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햇과 소프트뱅크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레드햇 오픈시프트를 활용해 AI-RAN의 전력 소비 및 네트워크 성능 최적화를 위해 협력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레드햇과 소프트뱅크는 사용자 요구와 에너지 비용 간의 균형 유지, 자원 가용성 확보, 결정론적 및 분산 워크로드 관리 등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가 자주 직면하는 RAN(무선접속망) 구현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는 공용 플랫폼 레드햇 오픈시프트에서 AI와 RAN을 통합함으로써 동적으로 네트워크 매개변수를 조정해 변화하는 수요를 충족하고, 네트워크 운영 간소화로 민첩성을 높일 수 있다. 소프트뱅크는 레드햇과 협력해 레드햇 오픈시프트에 구축된 통합 AI 및 RAN 솔루션 아이트라스(AITRAS)를 개발하고 있다. 아이트라스는 가상랜 및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향상된 네트워크 오케스트레이션 및 최적화 솔루션을 제공해 서비스 제공업체가 보다 일관되고 유연하게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소프트뱅크는 이번 협력으로 레드햇이 설립한 오픈소스 프로젝트 케플러(Kepler)와 같은 커뮤니티 기반 기술을 활용해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가 애플리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는 오는 12일부터 14일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 2025)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센서 및 자동화 부품부터 인공지능(AI),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용 로봇 등 최신 산업 자동화 기술과 트렌드를 총 망라한 이번 전시회에 마우저는 글로벌 제조사들의 최신 기술 솔루션과 다양한 마우저의 서비스 및 자동화 도구들을 전시한다. 데프니 티엔 마우저 APAC 마케팅 및 사업개발 부사장은 “마우저는 한국의 공장 자동화 분야 엔지니어와 구매 담당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에 이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시회에 2년 연속 참여하고 있다”며 “마우저는 한국 엔지니어들이 혁신적인 설계 및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전 세계 1200개 이상의 제조사 파트너들이 생산하는 730만 종 이상의 첨단 반도체와 전자부품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부품과 솔루션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하고 개발 기간을 앞당길 수 있게 도와주는 다양한 서비스와 온라인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한 자동화 도구들을 지원하고 있다”며 “마우저는 앞으로도 한국의 엔지니어와 고객들이 마우저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고 있는 MWC 25에서 SK텔레콤과 AI데이터센터 MEP(Mechanical, Electrical, Plumbing : 기계, 전력, 수배전) 시스템 분야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AI 데이터센터 MEP시스템은 AI데이터센터 설계 및 건설 단계에서부터 이후 안정성과 효율성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국내 지역 거점에 하이퍼 스케일급 AI 데이터센터 건설 및 구축 사업 협력을 논의하며 MEP 분야에서 부품·제품 솔루션·컨설팅 등 전 사업 영역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국내외 AI 데이터센터 사업 확대를 적극 추진 중인 SKT가 보유한 기술 및 노하우에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AI 데이터센터 MEP 역량과 전력, 냉각, 보안을 통합하는 데이터센터 관리 플랫폼 기술 등을 더함으로써 양사 협력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SKT와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AI데이터센터 관련 공동 솔루션을 개발하고, 글로벌 시장으로 AI 데이터센터 사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마이크로소프트와 30년 간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한 협력을 지속해오
오케스트로가 급증하는 교육 수요에 대응해 클라우드 인재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기관 ‘오케스트로 아카데미’를 공식 출범했다고 5일 밝혔다. 최근 VM웨어의 가격 인상과 라이선스 정책 변화로 대체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오케스트로의 서버 가상화 솔루션 ‘콘트라베이스(CONTRABASS)’와 클라우드 네이티브 운영관리 플랫폼 ‘비올라 PaaS(VIOLA PaaS)’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기업 및 기관에서도 실무 인력 교육 요청이 급증하고 있다. 오케스트로는 이러한 수요에 맞춰 그간 축적한 기술력과 교육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실무 중심의 클라우드 심화 교육을 제공하는 오케스트로 아카데미를 확대 개편했다. 