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머신비전 전문업체인 비전아이즈(대표 김두희)가 AVT(Allied Vision Technologies)의 대표적인 머신비전 카메라인 'Alvium'을 국내에 소개했다. 비전아이즈에 따르면, 'Alvium'은 괌벙위한 카메라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범용성과 가성비가 뛰어나 머신비전 카메라의 '게임체인저’다. 이들 제품의 경우 자체 ASIC기반의 낮은 노이즈 레벨 및 넓은 다이나믹 레인지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보니 카메라 단에서 다양한 전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커다란 장점이다. 비전아이즈가 소개하는 머신비전 카메라의 게임체인저의 'Alvium’ 주요 내용 - 머신비전 카메라의 게임체인저의 등장 'Alvium’ - 비전아이즈 김두희 대표 "경험과 노하우로 고객맞춤형 비전솔루션을 제시합니다" - Alvium이 자랑하는 컨볼루션 모드(Convolution mode)란? - [적용사례] PCB 표면 검사 시스템 - [적용사례] 태양광 패널 검사 - [적용사례] 로봇을 활용한 빈피킹 시스템 - AVT, GigE Vision Alvium G1카메라 시리즈의 센서 라인업 확장 - AVT, 소니 센서 확장으로 카메라 가용성 높인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유비리서치 ‘XR 산업의 메가트랜드 분석 보고서’ 발간 2018~2022년 사이에 XR 기기를 출시한 업체 수가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25개 업체가 XR 기기를 출시했고, 미국은 20개, 한국은 9개 업체가 XR 기기를 출시 세 번째 순위에 자리했다.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1989년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출시된 XR 기기 모델 수는 327개, 업체 수는 127개다. 1989~2022년 사이에 출시된 모델 수들을 기기별로 분석한 결과 XR 기기 산업은 2016년부터 개화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기기 모델들은 대부분이 VR용이었으나 2017년에 출시된 모델 수가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새로운 VR 기기 모델 수는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가 시작된 2020년 이후AR 기기 모델 수가 VR 기기 모델 수를 앞지르고 있다. 신규 출시 VR 기기 모델 수가 감소한 이유 중에는 MR 기기 모델 수 증가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 분석을 통해 2021년부터는 XR 기기 산업이 VR에서 AR과 MR 산업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응용 분야별 업체 수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중국 업체는 VR과 MR 제품을 출시한 기업 수
세계 반도체 시장의 업황이 개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는 올해 2분기 세계 반도체 매출이 1245억 달러(약 162조4000억 원)로 전 분기보다 4.7% 증가했다고 6일(현지시간) 밝혔다. 하지만 지난해 동기 대비로는 17.3% 감소한 것이다. 이와 함께 6월 한 달간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은 415억 달러(약 54조1000억 원)로 전월 대비 1.7% 늘어났다. 이는 4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3월과 4월은 각각 0.3% 늘어났으며, 이후 지난 5월과 지난달은 각각 1.7%가 증가하는 등 매출 확대 폭이 커지고 있다. 존 뉴퍼 SIA 회장은 "올해 들어 현재까지 글로벌 반도체 매출이 지난해 동기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6월 매출이 4개월 연속 증가했고, 분기 매출도 전 분기 대비 견조하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이 같은 흐름은 시장이 하반기에도 반등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갖게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별로는 미주(4.2%), 중국(3.2%), 일본(0.9%), 유럽(0.1%)지역이 전월 대비 매출이 늘었지만, 아시아·태평양/기타(-0.5%) 지역은 소폭 감소했다.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서는 유럽(7.6%)지역
LS·엘앤에프, 포스코, LG화학, SK온 등 국내 공장 건설 중국 수입 의존도 97.5%…미국 IRA 시행에 '탈중국' 움직임 배터리 소재 업체들이 잇따라 배터리 양극재 핵심 소재인 전구체의 국내 생산 능력 강화에 힘을 싣고 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에 따라 중국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배터리 수요 증가에 대응해 전구체를 안정적으로 조달하려는 목적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LS그룹과 하이니켈 양극재 회사 엘앤에프는 연내 새만금 국가산업단지에서 전구체 제조 공장 착공에 들어간다. 투자 규모는 1조8,402억원이다. 이 공장에서 2025∼2026년 전구체 양산을 시작하고서 증산을 지속해 2029년 12만t을 생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LS그룹 지주사 LS와 엘앤에프는 전구체 사업을 위해 합작회사(JV) 'LS-엘앤에프 배터리솔루션'(가칭)을 설립하기로 했다. 합작사는 LS 55%, 엘엔에프 45% 지분의 공동 경영 체계로 운영된다. 두 회사는 합작사를 통해 전구체 제조와 판매는 물론 전구체 생산에 필요한 황산니켈과 리사이클링 분야까지 양극재 사업을 위해 폭넓게 협력할 예정이다. 구자은 LS그룹 회장은 지난 2일 투자협약 행사에서 "황산니켈,
