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은 국내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의 AI 활용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구글 AI 프로(Google AI Pro)’ 요금제를 1년간 무료 제공하고, 대학(원)생 앰배서더 프로그램도 운영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구글 AI 프로 플랜은 만 18세 이상의 국내 대학생이 학교 이메일 인증을 완료하고 계정을 등록하면, 개인 구글 계정 1개에 한해 구글 AI 프로 요금제를 1년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특별 구독 혜택이다. 8월 7일부터 10월 6일까지 전용 링크에서 신청 가능하며 신청한 학생은 멀티모달 검색, 코딩 지원, 동영상 생성 등 ‘구글 AI 프로’의 고급 기능을 1년간 자유롭게 경험할 수 있다. 구글 AI 프로는 구글의 AI 모델인 ‘제미나이 2.5 프로(Gemini 2.5 Pro)’를 기반으로 한 요금제로, 과제나 글쓰기 등 학업 전반에 대한 빠른 지원은 물론, 수백 개의 웹사이트에서 복잡한 주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 요약해주는 ‘딥 리서치(Deep Research)’, 버그 수정부터 기능 개발까지 지원하는 AI 코딩 에이전트 ‘줄스(Jules)’ 등 다양한 생성형 AI 툴을 제공한다. 이번 지원은 단순한 솔루션 제공을 넘어 학생들의 사고력과 이해도를 높이
라온피플이 태국에 국산 NPU(Neural Processing Unit) 기반의 온디바이스 AI 관제 시스템을 구축한다. 라온피플은 해외 실증사업 수주를 통해 국산 NPU 기반 엣지(Edge)형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활용한 재난, 안전 및 방범 관제 시스템을 태국 등 글로벌 시장에 공급하고 밀수, 방범, 재해, 교통 및 안전 분야에서 AI 다중 융복합 탐지를 활용해 AI 스마트 관제에 나선다. 이번 사업은 AI 반도체 전문기업 모빌린트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진행된다. 라온피플은 국산 NPU와 생성형 AI 융합에 따른 추론 성능 고도화를 통해 재난이나 범죄 발생시 즉각적인 확인 및 실시간 대응력을 높이고, 초저전력 고성능 AI 반도체 활용으로 네트워크 사용량 감소, 유지비용 절감 등 현지 인프라에 최적화된 솔루션 제공으로 운영 효율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라온피플과 MOU를 맺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태국은 국가 전체가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건설 및 인프라 등 AI 관련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라온피플은 한국형 AI 관제 기술을 접목해 안전 인프라 강화는 물론 태국 주정부의 스마트시티 구축을 선도하면서 국산 AI반도체와
AI 교육 플랫폼 엘리스LXP가 1년 사이 누적 이용자 수 100만 명 이상 증가하며 기업·공공 중심 AI 실습 교육 시장에서 빠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엘리스그룹은 올해 7월 기준 누적 이용자 수가 275만 명을 돌파하고 도입 기관은 9500개로 1년 새 2.4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엘리스LXP는 클라우드 기반 SaaS형 교육 플랫폼으로, 고도화된 실습 환경과 AI 기능을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초중고, 대학, 공공기관은 물론, 다양한 산업군의 기업이 AI·SW 교육을 위해 플랫폼을 도입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들어 전공이나 연령과 무관하게 실무자 대상 교육 수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엘리스그룹은 재계 10위권 대기업부터 국방·의료·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을 대상으로 AI 맞춤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제조업 분야에서는 건설기계 및 소재부품 산업을 중심으로 민간 분야에서는 뷰티·식품·미디어 등 빠르게 변하는 트렌드에 대응할 수 있는 실무형 AI 프로젝트 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공공 부문에서도 국방부와 한국보건복지인재원 등과 협력해 현장 기반 AI 교육을 꾸준히 이어왔다. 국방 분야에서는 장병 3천 명을 대상으로 SW·AI 교육을 진행했고 의료 분야에