오케스트로 아카데미는 심층적인 클라우드 기술 교육을 통해 기업의 전문성을 높이고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고객사와 파트너사를 대상으로 한 전문 교육 과정으로 고객 만족도를 제고하고, 교육 사업화를 통해 소프트웨어 전문 인재 양성 및 생태계 확장에 중점을 둔다. 오케스트로 아카데미는 클라우드 기초 교육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환경 실습을 포함한 심화 과정까지 운영해 기업과 기관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한다. 교육 과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최근 포레스터(Forrester)와 가트너(Gartner)의 글로벌 리서치 보고서에서 연이어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5일 밝혔다. 먼저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9개 글로벌 벤더 중 ‘현재 제공 중인 솔루션(Current Offering)’과 ‘전략(Strategy)’ 부문에서 두 번째로 높은 점수를 획득하며 포레스터 웨이브: 퍼블릭 클라우드 플랫폼Q4 2024 보고서에서 ‘리더’로 선정됐다. 이는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클라우드 및 AI 솔루션의 강력한 경쟁력과 전략,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 그리고 전 세계 고객을 위한 폭넓은 제품 및 서비스 제공 역량을 반영한 성과다. 이번 보고서는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자체 개발 AI 모델, 기반 모델의 폭넓은 선택권, MaaS(서비스형 모델, Model-as-a-Service) 혁신을 통해 AI 기술력을 입증했다고 분석하며 특히 강력한 인프라와 MaaS 역량을 기반으로 중국 내 주요 AI 모델 저장소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조우징런 알리바바 클라우드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차세대 AI 혁신은 산업의 변화를 주도하는 핵심 동력이 될 것이다. 그러나 AI의 진정한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워크데이는 2025년 1월 31일자로 마감된 2025 회계년도 4분기 및 연간 실적을 발표했다. 2025회계년도 4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총 매출은 22억1100만 달러로 2024 회계년도 4분기 대비 15% 증가했다. 구독 매출은 20억4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9% 증가했다. 영업 이익은 7500만 달러(매출의 3.4%)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의 경우 영업 이익은 7900만 달러(매출의 4.1%)였다. 4분기 영업 이익은 리스트럭처링 비용(7500만 달러)의 영향을 받았다. 비일반회계기준(non-GAAP)에 따른 4분기 영업 이익은 5억8400만 달러(매출의 26.4%)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의 경우 비일반회계기준에 따른 영업 이익은 4억6200만 달러(매출의 24%)였다. 희석주당순이익은 0.35달러였다. 2024회계년도 4분기의 희석주당순이익은 4.42달러였다. 2025회계년도 4분기의 주당순이익은 리스트럭처링 비용(7천500만 달러)의 영향을 받았다. 전년 동기의 경우 미국 연방 및 주 법에 따른 이연법인세자산(deferred tax assets)과 관련된 평가충당금(valuation allowance) 11억 달러가 환입되어 증가했었다. 2
메이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 AI 바우처 지원사업’의 공급 기업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선정은 메이사의 영상 처리 기술력과 산업 혁신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성과로, 공급 기업 자격을 통해 기술 도입을 희망하는 중소·중견기업 및 소상공인 등 수요 기업에 최대 2억 원 상당의 AI 기반 드론·위성 영상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제공한다. 메이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관심 현장 영상 관리 및 시계열 모니터링 ▲측량 및 이슈 관리 ▲AI 기반 초해상화, 객체 탐지, 객체 분할, 변화 탐지 기술 등을 활용한 드론·위성 영상 데이터 공급 및 분석을 지원한다. 또한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수요 기업의 드론·위성 영상 기반 현장 모니터링 요구 사항을 효과적으로 충족할 방침이다. 김동영 메이사 대표는 “메이사의 AI 솔루션은 오프라인 현장을 디지털로 이전하고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모니터링 과정을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해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며 “이번 AI 바우처 지원사업 공급 기업 선정으로 기술력을 인정받아 기쁘고, AI 솔루션 공급을 통해 의사 결정 혁신을 이루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리미니스트리트는 LF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및 SAP ERP의 운영 최적화를 위해 리미니스트리트의 3자 유지보수 서비스인 ‘리미니 서포트’를 도입했다고 5일 밝혔다. 이를 통해 LF는 IT 운영의 안정성을 높이고, 절감된 비용을 활용해 전략적 비즈니스 혁신 프로젝트에 집중할 계획이다. LF는 SAP ERP를 운영하고 있으며 SAP 시스템의 경우 고객 특화된 CBO(고객 맞춤형 테이블) 개발이 다수 포함돼 있다. 