라우드 등을 주제로 산업 현장 내 구축 전략을 소개한다. 웨비나는 김진희 (주)첨단
‘미라콤이 제안하는 설비/물류자동화 추진 전략’ MTV 온라인 세미나 열려 제조물류 자동화·디지털 트윈 통합관제·설비 인터페이스·에지 디바이스 기반 설비자동화 클라우드 등 주제로 구성 자동화는 산업의 ‘미래’에서 ‘현재’로 시점이 변화하고 있다. 수작업에 의존하던 공정 및 프로세스를 자동 시스템으로 전환한다는 의미인데, 특히 제조 및 물류 현장에서의 자동화는 안전·비용·효율 측면에서 혁신을 부르는 요소로 최전방에 서있다는 평가다. 이미 산업 내 자동화 트렌드가 정점으로 치닫은 시점에서 자동화 설비는 많은 현장에 구축돼 있어 상용화 단계다. 업계는 가까운 미래 산업 현장은 모든 설비 간 연결성이 산업 성장의 지렛대 역할을 할 것이라 전망한다. 공정 최적화 시대가 도래한다는 목소리다. 이에 산업은 이제 지능화된 물류 제어 및 제조관리 시스템에 집중하고 있다. 오는 9월 12일 웨비나 플랫폼 MTV에서 ‘미라콤 설비/물류자동화 추진 전략’ 온라인 세미나가 개최된다. 이번 웨비나는 제조물류 자동화, 디지털 트윈 물류자동화 통합관제, 설비 인터페이스, 에지 디바이스 기반 설비자동화 클라우드 등을 주제로 산업 현장 내 구축 전략을 소개한다. 웨비나는 김진희 (주)첨단…
산업전문미디어 (주)첨단이 오는 9월 ‘제3회 유통·물류 및 공급망관리 산업전(SCM FAIR 2023)’을 개최하고, 부대행사로 ‘SCM SUMMIT 2023’도 함께 진행한다. SCM FAIR는 올해 3회를 맞이한 유통·물류·공급망 관리 연례 전시회로, 제조물류 영역 전주기에 걸친 기술 및 솔루션을 다룬다. 올해 전시회에는 제조·유통·물류 분야에서 활동 중인 기업이 참가해 참관객에게 관련 시스템·서비스·솔루션 등을 소개한다. SCM FAIR 2023과 동시에 개최되는 SCM SUMMIT 2023은 스마트 SCM, Hyper Connected Logistics, 디지털 유통 솔루션 등 분야 국내외 기업과 함께 전 세계 제조물류 이슈와 산업 트렌드를 분석한다. 또 디지털 전환 시대에 맞춰 이에 적절하게 대비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시한다. 참단은 이와 함께 스마트제조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데이터센터용 프로세서·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MLOps 플랫폼·하이퍼오토메이션 기반 물류자동화 전략·3D프린팅 기술 활용 사례·디지털 트윈 기반 이차전지 공정 업그레이드·탄소제로 규제 대응 데이터 표준화 동향·HCI 기반 가상화 적용 사례 등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한다. 오는
ZEISS(이하 자이스)가 알루미늄&다이캐스팅을 위한 비파괴 측정 검사 최신 트렌드를 9월 4일 웨비나를 통해 공유한다. 최근 안전을 위한 제품의 생산 기준이 엄격해지면서 다이캐스팅 산업에서 X-Ray 검사가 활용되고 있다. 제품 파괴 없는 측정 작업, 기공에 대한 신속한 자동 검출 및 검사, 부분 검사가 아닌 전수 검사가 필요한 경우에 X-Ray 검사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자이스는 지난 2017년 세계적 2D X-Ray 전문 기업 'BOSELLO'를 인수해 알루미늄 및 다이캐스팅 부품 업체에 다양한 검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자이스의 X-Ray 검사는 In-line 고속 검사, 2D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변환, 대다수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서 요구하는 ASTM 기준에 적합한 검사, 글로벌 X-Ray 기술 서비스를 검증받은 엔지니어의 직접 설치 및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이스 관계자는 "실제로 BOSELLO를 사용 중인 국내 고객사에서 다운타임이 훨씬 감소했고, 자사에서 직접 제공하는 점검 서비스 덕분에 장비의 운용률도 향상됐다"고 밝혔다. 이번 웨비나는 자이스 코리아 품질 솔루션 사업부 이우림 대리가 알루미늄과 다이캐스팅 제품 검사의 효
ZEISS(이하 자이스)가 알루미늄&다이캐스팅을 위한 비파괴 측정 검사 최신 트렌드를 9월 4일 웨비나를 통해 공유한다. 최근 안전을 위한 제품의 생산 기준이 엄격해지면서 다이캐스팅 산업에서 X-Ray 검사가 활용되고 있다. 제품 파괴 없는 측정 작업, 기공에 대한 신속한 자동 검출 및 검사, 부분 검사가 아닌 전수 검사가 필요한 경우에 X-Ray 검사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자이스는 지난 2017년 세계적 2D X-Ray 전문 기업 'BOSELLO'를 인수해 알루미늄 및 다이캐스팅 부품 업체에 다양한 검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자이스의 X-Ray 검사는 In-line 고속 검사, 2D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변환, 대다수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서 요구하는 ASTM 기준에 적합한 검사, 글로벌 X-Ray 기술 서비스를 검증받은 엔지니어의 직접 설치 및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이스 관계자는 "실제로 BOSELLO를 사용 중인 국내 고객사에서 다운타임이 훨씬 감소했고, 자사에서 직접 제공하는 점검 서비스 덕분에 장비의 운용률도 향상됐다"고 밝혔다. 이번 웨비나는 자이스 코리아 품질 솔루션 사업부 이우림 대리가 알루미늄과 다이캐스팅 제품 검사의 효