가트너가 2024년 전 세계 서비스형 인프라(IaaS)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22.5% 증가한 171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가운데 아마존이 648억 달러 매출과 37.7%의 점유율로 1위를 유지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알리바바, 화웨이가 뒤를 이었다. 하딥 싱 가트너 수석 애널리스트는 “기업들이 유연성과 복원력, 성능 강화를 위해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과 현대화 서비스를 지속 확대하고 있다”며 “특히 AI 플랫폼 활용 확대와 함께 기존 워크로드를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흐름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는 데이터 레지던시와 데이터 주권에 대한 유연한 대응을 요구하는 환경 변화와도 맞물린다”고 설명했다. 클라우드 공급업체들은 AI 특화 IaaS 시장 선점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다. 현재 AI가 IaaS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지만, 하딥 싱 애널리스트는 “향후 주요 매출원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하이퍼스케일러 외에도 GPU 기반의 서비스형 인프라(GPUaaS)를 제공하는 중소 규모 업체들이 유연한 고성능 컴퓨팅 수요를 흡수하며 시장에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분석에 따르면, 상위 5개 공급업체가 전체 IaaS 시장의 8
플리토가 메타(Meta)의 글로벌 행사에 AI 동시통역 솔루션을 제공하며 아시아 시장에서 기술력을 입증했다. 플리토는 서울, 도쿄, 상하이에서 개최된 메타의 주요 행사에 AI 기반 동시통역 솔루션 ‘라이브 트랜스레이션(Live Translation)’을 연이어 도입했다. 이번 솔루션은 지난 5월 ‘메타 페스티벌 코리아 2025’, 6월 ‘메타 페스티벌 재팬 2025’, 7월 상하이 서밋 행사에 적용됐다. 각 행사에서 플리토는 영어 발표 세션을 현지 언어로 실시간 번역해 대형 스크린에 텍스트로 제공했다. 특히 행사 성격에 맞춘 스크린 구성과 맞춤형 용어집 학습을 통해 전문 용어를 정확히 번역하며 청중의 이해도를 높였다. 상하이 행사에서는 현장 인력 없이 원격 방식으로 AI 동시통역 서비스를 제공해 운영 효율성과 기술 완성도를 동시에 입증했다. 이를 통해 플리토는 메타의 대형 오프라인 행사를 성공적으로 지원하며 아시아 시장 내 AI 통번역 기술에 대한 신뢰를 더욱 공고히 했다. 플리토는 오프라인 행사는 물론, 글로벌 웨비나와 같은 온라인 이벤트에서도 AI 동시통역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고도화된 AI 언어 데이터 기술과 맞춤형 서비스 개발에 집중할
실리콘랩스는 자사의 시리즈 3 제품군의 첫 번째 SoC인 SiXG301 SoC에 탑재된 시리즈 3 시큐어 볼트(Series 3 Secure Vault) 보안 서브시스템이 PSA 레벨 4 인증을 획득했다고 7일 밝혔다. 매트 존슨 실리콘랩스 사장 겸 CEO는 “보안은 단지 하나의 기능이 아니라 우리가 개발하는 모든 것의 기반”이라며 “이번에 PSA 레벨 4 인증을 세계 최초로 획득한 것은 IoT 보안 분야에서 실리콘랩스의 리더십과 IoT 성장 가속화에 주력하고 있는 우리의 노력을 명백하게 입증한다”고 밝혔다. PSA 서티파이드는 임베디드 기기에 대한 물리적 공격이 점점 더 복잡해지고 교묘해지는 데 대응하기 위해 레벨 4 인증 및 그와 관련한 두 가지 하위 요소(보안 요소용 iSE/SE와, 신뢰점(Root of Trust)을 위한 ROT)를 도입했다. 이전 레벨들과 달리 레벨 4는 레이저 결함 주입, 사이드 채널 공격, 마이크로프로빙, 전압 조작 등 과거에는 이론적인 위협으로 거론될 뿐이었지만 이제는 실제적인 위협으로 진화한 공격으로부터 견딜 수 있는 내성을 검증한다. 실리콘랩스의 MG21 SoC는 세계 최초로 PSA 레벨 3 인증을 받은 디바이스로, 불법적인