산업용 네트워킹 제품 공급업체인 HMS Networks는 최근 산업용 네트워크 기술에 연구를 통해 Profinet과 EtherNet/IP가 EtherCAT과 함께 산업용 이더넷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 20년 동안 자동화 부문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산업용 네트워크도 예외는 아니다. 2000년대 초만 해도 많은 엔지니어들이 생산 현장에서 이더넷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이제 디지털 혁신 이니셔티브와 IT와 운영 기술 그룹 간의 조정 증가로 인해 공장 현장에서 수년간의 산업용 이더넷 채택은 필드버스 사용 감소로 인해 나타나고 있다. HMS Networks에 따르면, 산업 네트워크 시장은 2023년에 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 이더넷은 신규 설치된 모든 노드의 68%(2022년 66%에서 증가)를 차지하는 반면 필드버스 네트워크는 24%(2022년 27%에서)로 감소했다. HMS는 이러한 수치가 개별 제조 산업에 새로 설치된 노드 수를 기반으로 하고, 노드를 산업 현장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계 또는 장치로 정의한다. 연구에 따르면, 산업용 이더넷 프로토콜 중에서 Profinet 과 EtherNet/IP가 18%의 시장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공작기계 시장동향 발표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는 3일 '공작기계업계 2023년 5월 시장동향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5월 공작기계 시장은 내수 수요가 부진한 가운데 해외 수요로 인해 수주가 2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증가했으며, 수출은 미국과 중국이 2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월 공작기계 수주 규모는 2641억 원으로, 내수 956억 원(전년동월대비 -8.9%), 수출 1686억 원(전년동월대비 +25.5%)으로 집계됐다. 1~5월 수주는 전년동기대비 1.3% 증가한 1조3752억 원이다. 5월 공작기계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5.9% 감소한 2165억 원이며, 1~5월 생산은 1조998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2% 감소했다. 수출은 2억33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9.6% 증가했다. 전월대비로는 23.7% 감소한 수치다. 1~5월 수출은 12억33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7.6% 증가했다. 수입은 99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4% 감소, 전월대비 34.8% 증가했다. 1~5월 수입은 3억65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5.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삼성SDI, 매출 5조 8406억, 영업이익 4502억 기록…2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 및 영업이익 LG엔솔, 2분기 매출 8조 7735억으로 분기 기준 최대치 경신…6개 분기 연속 매출 상승세 SK온, 출범 이래 분기 역대 최대 매출 3조 6961억원 달성…전년 동기 대비 187%↑ 전 세계적인 경제 성장 둔화 우려에도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의 전동화 전환, 탄소중립 중요성 부각 등 요인의 힘을 받은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의 성장세는 멈추지 않았다. 국내 배터리 3사가 공개한 성적표도 나쁘지 않은 모양새다. 삼성SDI는 2023년 2분기 경영 실적을 발표하면서 매출 5조 8406억 원, 영업이익 4502억 원을 기록,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 및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삼성SDI에 따르면, 이번 실적에 따라 회사는 네 분기 연속 매출 5조 원을 돌파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조 998억 원(23.2%), 영업이익은 212억 원(4.9%) 각각 증가했고, 전분기 대비 매출은 4858억 원(9.1%), 영업이익은 748억 원(19.9%) 각각 늘었다. 영업이익률은 7.7%를 기록했다. 삼성SDI의 성장은 단연 이차전지가 견인했다. 