특히 대규모 데이터 센터 이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기존 벤더사의 지원 모델에서는 강제적인 업그레이드 요구와 높은 유지보수 비용 부담이 있었다. LF는 리미니스트리트의 서비스를 통해 기존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운영의 유연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됐다. LF는 현재 리미니스트리트의 상시적인 담당 기업 전담 전문 엔지니어(PSE)의 주도 아래에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는 L4 기술 지원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실질적이고 명확한 비용 효율화 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또한 LF는 기존 제조사 파트너의 기술 지원 대신 리미니스트리트 파트너의 현장 기술 지원을 활용함으로써 프로젝트를 차질 없이 수행하고 목표한 일정 내에서 성공적으로
미국 소비자연맹(Comsumer Union)이 지난 1월말 발간한 컨슈머 리포트(Consumer Reports, 이하 CR)에 따르면 LG전자가 연례 가전 브랜드 신뢰도 종합 순위에서 공동 2위에 올랐다. 신뢰도 종합 1위의 미국 세탁가전 브랜드 ‘스피드퀸(SPEED QUEEN)’과 또 다른 공동 2위 브랜드 독일 주방가전 ‘가게나우(GAGGENAU)’, 미국 주방가전 ‘울프앤드서브제로(WOLF/SUB-ZERO)’는 각각 2개, 3개, 4개 카테고리만 CR 조사 대상에 들어가 8개 카테고리 조사 대상에 모두 포함된 종합 가전 브랜드 중에서는 LG전자가 최고점을 받은 셈이다. LG전자 외 CR 조사 대상 전 카테고리에 포함된 종합 가전 브랜드는 월풀(WHIRLPOOL), 제너럴일렉트릭(GE), 프리지데어(FRIGIDAIRE), 보쉬(BOSCH), 메이태그(MAYTAG), 삼성(SAMSUNG), 일렉트로룩스(ELECTROLUX) 등이 있다. CR 브랜드 신뢰도 순위에는 주요 가전제품 최소 두 가지 카테고리에 대한 신뢰도 등급이 있는 브랜드만 오를 수 있다. 제품별로는 드럼/통돌이/인버터 세탁기, 전기식/가스식 건조기, 양문형 냉장고 평가에서 LG전자 제품들이 1
베스핀글로벌이 SaaS 전환과 운영의 표준화를 지원하는 자동화 프레임워크 ‘SaaS Framework’를 공개하며 SaaS 시장 확대를 본격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SaaS Framework는 SaaS 전환과 운영의 핵심 요소인 ▲아키텍처 설계 ▲온보딩 자동화 ▲운영 및 관리 ▲청구·결제(빌링) ▲모니터링 기능을 기본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이 복잡한 SaaS 구축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신속하게 SaaS 모델을 도입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IT 클라우드 인프라 구성 및 설정을 자동화해 고객이 복잡한 클라우드에 대한 역량 및 추가 개발 없이도 즉시 SaaS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SaaS Framework는 표준화된 SaaS 운영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개발 리소스로 빠르게 전환을 완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 방식 대비 최대 90%의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아울러 기업들이 SaaS 전환을 넘어 운영 안정성과 시장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컨설팅, 기술 지원, 운영 관리 등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이로써 기업들은 SaaS 운영 부담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시장 진출(GTM, Go-
CSP가 유무선 및 위성 네트워크 통합하도록 지원해 브로드컴이 새로운 컨버지드 네트워킹 솔루션 ‘VeloSky’를 공개했다. 이 솔루션은 통신 서비스 공급업체(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 CSP)가 단일 플랫폼을 통해 유선, 무선 및 위성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체는 5G 및 위성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새로운 수익 모델을 개발할 것으로 보인다. VeloSky는 브로드컴의 ‘VeloRAIN(Robust AI Networking)’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구축됐다. 이 기술은 네트워크 운영의 가시성을 높이고, 트래픽 우선순위를 자동으로 조정하며, 네트워크 관리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기업 고객은 안정적인 네트워크 성능을 확보하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진다. 산제이 우팔(Sanjay Uppal) 브로드컴 VeloCloud 부문 부사장 겸 제너럴 매니저는 “VeloSky는 네트워크 통합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는 솔루션”이라며 “AI 기반 최적화 기술을 활용해 서비스 공급업체가 기업 고객에게 신뢰할 수 있는 연결성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클라이온이 센트OS(CentOS)의 제품 지원 종료 이슈에 대응한 마이그레이션(시스템 이동)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대형 고객사의 대규모 서비스 시스템을 센트OS에서 록키 리눅스(Rocky Linux)로 안정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됐다. 