서울시 산하 인공지능 특화 기관인 서울 AI 허브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손잡고 시민을 위한 실습 중심 AI 교육을 본격화했다. 서울 AI 허브는 올해 상반기부터 ‘AI 프론티어스 시리즈(AI Frontiers Series)’를 운영하며 시민 대상 공개 강연과 실습형 교육을 연이어 개최해왔다. 6월에는 과학 유튜버 ‘궤도’를 초청해 ‘AI 시대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7월에는 성균관대 최재붕 교수가 ‘AI 사피엔스 시대 생존전략’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며 시민의 큰 호응을 얻었다. 그 연장선에서 지난달 29일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공동으로 ‘비개발자를 위한 MS Copilot 에이전트 부트캠프’를 개최했다. ‘코딩 없이 만드는 나만의 AI 비서’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교육은 사전 신청을 통해 모집된 80여 명의 시민이 참여, 자연어 기반의 Copilot 기술을 활용한 AI 에이전트 설계를 직접 체험했다. 현장에서는 이재석, 허석 MVP(Most Valuable Professional)가 강사로 나서 ‘이력서 검색 에이전트’, ‘HR 에이전트’, 개인 맞춤형 AI 비서 등 다양한 실습 과제를 통해 AI가 일상과 업무에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를
F5는 MinIO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대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전 세계에 걸쳐 분산된 엔드포인트, 엣지,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급 추론과 학습이 수행되는 AI 팩토리용 워크로드에 최적화돼 설계됐다. F5와 MinIO는 자율주행차, 헬스케어, 리테일, 사물인터넷(IoT), 통신, 금융,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확장성, 성능, 보안, 신뢰성을 두루 갖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F5의 애플리케이션 전송 및 보안 플랫폼(Application Delivery and Security Platform, ADSP)과 MinIO AI스토어(AIStor)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은 매끄럽고 강력한 하이브리드 멀티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솔루션은 AI/ML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은 물론, 데이터 이전과 복제, 엑사스케일 수준의 데이터 스토리지까지 폭넓게 지원한다. 한 글로벌 자동차 제조 기업은 전 세계 차량에서 AI 팩토리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해 AI 모델을 지속적이고 적시에 개선하기 위해 F5와 MinIO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F5의 보안 트래픽 관리 기능을 통해 차량 데이터는 F5가 구축
금융 AI 에이전트 ‘알프레드’와 경영지원 보고서 서비스 ‘알프레드 레포트’ 운영사 혜움은 사용자 편의성 강화와 서비스 확장을 위해 알프레드 리브랜딩을 단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리브랜딩은 알프레드의 브랜드 컬러를 프로덕트에 적용하고 메뉴 및 컴포넌트를 재설계하는 등 UI·UX를 개편해 서비스 전반의 직관성과 일관성을 높였다. 혜움은 기존 세무 중심의 카테고리 구조를 세무, 경리, 급여로 구분해 향후 경리 및 급여 BPO(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 서비스 출시 시점에 맞춰 유연하게 기능을 추가하고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혜움은 이번 리브랜딩과 함께 사업자에게 손익, 매출, 인건비 등 핵심 주요 재무 지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대시보드’ 기능도 새롭게 선보였다. 