전지 부문의 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 보고서..."TV 생산량 줄이고 고가 라인업 집중하는 한일 업체들과 대조적" 최근 중국 TV 제조사들이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가격 상승세에 생산량을 대폭 늘리는 가운데 이들 업체의 TV 재고 역시 빠르게 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옴디아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 TV 제조업체의 재고량이 올해 상반기에 꾸준히 늘어 지난 5월 기준 6.2주치 재고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하이센스와 스카이워스는 각각 8주치와 9주치가 넘는 재고를 보유하고 있다고 옴디아는 전했다. 이 같은 빠른 TV 재고 상승세는 지난해 하반기 바닥을 찍고 상승하는 LCD 패널 가격 추세에 기인하는 바가 큰 것으로 풀이된다. 옴디아는 지난해 3분기 113달러로 최저점을 찍었던 65인치 TV용 LCD 패널 평균 가격이 올해 2분기 139달러까지 오르고 3분기부터는 150달러에 가까운 가격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업계의 공급 조절로 패널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자, 중국 TV 업체들이 TV 생산 원가를 낮추려고 패널값이 조금이라도 쌀 때 생산을 앞당겨 늘리는 것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하이센스는 2분기에 전 분기 대비
정제마진 약세 영향으로 올해 2분기 정유업계 실적이 급락한 가운데 윤활유 사업이 버팀목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활유 사업이 확고한 수익원으로 자리를 잡아가면서 정유사들도 관련 사업 확대에 힘을 싣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과 에쓰오일(S-Oil), HD현대오일뱅크는 2분기 '어닝 쇼크'(실적 충격) 수준의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유가 하락으로 재고자산 평가 손실 규모가 늘고, 경기 둔화로 석유 제품 수요가 줄면서 수익성 지표인 정제마진도 약세를 이어갔기 때문이다. 다만 윤활유 부문이 실적 방어 역할을 톡톡히 했다. SK이노베이션은 2분기 1068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는데, 역시 정유 부문(영업손실 4011억 원)이 실적의 발목을 잡았다. 대부분 사업이 부진한 가운데 가장 실적이 돋보인 부문은 윤활유였다. 윤활유 부문 매출은 1조1097억 원으로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9%에 불과하지만, 전체 사업부 가운데 가장 많은 2599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영업이익률은 23.4%를 기록했다. 에쓰오일의 2분기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보다 97.9% 급감한 364억 원이었다. 정유 부문이 2921억 원의 영업손실을 냈지만, 석유화
2025년 세계 수소생산 시장 규모 2,014억달러 전망 미·일·중 등 '수소 공급망' 경쟁…"中 세계시장 점유율 21%" 오는 2030년까지 수소 생산시설인 수전해 설비 규모가 연평균 86%씩 증가하면서 신재생에너지 기반의 '그린 수소'를 중심으로 글로벌 수소 생산량이 대폭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6일 '수소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연구'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2021년 기준 전 세계 수소 생산량 약 9천400만t 중 81%가 화석연료로 만든 '그레이 수소'이지만,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기반의 그린 수소 생산량이 크게 확대할 것이라는 예측을 담았다. 이와 관련해 수소 생산시설이 매년 급격히 늘어난다는 것이다. 또 보고서는 국제에너지기구(IEA)와 '마켓앤마켓'(Markets and Markets) 자료를 인용해 세계 수소 생산 시장 규모가 2020년 1,296억달러에서 연평균 9.2% 성장해 2025년에는 약 2,014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수소는 장기간 저장할 수 있고 유해한 부산물 없이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점이 있다. 기후 위기로 인해 탈탄소 시대가 본격화된 현재 각국 정
미국·인도·튀르키예·중국 등 순…美, 상반기 對한국 규제 5건 추가 올해 상반기 한국 수출품에 대해 반덤핑, 상계관세, 세이프가드 등 수입 규제 조치를 발동 중인 국가는 총 28개국으로, 규제 건수는 201건으로 집계됐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29일 '2023년 상반기 대(對)한국 수입 규제 동향'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국가별로는 미국, 인도, 튀르키예, 중국, 캐나다, 태국 등 순으로 수입 규제가 많았다. 총 201건의 수입 규제 중 미국 50건(25%), 인도 19건(9.5%), 튀르키예 16건(8%), 중국 14건(7%) 등이었다. 유형별로는 반덤핑 148건(73.6%), 세이프가드 41건(20.4%), 상계관세 12건(6%) 등이었다. 품목별로는 철강·금속 102건(50.7%), 화학 35건(17.4%), 플라스틱·고무 23건(11.4%), 섬유·의류 14건(7%), 전기전자 8건(4%), 기계 3건(1.5%), 기타 16건(8%) 등으로 집계됐다. 한국에 대한 수입 규제는 지난해 하반기(12월 말 기준) 대비 10건 늘었다. 이 가운데 신규 조사 개시는 15건이었고, 기존 규제 조치는 5건이 종료됐다. 신규 조사 개시