MTV서 ‘제조업을 위한 하이퍼오토메이션 기반 물류 자동화 서비스 혁신 방안’ 웨비나 개최 SS&C 블루프리즘·동원로엑스, 정보 공유 및 인사이트 제시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기술 융합이 미래를 이끌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 가운데 로봇 처리 자동화(Robotic Process Automation, RPA) 기술과 AI가 융합된 ‘하이퍼오토메이션’이 업무 프로세스 혁신을 불러온다는 관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해당 배경에서 글로벌 지능형 자동화 기업 ‘SS&C 블루프리즘’과 물류 기업 ‘동원로엑스’가 하이퍼오토메이션을 통한 물류 자동화 서비스 혁신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손잡았다. 내달 13일 ‘제조업을 위한 하이퍼오토메이션(RPA + AI) 기반 물류 자동화 서비스 혁신 방안’을 주제로 웨비나가 진행된다. 이번 웨비나는 정승호 SS&C 블루프리즘 부장의 제조 산업 하이퍼오토메이션 동향에 대한 발표를 시작으로, 김학봉 동원로엑스 과장이 ‘RPA 플랫폼과 물류 서비스의 진화’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양 발표자가 제조업 하이퍼오토메이션 플랫폼 선택 기준에 대한 정보 공유 및 인사이트 제시 등 과정을 진
MTV서 ‘제조업을 위한 하이퍼오토메이션 기반 물류 자동화 서비스 혁신 방안’ 웨비나 개최 SS&C 블루프리즘·동원로엑스, 정보 공유 및 인사이트 제시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기술 융합이 미래를 이끌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 가운데 로봇 처리 자동화(Robotic Process Automation, RPA) 기술과 AI가 융합된 ‘하이퍼오토메이션’이 업무 프로세스 혁신을 불러온다는 관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해당 배경에서 글로벌 지능형 자동화 기업 ‘SS&C 블루프리즘’과 물류 기업 ‘동원로엑스’가 하이퍼오토메이션을 통한 물류 자동화 서비스 혁신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손잡았다. 내달 13일 ‘제조업을 위한 하이퍼오토메이션(RPA + AI) 기반 물류 자동화 서비스 혁신 방안’을 주제로 웨비나가 진행된다. 이번 웨비나는 정승호 SS&C 블루프리즘 부장의 제조 산업 하이퍼오토메이션 동향에 대한 발표를 시작으로, 김학봉 동원로엑스 과장이 ‘RPA 플랫폼과 물류 서비스의 진화’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양 발표자가 제조업 하이퍼오토메이션 플랫폼 선택 기준에 대한 정보 공유 및 인사이트 제시 등 과정을 진
다우데이타가 산업용 삼상 슈퍼 프리미엄(IE4) 유도 전동기 모터를 소개하는 웨비나를 9월 13일 진행한다. 다우데이타의 모터 개발 전문가가 제안하는 산업별 최적 모터 설계 및 해석 프로세스 웨비나에서는 최신 해석 트렌드를 소개하고 있다. 트렌드와 더불어 Multi-Physics 해석을 통해 기존 대비 30% 이상의 해석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Ansys의 Motor-CAD도 소개하고 있다. 지난 7월 18일에 진행한 웨비나 1탄에서는 가전용 모터에 대해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다우데이타의 민병욱 수석이 산업용 삼상 슈퍼 프리미엄(IE4) 유도 전동기 모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 예정이다. 9월 13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진행하는 이번 웨비나는 두비즈(https://dubiz.co.kr/Event/170)에서 사전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다우데이타가 산업용 삼상 슈퍼 프리미엄(IE4) 유도 전동기 모터를 소개하는 웨비나를 9월 13일 진행한다. 다우데이타의 모터 개발 전문가가 제안하는 산업별 최적 모터 설계 및 해석 프로세스 웨비나에서는 최신 해석 트렌드를 소개하고 있다. 이번 웨비나는 트렌드와 더불어 Multi-Physics 해석을 통해 기존 대비 30% 이상의 해석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Ansys의 Motor-CAD 정보도 전달한다. 지난 7월 18일에 진행한 웨비나 1탄에서는 가전용 모터에 대해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다우데이타의 민병욱 수석이 산업용 삼상 슈퍼 프리미엄(IE4) 유도 전동기 모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 예정이다. 9월 13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진행하는 이번 웨비나는 두비즈에서 사전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