대시보드는 경영지원 보고서 서비스 ‘알프레드 레포트’ 및 AI 에이전트 ‘알프레드’와 연동돼 사업자는 매출매입현황, 카드매출, 손익현황, 비용분석, 자금흐름 등의 주요 지표를 요약된 보고서 형태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챗봇과의 대화를 통해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혜움은 세무를 넘어 기업의 재무 업무 전반을 아우르는 올인원 금융 SaaS로의 도약을 목표로 경리 및 급여 BPO 서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양자 컴퓨팅 전문 기업 노르마와 양자 클라우드 서비스 및 컴퓨팅 기술 협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를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양자 클라우드 서비스는 양자 컴퓨터를 직접 구매하거나 보유하지 않더라도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양자 알고리즘을 설계·실행해 실제로 양자 컴퓨터나 시뮬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번 협약은 양자 컴퓨팅 기술을 보유한 노르마와 고성능 클라우드 기술을 갖춘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양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개발 협력을 위해 추진한다. 양사는 ▲양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관련 기술 개발 ▲클라우드 및 양자 컴퓨팅 하드웨어·소프트웨어·플랫폼 기술 교류 ▲R&D(연구개발) 공동 수행 ▲양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업 개발 및 영업 협력 등의 분야에서 협업을 진행한다. 노르마는 국내 CSP(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중 유일하게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기술 협력을 진행하며, 카카오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비스형 양자 컴퓨팅(QaaS)을 공동 개발하는 데 협력할 예정이다. 또한 노르마와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이달 18일부터 19일까지 전주대학교에서 열리는 ‘제1회 퀀텀 AI 경진대회’ 본선을 공동으로 주최·주관한다.
코오롱베니트가 자사의 AI 얼라이언스 생태계를 기반으로 기업 대상 AI 도입을 선도할 ‘AI 세일즈 엘리트’ 그룹을 모집해 출범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AI 기반 업무 혁신을 원하는 기업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안할 수 있는 AI 세일즈 전문가 그룹을 양성함으로써 AI 비즈니스의 저변 확대를 목표로 한다. AI 세일즈 엘리트는 최근 코오롱베니트가 출시한 AI 프리패키지를 기반으로, 얼라이언스 참여사의 솔루션을 함께 영업하고 전문적인 협업을 수행한다. 코오롱베니트는 고객 기업의 생산성과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AI 도입을 위한 전략 수립, 컨설팅, 최적화 솔루션 제안 등 고객 밀착형 공동 영업 활동을 펼치며 AI 시장 확산을 견인할 예정이다. 코오롱베니트는 기존 파트너사 중 AI 사업에 대한 의지와 이해도가 높은 기업을 중심으로 그룹을 구성할 계획이다. 최종 선발된 기업은 코오롱베니트 AI 얼라이언스 참여사로 자동 가입 혜택이 주어진다. 특히 기존 고객 기반이 있는 파트너사는 AI 세일즈 엘리트 활동을 통해 고객의 AI 수요를 신속히 파악하고, 맞춤형 제안을 통해 사업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 AI 얼라이언스에 참여 중인 독립 소
한국레노버가 다양한 게이밍 환경과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리전(Legion) 게이밍 모니터 신제품 7종을 출시했다. 새롭게 선보인 제품은 ▲리전 24-10 ▲리전 25-10 ▲리전 27-10 ▲리전 27Q-10 ▲리전 27Q-11 ▲리전 27QD-10 ▲리전 27U-10이다. 이번 라인업은 디스플레이 크기, 해상도, 주사율 등 합리적인 가격에 다양한 사양을 갖춰 입문자부터 하이엔드 게이머까지 폭넓은 수요를 충족한다. 화면 크기는 23.8인치부터 27인치까지 마련돼, 사용자는 취향과 활용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리전 24-10, 리전 25-10, 리전 27-10은 FHD(1920x1080) 해상도를 기반으로 한다. 240Hz 이상의 고주사율과 최대 0.5ms MPRT 응답속도를 제공해 빠른 화면 전환과 정밀한 반응이 중요한 게임 환경에서 끊김 없는 플레이를 지원한다. 특히 리전 25-10은 최대 주사율이 320Hz로 빠른 반응 속도가 중요한 e스포츠 환경에 최적화됐다. 리전 27Q-10, 리전 27Q-11, 리전 27QD-10은 QHD(2560x1440) 고해상도를 바탕으로 정밀한 그래픽 표현이 가능하며, 리전 27U-10은 4K UHD (3840x216