로봇 비즈니스 대상은 ‘서비스’…활성화 위해선 스마트폰 같은 생태계 필요 상이한 운영체계·다중 기능 구동…연결·연동·표준으로 서비스 간극 줄여야 “서비스 로봇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같은 생태계가 필요하다. 그동안 서비스 로봇은 상이한 운영체계, 다중 기능의 구동, 확장에 제한적인 아키텍처로 서비스 개발과 일상생활 활용에 한계가 있었다. 로봇 일상화를 위해서는 연결과 연동을 위한 인프라, 그리고 표준화로 서비스 간극을 줄여야 한다.” 지난 5월, 로보틱스 산업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차세대 지능형 로봇을 위한 연결과 통합 테크 써밋’이 개최됐다. 개방형 로보틱스 플랫폼과 개발 환경의 변화, 그리고 로보틱스와 모빌리티의 미래 전망을 짚어보는 전문가들의 주제 발표가 있었으며, 이후 이어진 패널 토론회에서는 서비스 로봇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과 일상화를 위해 넘어야 할 과제 등이 집중 다뤄졌다. 그 내용을 정리했다. ■ 사회자 : 오늘 이 자리는 로봇 관련 최고 권위 있는 산학연 전문가 분들 뿐만 아니라 로봇 수요자 관점에서 말씀해주실 분들을 함께 모셨습니다. 현장의 생생한 의견들이 로봇산업 발전에 도움이 되리라 믿습니다. 첫 번째
경기회복·신규 수출지역 매출 신장 기대 등 요인 중견기업의 74%는 올해 하반기 수출 실적이 확대될 것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는 24일 '2023년 하반기 중견기업 수출 전망 및 애로 조사' 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2일부터 지난 4일까지 수출 중견기업 123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중견기업들은 수출 확대를 전망하는 이유로 '경기회복'(47.3%), '신규 진출 지역의 매출 신장 기대감'(26.4%) 등을 꼽았다. 업종별로는 자동차·트레일러(90%), 기계·장비(80%), 도·소매업(78.6%), 식음료품(77.8%), 전자부품·통신장비(75%) 등 순으로 수출 확대를 전망하는 비중이 높았다. 반면 수출 실적 감소를 전망한 중견기업은 26%로 나타났다. 이유로는 '글로벌 경기 둔화 지속'(75%), '통관·인증 등 무역장벽'(9.4%),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9.4%) 등을 꼽았다. 설문에 응한 중견기업의 77.2%는 최소 3개 이상 국가에 진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요 수출 시장은 미국(38.2%), 중국(15.4%), 일본(11.4%), 베트남(10.6%), 유럽(8
가트너(Gartner)가 올해 전 세계 IT 지출이 2022년보다 4.3% 증가한 총 4조700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을 24일 발표했다. CIO들은 IT 인재 확보 경쟁에 어려움을 겪으며 소수의 직원으로 대규모 성장을 이끌어내기 위해 자동화 및 효율성을 지원하는 기술로 지출을 전환하고 있다. 존 데이비드 러브록 가트너 리서치 부사장은 "디지털 비즈니스 혁신은 변화하고 있다"며 "IT 프로젝트는 매출 및 고객 경험과 같은 외부적인 결과에서 최적화(Optimization)를 중심으로 한 내부적인 노력으로 초점을 전환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사용률을 높이고, 전사적 자원 관리(ERP) 및 고객 관계 관리(CRM)와 같이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애플리케이션 및 플랫폼에 지출을 재분배함에 따라 올해 소프트웨어 부문은 두 자릿수 성장률이 예상된다. 공급업체의 가격 인상 역시 지속적인 소프트웨어 지출 증가의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가트너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기업 IT 지출에 대한 전망은 긍정적이지만 인플레이션이 소비자 구매력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쳐 올해 디바이스 지출은 8.6%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러브록 리서치 부사장은 "디바이스 부문
SNE리서치, 리튬이온배터리와 전고체 배터리의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 점유율 전망 차세대 배터리인 전고체 배터리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높은 가운데, 2030년에 이르러도 여전히 리튬이온배터리가 대부분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전고체 배터리가 양산화에 성공하더라도 당분간 장 침투율은 매우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SNE리서치가 발행한 리포트에 따르면 리튬이온배터리 공급량은 2023년 687GWh에서 2030년 2943GWh로 4.3배 증가해 배터리 시장의 95%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리튬이온배터리의 수요는 곧 분리막 수요와 직결되기 때문에 향후 배터리 시장에서 분리막의 입지 역시 굳건할 것으로 보인다. 전고체 배터리의 침투율은 약 4%로 전망된다. 전고체 배터리는 폭발/발화 특성이 현저히 낮아 안전성이 우수하고 높은 에너지 밀도 구현이 가능한 전지다. 배터리 기업들은 전고체 배터리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으며, 정부도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세제 지원, 금융 지원 등 대규모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전고체 배터리는 실제로 2030년이 되어서야 전기차 실증이 이뤄질 예정이다. 정부 계획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