특히 기존 서비스에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개념증명(PoC)를 통한 안정성 확보 후 성공적인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한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센트OS의 제품 지원 종료로 인한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클라이온은 록키 리눅스로의 마이그레이션을 선택했으며 OS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사전에 점검했다. 약 한달간 걸쳐 수행된 PoC 단계에서 확보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제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했으며 기존 서비스 환경을 유지한 채 록키 리눅스로의 안정적인 전환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클라이온은 운영환경과 동일한 인프라 환경을 이관예정 OS인 록키 리눅스로 신규 구축하고, 11종의 Web·WAS(Web Application Service)·DB(Data Base)·보안 소프트웨어(S/W) 등을 포함한 구성 요소를 동일하게 구성했다. 이후 기존 서비스와 동일한 소스코드를 배포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기부의 투명성을 높이고 보다 적극적인 참여형 기부 생태계를 조성하는 글로벌 프로젝트가 출범한다. 블록체인 기술 기업 블룸테크놀로지(대표 이상윤)는 네이버 공동 창업자로 알려진 권혁일 이사장, 원휴머니티 재단 이사장 에반 클라센 대표와 협력해 Web3 기부 플랫폼 ‘기브파이’를 개발한다고 밝혔다. 기브파이는 ‘Give(기부)’와 ‘Finance(금융)’의 합성어로,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 기존 기부 시스템의 불투명성을 해소하고 보다 적극적인 사회 공헌 활동을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블록체인을 통해 기부 내역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의 사회 공헌 활동에 가치를 부여해 기부자가 직접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구조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기부를 단순한 일회성 행위가 아닌 지속 가능하고 적극적인 사회 활동으로 정착시키겠다는 전략이다. 기브파이는 네이버의 기부 플랫폼 ‘해피빈’과 협력해 기존 기부 참여자들의 유입을 확대하고, 글로벌 인플루언서들과 함께 사회 공헌 활동을 널리 알릴 계획이다. 또한 활동에 대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전 세계적인 기부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는 블룸테크
CAE 4대 핵심 분야 집중 교육...설계 엔지니어 실무 역량 강화 기대 마이다스아이티가 오는 3월 18일부터 찾아가는 해석 실무 교육 ‘M클래스’를 다시 한 번 진행한다. 회사는 지난 1월 진행된 지역별 교육에 대한 재요청이 이어지면서 중소‧중견기업 설계 엔지니어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앵콜 강의를 마련했다고 전했다. 이번 M클래스는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 4대 핵심 분야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참가자들은 최신 해석 프로그램을 활용해 직접 예제를 풀어보는 실습 중심의 교육을 경험할 수 있다. 이번 교육은 ▲화성(18일) ▲안산(19일) ▲천안(20일) ▲부산(25일) 등 전국 4개 도시에서 진행되며 보다 많은 설계 엔지니어들의 교육 경험을 위해 모든 참가자의 수강료를 전액 지원한다. 특히 이번 교육은 마이다스아이티의 대표 CAE 솔루션인 NFX(STR, CFD), MeshFree를 활용해 최신 해석 기술을 직접 체험하고 실무 적용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지난 1월 교육에 참가한 설계 엔지니어들은 “실무에 필요한 해석 기술을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는 유익한 과정이었다”고 평가했다. 마이다스아이티는 “많은 요청에 따라
가트너가 2025년 주요 사이버 보안 트렌드를 발표했다. 생성형 AI 발전, 디지털 탈중앙화, 공급망 상호의존성, 규제 변화, 인재 부족 문제, 진화하는 위협 환경이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보안 및 위험 관리(SRM) 리더들은 혁신과 복원력을 내재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가트너는 ‘데이터 보안 프로그램을 주도하는 생성형 AI’, ‘머신 ID 관리’, ‘전술 AI’, ‘사이버 보안 기술 최적화’, ‘보안 행동 및 문화 프로그램 가치 확장’, ‘사이버 보안 번아웃 문제 해결’을 2025년 사이버 보안 트렌드로 선정했다. 데이터 보안 프로그램을 주도하는 생성형 AI는 기존 정형 데이터 보호를 넘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비정형 데이터 보호로 확장되고 있다. 생성형 AI가 보안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이해하고 우선순위를 조정해야 한다. 머신 ID 관리는 생성형 AI·클라우드 서비스·자동화·데브옵스 활용 증가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적절한 제어와 관리를 하지 않으면 공격 표면이 넓어질 수 있으며, 기업은 강력한 머신 ID 및 액세스 관리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가트너 조사에 따르면 IAM팀이 기업 내 머신 ID의 44%만을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