LG디스플레이가 7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K-디스플레이 2025’에 참가해 대형부터 중소형, 오토에 이르기까지 혁신 디스플레이 기술 및 제품을 선보인다. LG디스플레이는 이번 전시에서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디스플레이 기술(Shaping the Future)’을 주제로 현재와 미래를 관통하는 OLED 혁신 기술 및 디스플레이 설루션을 제시한다. 특히 이번 전시에는 디스플레이 기술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체험존을 운영, LG디스플레이 역량에 대한 관람객의 이해도를 높였다. LG디스플레이는 세계 최초로 대형 OLED 패널 양산에 성공한 이래로 일궈온 OLED의 기술 리더십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OLED 헤리티지 전시 공간을 마련했다. 이 곳에서는 OLED TV 패널의 초석이 된 ’09년도 시제품 15인치 OLED 패널을 시작으로 ▲탠덤 OLED의 2층 구조 ▲2세대 OLED 패널의 중수소 원자 구조 ▲3세대 OLED 패널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기술 ▲4세대 OLED 패널의 프라이머리 RGB 탠덤 구조를 각각 모형화해 관람객들이 보다 직관적으로 OLED의 기술 발전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전시 부스 입
셀렉트스타가 글로벌 금융기관 씨티은행과 함께 금융 산업의 AI 전략과 실제 적용 사례를 공유하는 온라인 웨비나를 개최한다. 이번 웨비나는 ‘씨티은행은 어떻게 AI로 금융 사업을 이끌까?(How CITI Drives Value in BFSI with AI)’라는 주제로, 8월 14일 오전 9시(한국 시간)에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된다. 연사로는 씨티은행 본사 AI 총괄인 사미 후오빌라이넨(Sami Huovilainen)이 나선다. 그는 글로벌 금융 산업에서 AI 전략 수립과 실행을 주도해온 전문가로, 이번 웨비나에서는 씨티은행의 AI 로드맵과 실제 구현 과정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사이트를 전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단순한 기술 소개를 넘어, 금융·금융 서비스·보험(BFSI) 업계가 직면한 AI 신뢰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를 주요 화두로 다룬다. 특히 씨티은행이 구축한 AI 신뢰성 검증 프레임워크, 내부 데이터를 활용한 리스크 관리 자동화 사례, 고객 경험 혁신을 위한 AI 활용 방안 등 실무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웨비나 후반부에는 셀렉트스타 황민영 부대표가 파이어사이드 챗 형식으로 대담을 진행하며, 실시간 질의응답 세션을 통해 참가자와 직접
해줌(Haezoom)이 자체 개발한 AI 기반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기술로 한국전력거래소(KPX)가 공개한 예측 오차율 자료에서 태양광, 풍력, 혼합자원 중 혼합자원 부분에 최소 오차율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KPX는 매분기마다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 참여자원에 대한 예측 오차율을 공개하고 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해줌이 자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0월부터 2025년 3월까지 혼합자원에서의 최소 오차율이 해줌의 최소 오차율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단순 기술 실험이 아닌 실제 전력시장 실적 기반의 데이터로, 기술 신뢰성과 시장 기여도를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다. 해줌 관계자는 “이번 성과는 해줌이 국내 최초 VPP(가상발전소) 기업으로서 선두를 달리고 있음을 증명하며 다가오는 육지 재생에너지 입찰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할 것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해줌은 인공위성 영상, 수치 예보 모델, 기상 데이터 등을 결합해 독자적으로 개발한 운량·일사량 추정 알고리즘으로 발전량 예측 정확도를 극대화하고 있다. 또한 제주 입찰제도 시범사업에서 축적된 대규모 실증 데이터를 AI로 학습시켜 예측 오차율을 지속 개선하며 발전사업자의 리스크를